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과서 한자어휘13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6)-Hanja in mathematics(56)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6) - 양로원(養老院), 승리(勝利) 양로원(養老院) nursing home, 養(돌볼 양), 老(노인 노), 院(집 원) 일어: 養老院 [ようろういん 요로인], 중어:[yǎnglǎoyuàn 양라오위애] 노인을 돌보는 집, 의지할 데 없는 노인들을 돌보아 주는 시설. 수학, 2-1 04-054 養*기를 양(食-15획, 5급) 养[yǎng 야앙] 1) 養자는 원래 ‘양’(羊)과 ‘칠 복’(攴=攵)이 합쳐진 것으로 ‘양치다’(breed sheep)는 뜻, ‘羊 + 食’의 구조로 바뀌었고, ‘기르다’(breed) ‘받들어 모시다’(wait upon) 등으로도 확대 사용. 2) 밥 식(食) + [양 양(羊)] 양(羊)을 먹여서(食) 기른다. 3) 羊+食, 양(羊)을 먹여(食) ‘.. 2023. 3. 7.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61)-Hanja in elementary school(61)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61) - 최고(最高), 중요(重要) 최고(最高) the best, 最(가장 최), 高(높을 고) 일어: 最高 [さいこう 사이꼬우], 중어: 最高 [zuìgāo 쯔이까오] 가장 높음 다른 것과 비교하여 가장 뛰어남. 국어, 1-2 02-079 最*가장 최(曰-12, 5급) 最(zuì) 1) 最자의 曰은 ‘무릅쓰다’는 뜻인 冒(모)자의 曰과 같은 것이고, 取는 적군을 무찌르고 그 귀[耳]를 떼어[又] 공을 세운다는 뜻이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취하다’(adopt; take)가 본뜻. 그렇게 하면 가장 큰공을 세울 수 있었던지 ‘가장’(most; extremely)이라는 뜻으로도 확대 사용. 2) 가로 왈(曰) + [가질 취(取)→최] 무릅쓸 모(冒)와 가질 취(取)자의 합성.. 2023. 3. 6.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47)-Hanja in mathematics(47)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47) - 선분(線分), 직선(直線) 선분(線分) line segment, 線(줄 선), 分(길이 분) 일어: [線分: せんぶん 센분], 중어:线段 [xiànduàn 시엔뚜안] 길이, 한 선에 두 점을 곧게 이은 선. 수학, 2-1 03-036 線*줄 선(糸-15, 6급) 1) 線은 ‘실’(thread)이란 뜻을 나타내기 위해 고안된 것이니 ‘실 사’(糸)가 의미, 泉(샘 천)이 발음 →腺(샘 선). ‘줄’(a line) ‘길’(a way)을 뜻하는 것으로 확대됐다. 2) 실 사(糸) + [샘 천(泉)→선] 샘(泉)에서 물줄기가 끊임없이 나오듯이 줄(糸)이 길게 나온다는 의미에서 만들어진 글자. 곡선(曲線)은 부드럽게 굽은 선 3) 샘(泉)물이 흘러서 실(糸)처럼 내려가는 ‘.. 2022. 12. 27.
역사 교과서 한자(15)-hanja in history textbook(15) 역사 교과서 한자(15) - 관등제(官等制), 율령(律令) 관등제(官等制), 官(벼슬 관), 等(무리 등), 制(절제할/지을 제) 관리나 벼슬의 등급을 나눈 제도 官*벼슬 관(宀-8, 4급) 官(guān, guǎn) 1) 官’자는 ‘집 면’(宀)과 ‘언덕 부’(阜)의 생략형이 조합된 것, 언덕의 비탈진 곳에 마련된 ‘객사’(an inn)가 본뜻. 그 집을 관리나 외국 사신에게 제공하였기 때문인지 ‘벼슬’(a government post) ‘벼슬아치’(an official)로 확대 사용되는 예가 많아지자, 그 본뜻은 館(객사 관)자를 따로 만들어 나타냄. 2) 집 면(宀) + 언덕 추(𠂤) 벼슬 관(官)자는 집 면(宀) 자와 언덕 추(㠯)의 변형자가 합쳐진 회의 문자. 언덕 위에 우뚝 솟은 집, 혹은 언덕.. 2022. 12. 2.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44)-Hanja in elementary school(44)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44) - 작년(昨年), 낭송(朗誦) 작년(昨年) last year, 昨(어제 작), 年(해 년) 일어: [昨年: さくねん 사꾸넨], 중어: 昨年 [zuó nián 주어니앤] 한해 전, 지난해. 국어, 1-2 01-029 昨*어제 작(日-9, 6급) 1) 날 일(日) + [지을 작(乍)] 아직 하루가 다 가지 않은 오늘에서 가장 가까운 하룻날(日)이 완성(乍)된 ‘어제-yesterday’다. 音은 乍의 변음이다. 그저께는 曩(접때 낭). 昨年(작년) 2) 날/해 일(日)+잠깐 사(乍) 지나간지 얼마 안되는(乍) 하루 전날(日)>어제 3) 昨을 『설문』에서는 “날이 쌓인 것이다”라고 함. 어제는 이제 막 지나서 과거 저편에 쌓이는 시간으로 이해할수 있어 ‘과거, 어제’의 뜻. 4) .. 2022. 10. 