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교과서 한자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5)-Hanja in elementary school(25)

by propup77 2022. 7. 19.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5) - 심술(心術), 지독(至毒)

심술(心術) cranky, ill-tempered 心(마음 심), 術(꾀 술)
마음의 꾀,
남을 골리기 좋아하거나 남이 잘못되는 것을 좋아하는 마음, 국어, 1-2 01-015
일어: [心術: しんじゅつ 신주츠], 중어: 心术 [xīnshù 신슈]

心*마음 심(心-4, 7급)


1) 心자는 心臟(심장)의 모습을 본뜬 것으로 ‘심장’(the heart)이 본뜻, ‘가슴’(the breast; the chest) ‘마음’(heart, mind)을 뜻하는 것으로도 확대 사용.

2) 사람의 심장꼴,심장을 그려서 ‘마음’을 뜻하였는데 그는 깊은(深) 곳에 있어 들여다볼 수가 없으니 音은 ‘심’이다. 다른 자의 변으로 쓸 때는 忄, 밑에 쓸 때는 㣺이다. 심장에 있는 마음은 정(情)이고, 두뇌에 있는 마음은 지(知)고, 배에 있는 마음은 의(意)

3) depiction of the human heart and the arteries(동맥) connected to it, symbolizes emotion or characteristics.

術*꾀 술(行-11, 6급)

1) 術자는 ‘네거리’를 뜻하는 行(행)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朮(차조 출)이 발음 요소, 述(지을 술). 원래는 ‘(도읍지의) 한 길’(a main street)이란 뜻이었는데, 후에 ‘기술’(skill) ‘예술’(art) ‘꾀/재주’(ability) 등으로 확대 사용됨.

2) 다닐 행(行) + [차조/삽주 출(朮)→술] 길(行)을 만드는 기술이나 재주를 의미합니다. 다닐 행(行) 자는 사거리의 상형.

3) 술(朮)을 가지고 다니면서(行) 술을 먹여 ‘꾀’을 쓰는 것이다. 技術(기술) 藝術(예술) 術策(술책) 術數(술수)

4) 다닐 행(行)+차조/삽주 출(朮) 차조 줄기(朮)처럼 뻗은 길(行)처럼 해결에 통하는 길>재주

5) 朮 (pass through) + 行 (straight, crossing roads) → *path* through which one passes. *Rule*, *art* and *method* are figurative paths.

지독(至毒) severe, intense, 至(이를 지), 毒(독 독)
독함에 이름, 더할 나위 없이 매우 독함 국어, 1-2 01-015
일어: [至毒:し どく히도쿠], 중어:至毒[Zhì dú 지두]

至*이를지(至-6, 5급)

1) 至자는 矢(화살 시)가 거꾸로 된 것과 목표지점을 표시하는 ‘一’로 구성됨. 즉 화살이 목표지점에 떨어지는 것을 본뜬 것을 통하여 ‘이르다’(arrive) ‘미치다’(reach) ‘닥치다’(approach)는 뜻을 나타냄.

2) 화살(矢)이 땅(土)에 떨어지는 모습을 본떠만 글자. 땅에 도달했다는 의미로 이를지(至)로 사용.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보다 소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다른 글자와 만나면 질, 실로 소리 남.

3) 문(說文)에는 새가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앉아서 땅에 ‘이르다’는 뜻이다. 또는 땅(土)에서 하늘(一)로 향하는 화살표(厶)를 했으니 ‘높이 이르는’ 것이다. 至極(지극) 冬至(동지) 夏至(하지)

4) a bird (𠫔) folding it wings and darting straight towards the earth (土) << to go to; to arrive; to reach

5) depicts 矢 arrow arriving at a target, its *stopping point* → *arrive*; *reach*; *lead to*; *proceed*; *come*; *extend to* → *come to do*; *bring about*; *result in*. In derivative characters such as 疾, 耋, 銍 and 絰, 至 suggests specifically the stopping point of a life.

毒*해로울 독(毋-8, 5급)

1) 毒자는 ‘싹 날 철’(屮)과 ‘음란할 애’(毐)가 합쳐진 것으로, ‘독풀’(poisonous herb)이 본뜻. 후에 ‘독하다’(poisonous) ‘해롭다’(harmful; injurious) 등으로 사용.

2) 독(毒) 자는 머리 장식이나 화장을 많이 한 여자(母)의 모습. 이러한 여자는 남자를 파멸로 이끄는 독(毒)과 같은 여자라는 의미가 담김.

3) 生의 변형+母, 풀이 자라는(生) 데 도움이 되는 母의 역할을 하는 밭(田)이 있어 ‘두텁게’ 자라서 인간을 해치는 독한 풀더미이다.

4) 生의 변형+母(無의古字), 생(生) 명을 부정(母)하는 ‘독’이다. 音은 ‘독’이니 약성이 너무 독(篤) 한 것은 독약(毒藥)이고, 약성이 너무 극(極) 한 것은 극약(劇藥)이다. 毒藥(독약)

5) 生 (fresh, slender grass shoots) + 母 (succession of offspring) → stir boiled herbs in a cooking vessel (compare 融 and 熟) for use as an aphrodisiac →*poison* (← stimulant drug) → *damage*; *ruin*; *extreme*.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