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風(바람 풍)7

사자성어(102)-four words idiom(102)-風聲鶴唳(풍성학려) 風聲鶴唳(풍성학려): "The Sound of the Wind and Cry of the Crane" 風(바람 풍), 聲소리 성), 鶴(학 학), 鶴(학 울 려). 바람 소리와 학의 울음소리에도 놀라다. 겁을 먹으면 하찮은 일이나 소리에도 놀라다. The sound of the wind and the cry of a crane startle you. When they are frightened, they are startled by trivial things and sounds. 風聲鶴唳(풍성학려) 영어속담 Afraid of his own shadow.(자기 그림자를 두려워하다.) 이 속담은 다양한 문학 작품과 영화에서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찰스 디킨스의 소설 "올리버 트위스트"에는 겁이 많고 소심한.. 2023. 6. 9.
사자성어(82)-four words idiom(82)-馬耳東風(마이동풍) 馬耳東風(마이동풍):The east wind blows past the horse's ears 馬耳東風(마이동풍) 馬(말 마), 耳(귀 이), 東(동녘 동), 風(바람 풍) 말의 귀에 동풍이라는 뜻으로, 남의 비평이나 의견을 조금도 귀담아 듣지 아니하고 흘려 버림을 이르는 말이다. 【영어속담】 utter indifference, praying to deaf ears 【유의어】: 대우탄금(對牛彈琴), 여풍과이(如風過耳), 오불관언(吾不關焉), 우이독경(牛耳讀經) 馬*말 마(馬-10획, 5급) 马(mǎ), 馬 [バ;うま: ba; uma] 1) 馬자는 ‘말’(a horse)을 나타내기 위해서, 뒷목의 털을 휘날리며 달리는 말 모습을 본뜬 것. 네 점은 네 발이 변화된 것 ‘불 화’(火)의 변형인 ‘灬’로 보면.. 2023. 2. 19.
사자성어(68)-four words idiom(68)-풍찬노숙(風餐露宿) 풍찬노숙(風餐露宿)-Meals in the wind, sleep rough. 풍찬노숙(風餐露宿) 風(바람 풍),餐(먹을 찬), 露(이슬 노), 宿(잘 숙) 바람과 이슬을 맞으며 한데에서 먹고 잔다는 뜻으로, 큰 뜻을 이루려는 사람의 고초를 겪는 모양 Eat in the wind and spend the night in the open air. To endure wind and rain to achieve great things. Tenacious; dogged; determines 남부여대(男負女戴), 문전걸식(門前乞食), 즐풍목우(櫛風沐雨) 風*바람 풍(風-9, 6급) 风 [fēng 뿽] 1) 風자는 凡(범)과 虫(충)으로 구성, 凡(범)은 발음 요소. ‘벌레 충’(虫)이 의미 요소로. 風의 부수는 虫.. 2023. 1. 24.
아학편(兒學編)-상(21)-Child learn book(21) 아학편(兒學編)-상(21)-日月星辰(일월성신), 風雲雨露(풍운우로) 日月星辰(일월성신):해와 달, 별. 日月星辰: Sun, moon and background of the heavens, 日(날 일), 月(달 월), 星(별 성), 辰(북두 신) 日*날 일(日-4, 8급) 日 [rì 리~], [日: ひ 히] 1) 日자는 ‘해’(the sun)를 나타내기 위해서 둥근 원형 안에 점을 하나 찍어 놓은 모양(·)이었다. 후에 쓰기 편리함을 위하여 네모꼴로 바뀌었고, 그 안의 점도 ‘一’로 변모됐다. 후에 ‘낮’(daytime) ‘하루’(one day)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2) 해 꼴. 태양의 정(精)으로 이지러지지 않는 것이다. 또는 口+一, 우주(口)안에 오직 하나(一)뿐인 ‘해’이니 音은 ‘일’이다. 해.. 2022. 10. 8.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3)-hanja in high school textbook(13)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3) - 連累(연루), 中風(중풍) 連累(연루) inculpatatory-be[get] involved in, 連(이을 련), 累(포갤 루) 일어: [連累 れんるい 렌뤼], 중어:连累 [liánlěi 리앤레이] 連累(연루):남이 일으킨 사건이나 행위에 걸려들어 죄를 덮어 쓰거나 피해를 입게 됨 連累(inculpatory):implying or imputing guilt, tending to incriminate or inculpate 罪相及也(죄상급야 : 죄가 서로 미침) 連坐也(연좌야) : 같은 자리에 나란히 앉음 連*이을 련(辶-11획, 4급) 1) 連자는 ‘길을 가다’는 뜻인 착(辶=辵=彳+止=‘길’+‘발자국’)과 ‘수레 거’(車)가 합쳐진 것으로, ‘인력거’(a ricksh.. 2022. 10. 6.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31)-Hanja in elementary school(31)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31) - 은혜(恩惠), 태풍(颱風) 은혜(恩惠) grace, 恩(은혜 은), 惠(은혜 혜) 일어: [恩惠: おんけい 온께이], 중어:恩惠 [ēn‧huì 응회] 자연이나 남에게서 받는 고마운 보답 국어, 1-2 01-019 恩*은혜 은(心/忄-10, 4급) 1) 마음 심(心) + [인할 인(因)→은] 사람의 착한 마음(心)으로 인(因)해서 ‘돌봄을 받는-be taken care of’ 것을 받음이다. 音은 因의 변음이다. 주는 쪽에서는 恩이고, 받는 쪽에서는 惠(혜)다. 恩惠(은혜) 恩人(은인) 恩德(은덕) 2) 인할 인(因)+마음 심(心) 성심(心)으로 도와줌으로 인해서(因) 은혜가 생긴다>은혜 3) 다른 사람의 도움, 즉 은혜를 많이 입은 것. 그것을 마음[心]에 새겨야 한다는.. 2022. 8. 8.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8)-Hanja words in mathematics(08)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8) - 초1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 남자(男子), 여자(女子), 어항(魚缸), 풍선(風船), 비행기(飛行機) 남자男子 male, man, 男(사내 남), 子(사람 자) 일어:男子 [だんし 단시], 중어:男子 [nánzǐ 난쯔] 사내, 남성으로 태어난 사람. 수학 1-가 05-064 男*사내 남(田-7, 7급) 1) 男자는 ‘사내’(a man)란 낱말을 적기 위해, ‘밭 전’(田)과 ‘힘 력’(力)을 합쳐 놓은 것이다. 농경사회에서 남자가 해야 할 몫을 뜻 함. 2) 田+力, 밭(田)에서 노력(力)하여 생산하는 ‘사내’다. 사내는 양성(陽性)인데 방향은 남쪽이니 音은 ‘남’이다. 주나라때 五등의 작위 중에 최하의 작명이다. 男子(남자) 男爵(남작) 男妹(남매) 3) 밭 전(.. 2022. 6.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