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6)-Hanja in mathematics(56)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6) - 양로원(養老院), 승리(勝利) 양로원(養老院) nursing home, 養(돌볼 양), 老(노인 노), 院(집 원) 일어: 養老院 [ようろういん 요로인], 중어:[yǎnglǎoyuàn 양라오위애] 노인을 돌보는 집, 의지할 데 없는 노인들을 돌보아 주는 시설. 수학, 2-1 04-054 養*기를 양(食-15획, 5급) 养[yǎng 야앙] 1) 養자는 원래 ‘양’(羊)과 ‘칠 복’(攴=攵)이 합쳐진 것으로 ‘양치다’(breed sheep)는 뜻, ‘羊 + 食’의 구조로 바뀌었고, ‘기르다’(breed) ‘받들어 모시다’(wait upon) 등으로도 확대 사용. 2) 밥 식(食) + [양 양(羊)] 양(羊)을 먹여서(食) 기른다. 3) 羊+食, 양(羊)을 먹여(食) ‘..
2023. 3. 7.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8)-Hanja in mathematics(38)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8) - 정류장(停留場), 계산(計算) 정류장(停留場) stop, station 停(머무를 정), 留(머무를 류), 場(곳 장) 일어: [停留場:ていりゅうじょう 테류죠], 车站[chēzhàn 처잔], 停留场[tíngliúchǎng 팅유창] 머무르는 곳, 버스나 택시 따위가 사람을 태우거나 내려 주기 위하여 머무르는 일정한 장소. 수학, 1-2 06-054 停*머무를 정(亻-11획, 5급) 1) 사람 인(亻) + [정자 정(亭)] 사람(人)이 쉬기 위해 정자(亭)에 머무른다-'stay'는 의미 2) 정(停)은머무는 것으로, 어떤 것에 멈춰 움직이지 않는 것. 이글자는 회의자로 보기도 함. 사람[人]이 정자[亭]에 있으니 머문다든지 쉰다는뜻을나타내기 때문. 차가 멈추거나 서는 ..
2022. 10. 25.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43)-Hanja in elementary school(43)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43) - 동요(童謠), 쟁반(錚盤) 동요(童謠) children's song, 童(아이 동), 謠(노래 요) 일어: [童謡: どうよう 도요], 중어: 童谣 [tóngyáo 통야오] 아이 노래 문학 장르의 하나로, 어린이들의 생활 감정이나 심리를 표현한 정형시. 또는 거기에 곡을 붙여 부르는 노래. 국어, 1-2 01-028 童*아이 동(立-12, 6급) 1) 童자는 金文(금문)에서 辛(신), 目(목), 東(동), 土(토) 이상 네 가지 요소로 구성, ‘눈을 다친 하인이 땅에서 일을 하고 있는 모습’에 발음 요소인 東(동녘 동)이 덧붙여진 것. ‘하인’(a servant)이 본뜻이었는데, ‘아이’(a child)란 뜻으로 널리 쓰이자 본래 의미를 위하여 僮(하인 동) 자가 추가로 ..
2022. 10. 24.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5)-Hanja in elementary school(25)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5) - 심술(心術), 지독(至毒) 심술(心術) cranky, ill-tempered 心(마음 심), 術(꾀 술) 마음의 꾀, 남을 골리기 좋아하거나 남이 잘못되는 것을 좋아하는 마음, 국어, 1-2 01-015 일어: [心術: しんじゅつ 신주츠], 중어: 心术 [xīnshù 신슈] 心*마음 심(心-4, 7급) 1) 心자는 心臟(심장)의 모습을 본뜬 것으로 ‘심장’(the heart)이 본뜻, ‘가슴’(the breast; the chest) ‘마음’(heart, mind)을 뜻하는 것으로도 확대 사용. 2) 사람의 심장꼴,심장을 그려서 ‘마음’을 뜻하였는데 그는 깊은(深) 곳에 있어 들여다볼 수가 없으니 音은 ‘심’이다. 다른 자의 변으로 쓸 때는 忄, 밑에 쓸 때는 㣺이다. ..
2022. 7.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