31.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8)-Hanja in mathematics(38)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8) - 정류장(停留場), 계산(計算) 정류장(停留場) stop, station 停(머무를 정), 留(머무를 류), 場(곳 장) 일어: [停留場:ていりゅうじょう 테류죠], 车站[chēzhàn 처잔], 停留场[tíngliúchǎng 팅유창] 머무르는 곳, 버스나 택시 따위가 사람을 태우거나 내려 주기 위하여 머무르는 일정한 장소. 수학, 1-2 06-054 停*머무를 정(亻-11획, 5급) 1) 사람 인(亻) + [정자 정(亭)] 사람(人)이 쉬기 위해 정자(亭)에 머무른다-'stay'는 의미 2) 정(停)은머무는 것으로, 어떤 것에 멈춰 움직이지 않는 것. 이글자는 회의자로 보기도 함. 사람[人]이 정자[亭]에 있으니 머문다든지 쉰다는뜻을나타내기 때문. 차가 멈추거나 서는 .. 2022. 10. 25.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43)-Hanja in elementary school(43)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43) - 동요(童謠), 쟁반(錚盤) 동요(童謠) children's song, 童(아이 동), 謠(노래 요) 일어: [童謡: どうよう 도요], 중어: 童谣 [tóngyáo 통야오] 아이 노래 문학 장르의 하나로, 어린이들의 생활 감정이나 심리를 표현한 정형시. 또는 거기에 곡을 붙여 부르는 노래. 국어, 1-2 01-028 童*아이 동(立-12, 6급) 1) 童자는 金文(금문)에서 辛(신), 目(목), 東(동), 土(토) 이상 네 가지 요소로 구성, ‘눈을 다친 하인이 땅에서 일을 하고 있는 모습’에 발음 요소인 東(동녘 동)이 덧붙여진 것. ‘하인’(a servant)이 본뜻이었는데, ‘아이’(a child)란 뜻으로 널리 쓰이자 본래 의미를 위하여 僮(하인 동) 자가 추가로 .. 2022. 10. 24.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2) - hanja in high school textbook(12)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2) - 暗衢明燭[암구명촉] 暗衢明燭[암구명촉]-어둠속의 불빛-candle in the dark street 暗(어두울 암), 衢(네거리 구), 明(밝을 명), 燭(촛불 촉) 暗*어두울 암(日-13, 5급) 1) 暗자는 ‘어둡다’(dark)가 본뜻, ‘해 일’(日)이 의미,. 音(소리 음)이 발음-> 闇(닫힌 문 암). 어두울 때 남몰래 하는 일이 많았든지, ‘몰래’(secretly) ‘넌지시’(by hints) 같은 뜻으로도 널리 쓰임. 2) 날 일(日) + [소리 음(音)→암] 해(日)가 없으면 어두움. 어두운 암흑(暗黑) 속에서는 소리(音)로 상대방을 서로를 구분한다는 의미로 해석. 3) 日+音, 왼쪽으로 해(日)가 지고 오른쪽에 소리(音)만 들리니 ‘어두운’ 것이다. 音은 .. 2022. 9. 29.
중학교 교과서 한자(27)-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27) 중2 국어 교과서 한자(03) - 新式法(신식법), 蠶室(잠실) 新式法(신식법) new way, 新(새 신), 式(법 식), 法(법 법) 일어: [新式法: しんしき-ほう 신식기 호우], 중어: 新式 法 [xīnshì fǎ 신시 뽜~] 새로운 형식.-new way(type) 新*새 신(斤-13, 7급) 1) 新자는 땔감으로 쓰는 ‘장작’(firewood)이 본래 의미, ‘나무 목’(木)과 ‘도끼 근’(斤)이 의미, 辛(매울 신)은 발음. 辛과 木의 일부 획이 겹쳐 있다. 본뜻과 상관없이 ‘새로운’(new)이라는 의미로 많이 쓰인다. 2) 도끼 근(斤) + 나무 목(木) + [매울 신(辛)] 뜻을 나타내는 쪼갤 석(析=木+斤)자와 매울 신(辛→立)자가 합쳐진 글자. 도끼(斤)로 나무(木)를 쪼갠 자리가 깨끗.. 2022. 9. 28.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5)-Hanja in elementary school(25)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5) - 심술(心術), 지독(至毒) 심술(心術) cranky, ill-tempered 心(마음 심), 術(꾀 술) 마음의 꾀, 남을 골리기 좋아하거나 남이 잘못되는 것을 좋아하는 마음, 국어, 1-2 01-015 일어: [心術: しんじゅつ 신주츠], 중어: 心术 [xīnshù 신슈] 心*마음 심(心-4, 7급) 1) 心자는 心臟(심장)의 모습을 본뜬 것으로 ‘심장’(the heart)이 본뜻, ‘가슴’(the breast; the chest) ‘마음’(heart, mind)을 뜻하는 것으로도 확대 사용. 2) 사람의 심장꼴,심장을 그려서 ‘마음’을 뜻하였는데 그는 깊은(深) 곳에 있어 들여다볼 수가 없으니 音은 ‘심’이다. 다른 자의 변으로 쓸 때는 忄, 밑에 쓸 때는 㣺이다. .. 2022. 7.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