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64)-Hanja in mathematics(64)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64) - 국기(國旗), 게양대(揭揚臺) 국기(國旗) national flag, 國(나라 국), 旗(깃발 기) 일어:国旗[こっき 고끼], 중어:国旗[guóqí 구어치] 나라깃발 나라를 상징(象徵)하는 기(旗). 수학, 2-2 05-090 國*나라 국(囗-11, 8급) 国 [guó 꾸어], [國: コク(Koku 고꾸);くに(kuni 꾸니), Shinjitai 国] 1) 國자가 최초에는 ‘或’으로 쓰다가 나중에 ‘경계’를 의미하는 ‘에운담 구’(口)가 보태졌다. 或의 口는 ‘국경’, 一은 ‘땅’, 戈는 ‘방위 수단’을 각각 상징하는 것이라 한다. 或(혹)이 ‘또는’(or)이라는 뜻으로 많이 쓰이자 國자를 따로 만들어냈다. 2) 囗+或, 영토(囗)안에서 권력(戈)과 인민(口)을 일..
2023. 6. 29.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9)-Hanja in mathematics(59)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9) - 승합차(乘合車), 야영(野營) 승합차(乘合車) van, 乘(탈 승), 合(합할 합), 車(수레 차) 일어: 乘合車[ワゴンしゃ-와곤샤], 중어: 旅行车[ lǚxíngchē 뤼신츠어] 타고 합해진 차, 주로 일곱 명 이상(以上)을 운송(運送)하기에 알맞게 만들어진 자동차 수학, 2-2 01-015 乘*탈 승(丿-10, 3급) 乘(chéng, shèng) 1) 乘자의 갑골문은 사람이 나무 위에 올라가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 야수나 홍수를 피해 나무 위에 올라가 생활하던 원시 시대 巢居(소거) 문화의 한 단면이 엿보이는 글자다. ‘올라가다’(climb; rise)가 본래 의미이고, ‘타다’(ride) 등으로도 확대 사용. 2) 삐침 별(丿) + 나무 목(木) + 북녘 북..
2023. 3. 28.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4)-Hanja in mathematics(54)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4) - 배열표(排列票), 동생(同生) 배열표(排列票), sequence table, 排(늘어설 배), 列(벌릴 열), 票(표 표) 일어: [排列票: はいれつ ひょう 하이레쭈 효우], 중어: 排列票 [páiliè piào 파이리에 피아오] 늘어서 벌린 표, 일정한 차례나 순서로 죽 벌여 놓은 표. 수학, 2-1 01-016 排*밀칠/늘어설 배(手-11, 3급) 排[pái] 1) 排자는 손을 ‘밀치다’(push; thrust)라는 뜻의 글자, ‘손 수’(手)가 의미, 非(아닐 비)가 발음 -> 輩(무리 배), 徘(노닐 배). 후에 ‘물리치다’(exclude)는 뜻으로도 확대 사용. 2) 손 수(扌) + [아닐 비(非)→배] 그것이 아니(非)라고 손(扌)으로 ‘밀어내는’ 것이다..
2023. 2. 14.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2)-Hanja in mathematics(52)
경우(境遇) case, 境(상태 경), 遇(만날 우)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2) - 경우(境遇), 시작(始作) 경우(境遇) case, 境(상태 경), 遇(만날 우) 일어: [境遇: きょうぐう 쿄그], 중어: 境遇 [jìngyù 찡유] 상태를 만남, 놓여 있는 상황이나 놓이게 되는 형편. 수학, 2-1 06-096 境*지경 경(土-14, 5급) 1) 境자는 ‘흙 토’(土)가 의미, 竟(경)은 발음. ‘(땅의) 경계’(boundary)란 본뜻이 변함없이 그대로 쓰이고 있다. 2) 흙 토(土) + [다할/마침내 경(竟)] 땅(土)이 끝나거나 마치는(竟) 경계를 지경(地境)이라 함. 3) 땅(土)이 마치는(竟) 곳은 즉 ‘지경’이다. 땅이 그친 지경은 境이고, 땅의 평면 지경은 界(계)고, 구획지운 지..
2023. 1. 31.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1)-Hanja in mathematics(51)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1) - 합리적(合理的), 열대어(熱帶魚) 합리적(合理的) rational, 合(적합할 합), 理(이치 리), 的(맞을 적) 일어: [合理的: ごうりてき 고리데끼], 중어: 合理的[Hélǐ de 헐리다] 적합한 이치로 맞음 목적에 맞고 매우 효율이 있음. 수학, 2-1 05-084 合*합할 합(口-6, 6급) 合(gě, hé) 1) 合자는 뚜껑이 덮여진 그릇 모양을 본뜬 것 ‘그릇’(a vessel)이 본래 의미, 후에 이것이 ‘합치다’(join together) ‘모으다’(combine) 등으로 확대 사용되는 예가 많아지자, 그 본래 뜻은 盒(합) 자를 따로 만들어 나타냄, 2) 입 구(口)자처럼 생긴 그릇 위에 밥뚜껑(△)을 덮어 서로 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상형문자 3)..
2023. 1. 24.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46)-Hanja in mathematics(46)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46)-낭비(浪費), 연습(練習) 낭비(浪費) watse dissipation 浪(물결 낭), 費(쓸 비) 수학, 2-1 02-034 일어: [浪費: ろうひ 로히], 중어: 浪费 [làngfèi 랑쀄이] 물결처럼 씀, 재물, 시간 따위를 헛되이 씀. 浪*물결 랑(水-10, 3급) 1) 浪자는 ‘물결’(a wave)을 뜻하는 글자, ‘물 수’(氵=水)가 의미, ‘좋을 량’(良)이 발음→ 郞(사나이 랑) 후에 ‘물결에 일렁이다’(waver) ‘함부로’(thoughtlessly) 등으로 확대 사용. 2) 물 수(氵) + [좋을/어질 량(良)→랑] 氵+良, 물(氵)의 좋은(良) 능력은 유동하는 것이다. 수면(水面)에 바람이 불면 일어나는 ‘물결’이다. 音은 良의 변음이다. 물(氵)가..
2022. 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