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36

경제용어(37)-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37) 경제용어(37) - 양적 완화(量的緩和)-quantitative easing 양적 완화(量的緩和)-quantitative easing(QE) 量(헤아릴 량(양)), 的(과녁 적/밝을 적), 緩(느릴 완), 和(화할 화) 중앙은행이 금융시장의 신용경색 해소와 경기 부양을 위해 정부의 국채나 여타 다양한 금융 자산의 매입을 통해 시장에 직접 유동성을 공급하는 정책을 말한다. 양적 완화는 정책 금리가 0에 가까운 초저금리 상태여서 더 이상 금리를 내릴 수도 없고, 재정도 부실할 때 경기 부양을 위해 사용된다. 이는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조절하여 간접적으로 유동성을 조절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보다 직접적인 방법으로 시장에 통화량 자체를 늘리는 통화 정책이다. 한 나라의 양적 완화는 다른 나라 경제에도 영향을 .. 2023. 4. 8.
경제용어(36)-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36) 경제용어(36) - 주주총회(株主總會) - a general meeting of stockholders 주주총회(株主總會)-a general meeting of stockholders 株(그루 주), 主(임금 주/주인 주), 總(다 총/합할 총), 會(모일 회, 깃발 괴) 주식회사의 최고의결기관으로 회의체형식의 의사결정기관이다. 주주총회에는 정시총회와 임시총회가 있다. 정기총회는 매년 1회 일정한 기간(매결산기)에 소집한다. 상법은 결산기로부터 3개월 내에 주주총회를 열고 주주총회에서 배당을 결정한 지 1개월 이내에 배당금을 주주들에게 배분하도록 규정한다. A general meeting of stockholders - 주주총회(株主總會) The Shareholders' General Meeting (a.. 2023. 4. 1.
경제용어(35)-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35) 경제용어(35) - 통정거래(通情去來) - Cross trade 통정거래(通情去來) - Cross trade 通(통할 통), 情(뜻 정), 去(갈 거), 來(올 래(내)) 매수할 사람과 매도할 사람이 사전에 가격을 미리 정해놓고 일정시간에 주식을 서로 매매하는 것을 말한다. 통정거래는 마치 거래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처럼 보이게 하여 선의의 투자자들의 판단을 흐려 시장을 혼란시키고, 부당이익을 취하기 때문에 증권거래법상으로 이를 금지하고 있다. Cross trade - 통정거래(通情去來) A cross trade is a practice where buy and sell orders for the same asset are offset without recording the trade on the exc.. 2023. 3. 25.
경제용어(34)-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34) 경제용어(34) - 파산제도(破産制度) - insolvency regimes. 파산제도(破産制度) - insolvency regimes 破(깨뜨릴 파), 産(낳을 산), 制(절제할 제/지을 제), 度(법도 도, 헤아릴 탁, 살 택) 개인이 빚을 갚을 능력이 없는 경우에 법원에 파산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한 제도이다. 법원은 채무자에게 파산원인이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파산선고를 하게 되며, 채무자의 총재산을 모든 채권자에게 공평하게 나누어 주게 된다. 파산선고 뒤 채무자는 법원에 더 이상 채무를 갚지 않도록 허가해 달라는 면책신청을 할 수 있으며, 허가를 받아 결정이 되면 조세 등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책임을 면하게 된다. 그러나 파산선고와 면책은 엄격한 기준에 의해 결정되므로 신청 시 법률전문가의 도움.. 2023. 3. 19.
경제용어(33)-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33) 경제용어(33) - 무상감자(無償減資) - capital reduction without refund 무상감자(無償減資) 無(없을 무), 償(갚을 상), 減(덜 감), 資(재물 자) 기업에서 감자(減資)를 할 때 주주들이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한 채 결정된 감자 비율만큼 주식수를 잃게 되는 것을 말한다. 자본감소의 방법 가운데 하나로서 통상 누적 결손금이 커질 경우에 자본금 규모를 줄여서 회계상의 손실을 털어내는 방법으로 이용된다. 자본금을 줄이되 주주에게는 아무런 보상을 하지 않으므로 자산은 변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형식적 감자라고 하며, 반면 유상감자(有償減資)는 실질적으로 자본금이 줄어들어 실질적 감자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여러 주식을 합하여 그보다 적은 수의 주식을 발행하는 주식병합의 방식으로 진행.. 2023. 3. 11.
