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한자풀이11

경제용어(17)-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17) 경제용어(17) - 관세양허(關稅讓許 - tariff concession) 관세양허(關稅讓許) 關(관계할 관), 稅(세금 세), 讓(사양할 양) 許(허락할 허) 관세양허는 국가간 관세, 무역에 관한 협상에서 협상 당사국이 특정 품목의 관세를 일정 수준 이상 부과하지 않기로 한 약속이다. 관세양허 형태로는 현행 세율을 인하하는 관세 인하(reduction), 관세를 더 이상 올리지 않겠다고 약속하는 거치(binding), 현행 세율을 인상하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으로는 올리지 않는 한도 양허(ceiling) 등이 있다. 국가간 협상을 통해 관세율이 인하되면 그 인하된 세율수준 이상으로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관세인상을 할 수 없게 되는 일종의 국제적 협정을 말한다. 한국은 1997년까지 공산품, 수산품 7.. 2022. 11. 19.
경제용어(16)-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16) 경제용어(16) - 경착륙(硬着陸), 연착륙(軟着陸) 경착륙(硬着陸)/연착륙(軟着陸) "경착륙(硬着陸-hard landing)은 항공기가 급격히 고도를 낮추면서 활주로에 진입하거나 착륙하는, 연착륙(軟着陸-soft landing)은 비행기나 우주선이 기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활주로에 서서히 착륙/진입하는 기법을 가리키는 우주·항공 용어. 경제 관련 맥락에서 사용할 때에는 이러한 특질에 맞추어 비유하는데 용어를 사용한 것이다.경착륙은 마치 놀이기구의 롤러코스트를 타듯이 격심한 변동을 가져오듯이 경기가 갑자기 냉각되면서 주가가 폭락하고 실업자가 급증" 이에 비해 연착륙은 경기가 고성장에서 경기 침체나 실업 증가 등을 급격하게 일으키지 않으면서 서서히 안정기에 접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Hard landing.. 2022. 11. 12.
경제용어(15)-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15) 경제용어(15)-경제적 자본(經濟的 資本-(EC:Economic Capital) 경제적 자본(EC: Economic Capital)이란 금융기관에서 실제 리스크를 평가하고 내부적인 자본할당 및 성과평가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지표이다. 경제적 자본은 일정한 목표기간 동안 주어진 신뢰수준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흡수할 수 있는 자기자본으로서, 손실을 자체적으로 흡수하지 못할 경우 기관을 위기에 빠뜨리거나 경기 전체에 외부비용(정부의 구제금융 등)을 유발하게 된다. EC: Economic Capital - 경제적 자본(經濟的 資本) Economic capital is a measure of risk in terms of capital. More specifically, it's the amo.. 2022. 11. 5.
경제용어(14)-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14) 경제용어(14) - 경상수지(經常收支- Current Account Balance) 經常收支(경상수지-Current Account Balance) 經 지날 경, 常 떳떳할 상, 收 거둘 수, 支 지탱할 지 재화나 서비스를 외국과 사고 파는 거래와 외국에 투자한 대가로 벌어들이는 배당금, 이자 등의 소득거래 및 대가없이 이전되는 이전거래가 계상되는 경상계정의 수지차이를 의미한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및 경상이전수지의 4개 세부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Current Account Balance(경상수지-經常收支) The current account balance (CAB) is part of a country's financial inflow and outflow record. It .. 2022. 10. 29.
경제용어(13)-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13) 경제용어(13)-부외거래(簿外去來, Off Balance Sheet Engagement) 簿外去來(부외거래-Off Balance Sheet Engagement) 簿 문서 부-잠박 박-얇을 박, 外 바깥 외, 去 갈 거, 來 올 래(내) 금융기관의 대차대조표 상에 자산이나 부채로 기록되지 않은 거래, 즉 회계장부에 기재되지 않는 거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은행에 돈을 맡긴 고객에게는 입금표시가 찍힌 정상적인 예금통장을 주지만 금융기관의 원장에는 기재하지 않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금융기관 직원들이 고객 예금을 횡령할 때 자주 이용하는 수법이기도 하다. 일반적인 채무보증 같은 신용공여 대체거래, 특정거래와 관련된 우발채무, 상품이동에 따르는 단기채무, 유동성이 높은 무역관련 우발채무, 원 계약기간 1년 초과.. 2022. 10. 22.
