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교과서 한자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19) - Hanja in mathematics(19)

by propup77 2022. 7. 17.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19) - 문방구(文房具), 공부(工夫)

문방구(文房具) stationary, 文(문 문), 房(방 방), 具(갖출 구)
문구를 집에 갖춤, 학용품과 사무용품 따위를 통틀어 일컫는 말, 수학, 1-2 01-006
일어: [文房具:ぶんぼうぐ 분보우구], 중어:文房具 [wénfáng ju 웬빵주]

文*글월 문(文-4, 7급)

1) 文자는 가슴에 文身(문신)을 새겨 넣은 사람의 모습을 상형, ‘문신’(a tattoo)이 본뜻이라는 설, 교차 무늬를 본뜬 것으로 ‘무늬’(a pattern)가 본뜻이라는 설 등이 있음. ‘글자’(a character) ‘글월’(a sentence) 등으로도 쓰임.

2) 무늬가 놓인 모양. 교차한 무늬를 상형. 丿은 양획 乀은 음획인데 그 둘이 교차한 것을 머리(亠)로 덮었다. 따라서 사람이 머리로 생각하는 뜻을 음양획(乂)으로서 기록하는 ‘글’이다. 붓이 말하는 것은 書(서)이다. 文筆(문필) 文章(문장) 文字(문자)

3) crossing lines; veins; wrinkles; ripples, etc.: a sketch; literary; genteel; elegant

4) A depiction of a fine, detailed *pattern* covering the surface of curved earthenware → *writing*;*literature* (← detailed work); *decorate*; *character*; *letter*; *sentence* → a *letter/note*.

房*방 방(戶-8, 4급)

1) 지게/집 호(戶) + [모 방(方)] 외쪽 문(戶)으로 들어가는 쪽(方)에 있는 작은 ‘방’이다. 사람이 가득히 있는 큰방은 室(실)이고 방으로 들어가는 마루는 堂(당)이다. 房門(방문)

2) 지게 호(戶)+모/방향 방(方) 지게문(戶)이 달려 들어가는 방향(方)이 있는 방> 방

3) 戶 (house) and 方 as phonetic: side rooms next to the main room in a traditional Chinese house.

4) 方 (spread right and left, or in all directions) + 戸 door (→ room) → the rooms of a spreading (= expansive) residence → *room*; *house*. *Tassel*, *tuft*, *cluster*, *bunch* and *section/segment* (of fruit) are borrowed meanings.

具*갖출 구(八-8획, 5급)

1) 具자가 원래는 ‘들다’(raise; lift up)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솥 정’(鼎)과 ‘받들 공’(廾)을 합쳐 놓은 것이었는데, 글자 모양이 대폭 간소화되어 ‘갖추다’(prepare) ‘차리다’(make ready) ‘도구’(a tool) 등으로 확대 사용.

2) 솥 정(鼎) + 손 맞잡을 공(廾) 두 손(廾)으로 솥(鼎→貝)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집에 솥을 '갖춘다.'는 의미. 구비(具備)란 빠짐없이 갖춘다는 의미.

3) 貝(조개 패)+廾(두 손받칠공), 두 손(廾)으로 화폐(貝)를 잡았으니 여러 물건을 ‘갖추어’ 무엇이나 살 수가 있다.

4) 目(눈 목)+廾, 정자 통(正字通)에는 “눈(目)으로 보는 것을 두 손(廾)으로 갖춰 드는 것이다”라고 했다. 道具(도구) 器具(기구) 具足(구족) ☞算(셀산): 竹+具

5) Two hands heaping up cowries (貝 > 目): to heap up; to hoard up; to prepare

6) 鼎 tripod kettle/cauldron + an abbreviated form of 共 (act jointly in making an offering) → act together to *equip* a vessel for offering → *equipment*; *implement*; *tool*. Also, *means* and *ability* (← have the means/ability to equip). In 颶, 具 appears in a variant form.

공부(工夫) study, 工(힘쓸 공), 夫(지아비 부)
학문(學問)이나 기술(技術)을 닦는 일, 수학, 1-2 01-006
일어: [勉強: べんきょう 뱅쿄우] 중어:学习[xuéxí 슈에시]

工*장인 공(工-3, 7급)

1) 工자는 ‘곱자’(carpenter’s square), 즉 직각 선을 그을 때 사용하는 자의 상형. 목공들의 필수품으로, ‘장인’(a craftsman) ‘목수’(a carpenter)의 뜻으로 확대 사용.

2) 진흙을 바르고 고르는 데 사용되는 흙손(시멘트 등을 바르는 데 사용하는 도구), 진흙을 다지는 데 사용하는 도구, 목수가 사용하는 끌, 대장장이가 쇠를 벼리기 위한 모루 등등. 장인 공(工) 자는 부수임에도 불구하고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드물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글자로는 교묘할 교(巧) 자 정도. 대부분의 경우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로 사용.

3) (부수 명칭=장인 공): 一(하늘)+丨(사람)+一(땅), 사람이 하늘과 땅을 연결하여 무엇을 ‘만들’다. 하늘과 땅 사이에 사람의 특징은 무슨 물건을 ‘만드는’ 것이다. 공인이 물건을 만들 때 쓰는 자의 상형이니 곡척으로 사용했다. 工人(공인) 工業(공업) 工作(공작)

4) 工 is mostly used as phonetic part of character, except for 巧(ingenious)

5) A depiction of a long hollow tube used as a tool both to pierce and to connect → *work*;*construct* (← work/construct using connecting pipes/tubes) → *artisan*; *specialist*; *skillful*.

夫*지아비 부(大-4, 7급)


1) 큰 대(大) + 하나 일(一), 夫자는 성인[大]의 머리에 비녀[一]를 꽂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성년 남자’(adult man)가 본래 의미, ‘지어미’(wife)의 짝인 ‘지아비’(husband)란 뜻으로 확대 사용됨. ‘힘든 노동을 하는 사람’(coolie)을 뜻함.

2) 가정에서는 ‘남편’이고 사회에서는 ‘인부’를 뜻함. 夫는 다음에 父(아비부)가 되니 音이 ‘부’이다.

3) ‘지아비(夫)’는 남편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대(大)는 사람이고 , 가로획[一]은 비녀를 꽂은 모양. 옛날에는 스무 살이 되면 관례를 올리고 머리를 끌어올려 정수리에 상투를 틀고 비녀를 꽂음. 성인 남자라는 뜻.

4) A grown up man (大) with a pin (一) in his hair to show that he is of age

5) A depiction of an outstretched male (compare 大 stand outstretched) with a topknot(비녀) → *mature male* → *husband*. The most ancient pronunciation of this term was PA (compare 母).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