경제용어(32)-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32) 경제용어(32) - 구제금융(救濟金融) - Bailout 구제금융(救濟金融)-Bailout 救(구원할 구), 濟(건널 제), 金(쇠 금), 融(녹을 융) bailout은 원래 비행기에서 낙하산으로 비상탈출을 감행하는 행위 등을 의미했으나 이후 구제금융, 긴급융자 등의 의미로 확대 해석되면서 금융경제용어로 정착하게 되었다. 2008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리먼브러더스 등 세계 굴지의 투자은행(IB)이 줄도산하면서 가장 흔하게 등장하는 시사용어가 됐다. 실제 미국의 사전 전문 출판사인 메리엄웹스터(merriam-webster.com)는 2008년 '올해의 단어'로 'bailout(구제금융)'을 선정했다. bailout이란 단어는 2008년 미국 정부가 7천억달러 규모의 부실자산구제계획(TARP)을.. 2023. 3. 4.
경제용어(31)-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31) 경제용어(31) - 공포 지수 (恐怖指數)- fear index 공포 지수 (恐怖指數) 恐(두려울 공), 怖(두려워할 포), 指(가리킬 지), 數(셈 수) 시카고 옵션 거래소에 상장된 에스 앤드 피 500 지수 옵션의 이다음 30일 동안의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나타내는 지수. 일부 국가에서 경제위기가 발생하면 세계로 확산되는 등 다양한 공포가 발생한다. 이런 공포는 주식시장에 매도를 일으키고 불안함으로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투매를 불러 공포가 더욱 확산되기도 한다. 주식시장의 공포는 주식시장의 변동성과 관계가 깊어 변동성지수를 공포지수라고 한다. 주가지수가 급락하거나 불안하게 움직일수록 공포가 커지고 변동성지수는 오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미국 주식시장의 변동성 지수인 VIX는 공포지수의 대명.. 2023. 2. 25.
경제용어(30)-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30) 경제용어(30)-유동자산(流動資産)-current assets, liudid assets 유동자산(流動資産) 流(흐를 류(유)), 動(움직일 동), 資(재물 자), 産(낳을 산) 유동자산은 고정자산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1년 이내에 환금할 수 있는 자산 또는 전매할 목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자산을 말한다. 현금, 예금, 일시소유의 유가증권, 상품, 제품, 원재료, 저장품, 전도금 등이 해당한다. 유동자산은 현금화가 매우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는 '당좌자산'과 복잡한 제조과정이나 판매과정을 거쳐야만 현금화가 가능한 '재고자산'으로 구분된다. '당좌자산'에는 현금과 예금, 1년이내에 처분가능한 유가증권을 비롯해 외상매출금 단기대여금 등의 수취채권 등이 포함된다. 기업의 현금동원능력이나 지불능력의 바로미터가 되는.. 2023. 2. 18.
경제용어(29)-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29) 경제용어(29) - 회전대출(回轉貸出)- revolving facility 회전대출(回轉貸出) 回(돌아올 회), 轉(구를 전), 貸(빌릴 대), 出(날 출, 단락 척) 은행이 대출 규모와 기간을 정해두면 대출을 받는 사람이 자금의 필요에 따라 대출 기간 내에 단기어음을 발행하는 것으로, 회전신용(revolving credit)이라고도 한다. 회전대출(revolving facility)은 대출을 받는 사람이 대출금을 한꺼번에 찾지 않아도 되고, 대출을 받더라도 만기 전에 상환할 수 있고 필요하면 또 대출을 받을 수 있어 편리하다. 하지만 은행 입장에서는 고객이 언제든지 어음을 발행할 수 있는 만큼 항상 대출자금을 구비해 두어야 하기 때문에 자금 운용에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은행은 회전대출에 대한 보상.. 2023. 2. 11.
경제용어(28)-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28) 경제용어(28) - 호혜주의(互惠主義)-the principle of reciprocity 호혜주의(互惠主義) 互(서로 호), 惠(은혜 혜), 主(임금 주), 義(옳을 의) 국제 무역에서 양국이 서로 대등한 관계에서 이익을 주고받는 원칙으로 서로 같은 수준의 우대조치를 승인해 무역을 확대할 목적으로 취해진다. 대표적인 예는 관세를 통해 무역의 상호 이익 증대하는 방법으로, 세계무역기구(WTO)가 그동안 적용하던 최혜국대우(MFN: Most Favored Nation)를 들 수 있다. 최혜국대우(MFN)란 통상이나 항해조약 등에서 한 나라가 특정국과 조약을 신규로 체결 또는 갱신하면서 지금까지 다른 나라에 부여한 대우 중 최고의 대우를 그 나라에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혜국대우는 각국이 산업보호를 위해.. 2023. 2.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