경제용어(12)-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12) 경제용어(12) - 재정 절벽(財政絕壁-fiscal clff) 재정 절벽(財政絕壁) - 財 재물 재, 政 정사 정/칠 정, 絶 끊을 절, 壁 벽 벽 재정절벽은 정부의 대규모 재정긴축으로 경제성장률 급락 등 경제전반에 충격을 주는 현상, 미국은 2013년부터 1.2조달러 규모의 재정지출 자동삭감 등 미국의 재정 지출이 대규모로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fiscal clff-재정 절벽(財政絕壁) A fiscal cliff is a situation in which sudden changes in government spending and tax have a big and sudden effect on a country's economy. 財*재물 재(貝-10, 5급) 1) 조개 패(貝) + [재주 재(才)].. 2022. 10. 15.
경제용어(11)-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11) 경제용어(11) - 공정무역(公正貿易, fair trade) 공정무역(公正貿易) 공정무역이란 국가간에 동등한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무역을 말한다. 최근 다양한 상품 생산에 있어 공정한 가격을 지불토록 촉진하기 위한 국제적 사회 운동으로 추진되고 있는데, 이는 윤리적 소비의 일환으로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수출되는 상품, 특히 농산물을 대상으로 한다. 공정무역(fair trade) A movement whose goal is to help producers in developing countries to get a fair price for their products so as to reduce poverty, provide for the ethical treatment of workers and farm.. 2022. 10. 9.
경제용어(9)-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9) 경제용어(7)-가처분(假處分 - provisional disposition) 가처분(假處分): 금전채권 이외의 특정의 지급을 목적으로 하는 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하거나, 또는 쟁의 있는 권리관계에 관하여 임시의 지위를 정함을 목적으로 하는 재판을 말한다. Provisional disposition (가처분/假處分) or temporary disposition means a temporary decision of a court for the following purposes. It is necessary in terms of equity especially in case where intending to avoid a significant damage on a continuing relation of rig.. 2022. 9. 25.
경제용어(8)-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8) 경제용어(8)-감가상각(減價償却, depreciation) 기업에 장치된 기계, 건물등 설비물은 해가 지날수록 소모되어 나주에는 쓸 수 없게 된다. 때문에 가치의 소모분만큼 제품이나 서비스 원가에 포함시켜 매 영업년도의 비용으로 계상하였다가 설비가 노후됐을 때 갱신할 자금으로 활용한다. 이처럼 고정자산 가치의 감소분을 보상하는 회계절차를 감가상각이라 한다. 감가상각[depreciation] - The total amount that the value of capital falls in a given time period. (Contrast with appreciation.) 減*덜 감(水-12, 5급) 1) 減자는 ‘(물이) 줄다’(get fewer)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물 수’(水)가 의.. 2022. 9. 18.
경제용어(6)-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6) 경제용어(6)- 가산금리(加算金利-spread) 가산금리(加算金利-spread)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차이에 따라 달리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또는 스프레드,spread)라고 한다. 은행이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고객의 신용위험에 따라 조달금리에 추가하는 금리, 만기가 길어지면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는 기간 가산금리(텀스프레드, term spread), 통상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가 낮고, 신용도가 낮으면 가산금리 즉 스프레드는 커진다. 한편 채권시장에서는 비교대상이 되는 금융상품의 기준금리에 대비한 차이를 스프레드라고 한다. 보통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할 때 동일한 만기의 미국 국채(Treasury Bond)나리보(LIBOR, 런던은행간금리)가 기준금리가 되고 여기에 신용도 등에 따라 가산금리가붙어서 .. 2022. 9.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