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교과서 한자(6) - 청동(靑銅), 잉여(剩餘)
청동(靑銅)-bronze, 靑(푸를 청), 銅(구리 동)
구리와 주석을 섞어서 만든 금속, 녹이 슬면 푸른색으로 변함.
靑*푸를 청(靑-8, 8급)
1) 날/살 생(生) + 붉을 단(丹) 붉을 단(丹)자는 광산(mine)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날 생(生)자는 땅에서 푸른 풀이 올라오는 모습, 푸르다(blue/green)라는 의미를 부여. 따라서 청(靑)은 푸른색의 광산이란 뜻, 푸른색 광산은 구리를 캐내는 동광(銅鑛). 구리는 녹이 슬면 푸른색이 됨.
2) 生+丹(붉은 구리), 붉은 구리가 산화되면서 생기는 푸른 빛깔. 生+井→靑, 우물에서 나오는 맑고 푸른 샘물. 불(丹)을 낳는(生) 나무의 빛은 ‘푸른’ 것이다(木生火). 청색은 오행으로 동방의 색이고 나무를 의미. 청백색은 벽(碧)이고, 청황색은 녹(綠)이고, 청흑색은 창(蒼)이고, 청적색은 감(紺)이다. 靑色(청색) 靑史(청사) 靑春(청춘) 靑年(청년)
3) 붉은(丹) 색 광물에 생기는(生) 푸른 색 녹→푸르다
4) 生 is depiction of sprouting of grass from earth + 丹 is depiction of copper mine, when copper became rusty the color is blue.
5) 生# (fresh grass shoots) + 井/丼 (pure well water) → grass that is fresh, clean and pure → *green*; *blue* → *youth*; *immaturity*. In dual-element characters, 青 may also appear in the form 靑.
6) The hue (丹 > 月) of growing (生 > 龶) plants: light green; green
銅*구리 동(金-14, 4급)
1) 쇠 금(金) + [같을/한가지 동(同)] 물러서 구부려서 한 덩어리(同)로 쉽게 만들 수 있는 쇠(金)→구리(copper)
2) 金+同, 빛깔이 금(金)과도 같이(同) 보이는 ‘구리’다. 가장 고귀한 것은 金(금)이고, 그 다음은 銀(은)이고, 그 다음이 銅이다. 銅錢(동전),
3) 赤金(적금), 동기(銅器), 동상(銅像), 동전(銅錢)에서 동(銅)은 재료인 구리를 나타냅니다. 청동(靑銅)은 구리와 주석의 합금. 동근철골(銅筋鐵骨)은 구리 힘줄과 철로 된 뼈라는 뜻으로 신체가 아주 건강하고 튼튼한 것을 말함.
4) 同# (run through) + 金 metal → *copper* (← a metal easily run through in drilling) →*bronze*; *brown*.
잉여(剩餘)-surplus, 剩(남을 잉), 餘(남을 여)
잉여(剩餘):쓰고 난 후 남은 것 - an amount (such as an amount of money) that is more than the amount that is needed
剩*남을 잉(刂-12, 1급)
1) 칼 도(刂) + [탈 승(乘)→잉] 乘+刂(칼도), 乘은 사람(亻)이 두발(北)로 나무(木)위로 올라가 타는 것인데 刂변을 붙였으니, 나무가지는 끊어도 또 돋아나서 ‘남아 있는-remain’ 것이다. 剩餘(잉여)
2) 타다/오르다 승(乘)칼/자르다 도(刂=刀) 자르고(刂=刀) 올릴(乘) 만큼 많다>남다
3) 乘 multiply + 刀 sword/knife → cut off a *surplus*, multiplying the number of pieces and leaving a *remainder*.
餘*남을 여(食-16, 5급)
1) 餘자는 배불리 먹고도 ‘남음이 있다’(have surplus)는 뜻을 가진 글자 ‘먹을 식’(食)이 의미, 余(나 여)는 발음. ‘나머지’(the remainder) ‘이상’(over) 등의 의미로도 쓰임.
2) 밥 식(食) + [나 여(余)] 먹을 것 남아 있다는 의미
3) 食+余, 먹을(食) 것이 남아서(余) 풍부하니 ‘남는’ 것이다. 많아서 남는 것은 餘고, 없애고 남은 것은 殘(해칠잔)이고, 식사하고 남은 것은 餕(대궁준)이다. 餘分(여분) 殘餘(잔여) 餘裕(여유) 餘他(여타)
4) 余# (stretch) + 食 food/eating → surplus food stretched over a table → *remain*; *leave*; *be left over*.
'역사(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 교과서 한자(8)-hanja in history textbook(8) (1) | 2022.10.14 |
---|---|
역사 교과서 한자(7)-hanja in history textbook(7) (1) | 2022.10.07 |
역사 교과서 한자(5)-hanja in history textbook(5) (1) | 2022.09.23 |
역사 교과서 한자(4)-hanja in history textbook(4) (1) | 2022.09.16 |
역사 교과서 한자(3)-hanja in history textbook(3) (0) | 2022.09.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