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로 영어공부7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23)-hanja in high school textbook(23)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23) - 將相(장상), 宿緣(숙연) 將相(장상) general and administrator, 將(장수 장), 相(재상 상) 일어: [将相: しょうしょう 쇼쇼], 중어:将相 [jiàngxiàng 찌앙씨앙] 장수와 재상(general and minister - high social status) 將*장수/장차 장(寸-11, 5급) 1) 將자는 ‘잡을 촌’(寸)이 의미, 그 나머지는 발음요소. ‘군대의 우두머리’(commander)가 본뜻 ‘거느리다’(command) ‘동반하다’(accompany) ‘(앞으로) 나아가다’(proceed) 등으로 확대 사용. 2) 고기 육(肉/月) + 마디 촌(寸) + [나무조각 장(爿)] 왕이 제사를 지내는데 손(寸)으로 고기(肉)를 들고 도와주는 .. 2022. 12. 15.
역사 교과서 한자(6)-hanja in history textbook(6) 역사 교과서 한자(6) - 청동(靑銅), 잉여(剩餘) 청동(靑銅)-bronze, 靑(푸를 청), 銅(구리 동) 구리와 주석을 섞어서 만든 금속, 녹이 슬면 푸른색으로 변함. 靑*푸를 청(靑-8, 8급) 1) 날/살 생(生) + 붉을 단(丹) 붉을 단(丹)자는 광산(mine)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날 생(生)자는 땅에서 푸른 풀이 올라오는 모습, 푸르다(blue/green)라는 의미를 부여. 따라서 청(靑)은 푸른색의 광산이란 뜻, 푸른색 광산은 구리를 캐내는 동광(銅鑛). 구리는 녹이 슬면 푸른색이 됨. 2) 生+丹(붉은 구리), 붉은 구리가 산화되면서 생기는 푸른 빛깔. 生+井→靑, 우물에서 나오는 맑고 푸른 샘물. 불(丹)을 낳는(生) 나무의 빛은 ‘푸른’ 것이다(木生火). 청색은 오행으로 동방.. 2022. 9. 30.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2) - hanja in high school textbook(12)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2) - 暗衢明燭[암구명촉] 暗衢明燭[암구명촉]-어둠속의 불빛-candle in the dark street 暗(어두울 암), 衢(네거리 구), 明(밝을 명), 燭(촛불 촉) 暗*어두울 암(日-13, 5급) 1) 暗자는 ‘어둡다’(dark)가 본뜻, ‘해 일’(日)이 의미,. 音(소리 음)이 발음-> 闇(닫힌 문 암). 어두울 때 남몰래 하는 일이 많았든지, ‘몰래’(secretly) ‘넌지시’(by hints) 같은 뜻으로도 널리 쓰임. 2) 날 일(日) + [소리 음(音)→암] 해(日)가 없으면 어두움. 어두운 암흑(暗黑) 속에서는 소리(音)로 상대방을 서로를 구분한다는 의미로 해석. 3) 日+音, 왼쪽으로 해(日)가 지고 오른쪽에 소리(音)만 들리니 ‘어두운’ 것이다. 音은 .. 2022. 9. 29.
경제용어(9)-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9) 경제용어(7)-가처분(假處分 - provisional disposition) 가처분(假處分): 금전채권 이외의 특정의 지급을 목적으로 하는 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하거나, 또는 쟁의 있는 권리관계에 관하여 임시의 지위를 정함을 목적으로 하는 재판을 말한다. Provisional disposition (가처분/假處分) or temporary disposition means a temporary decision of a court for the following purposes. It is necessary in terms of equity especially in case where intending to avoid a significant damage on a continuing relation of rig.. 2022. 9. 25.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38)-Hanja in elementary school(38)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38) - 시작(始作), 실망(失望) 시작(始作) begin, start 始(처음 시), 作(일으킬 작) 일어: [詩作: しさく 시사쿠], 중어:诗作 [shīzuò 슈즈어] 처음 일으킴, 어떤 일이나 행동의 처음 단계를 이룸. 국어, 1-2 01-021 始*비로소 시(女-8, 6급) 1) 女 + [나 이(台)→시] 여(女)자에서 내(台)가 난 데서 이 세상 모든 일은 ‘비롯된-begin’ 것이다. 音은 台(이)의 변음이다. 비로소 여는 것은 肇(조), 비로소 만드는 것은 創(창)이다. 始作(시작) 始發(시발) 始原(시원) 2) 계집 녀(女)+기르다/나 이(台) 여자(女)가 뱃속에서 아이를 기르는(台) 일이 생명의 처럼이다>처음 3) ‘비로소’ 시(始)는 여자가 아이를 갖는 것[胎].. 2022. 9. 19.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37)-Hanja in elementary school(37)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37) - 위협(威脅), 전기(電氣) 위협(威脅) threat, menace 威(힘 위), 脅(으를 협) 일어: [威脅: いきょう 이쿄], 중어: 威胁 [wēixié 웨이씨에] 힘으로 으름, 힘으로 으르고 협박함. 국어, 1-2 01-021 威*두려워할 위(女-9, 4급) 1) 威자는 ‘여자 여’(女)와 ‘무기 술’(戌)이 합쳐진 것으로 ‘시어머니’(one’s husband’s mother)가 본래 의미. 후에 확대 사용된 ‘위엄’(dignity) ‘두려워하다’(fear) 같은 의미가 ‘시어머니’와 무슨 관계인지는 며느리의 처지에서 생각해 보면 쉽게 알 수 있겠다. 2) 여자 녀(女) + 개 술(戌) 창(戈)의 왼쪽에 넓은 도끼날이 붙은 모습(戌) 아래에 여자(女)가 있는 모양. .. 2022. 9. 12.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09)-hanja in high school textbook(09)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09) - 不遇(불우), 莫逆(막역) 不遇(불우) underprivileged, 不(아니 불), 遇(만날 우) 일어: [不遇: ふぐう 푸구], 不遇 [búyù 부유] 不遇(불우): 만나지 못함, 포부나 재능은 있어도 좋은 때를 만나지 못함 不遇 (underprivileged): having less money, education, etc., than the other people in a society; having fewer advantages, privileges, and opportunities than most people; poor or disadvantaged. 不*아닐 불(一-4, 8급) 1) 一(하늘)+个(새모양), 說文(설문)에는 새가 하늘로 날아서 다시 돌아오지 ‘.. 2022. 9.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