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3) - 부자(富者), 결국(結局)
부자(富者) rich, 富(부자 부), 者(사람 자)
부자인 사람, 돈이 많은 사람. 국어, 1-2 01-012
일어: [富者: ふしゃ 후샤], 중어:富人 [fùrén 뿌렌]
富*부자 부(宀-12획, 4급)
1) 집 면(宀) + [찰 복(畐)→부] 가득 차 있는 항아리(畐)가 있는 집(宀)은 부자(富者-rich)라는 의미.
2) 福 {복} 있는 집(宀)이라 할 수 있으나, 집(宀)과 밭(田)이 있는데 식구(口)는 하나(一)뿐이니 ‘부유하다’는 뜻이 된다. 音은 畐(복)의 변음이다. 富者(부자) 富裕(부유)
3) 집 면(宀)+바퀴살 복(輻) 재산이 바큇살처럼(輻) 집(宀)으로 몰려온다> 부유하다
4) 畐 as described in 副 (abundance) + 宀 roof/building → building stocked with *abundant*possessions → *wealthy*; *become wealthy*.
者*놈 자(耂-9, 6급)
1) 놈 자(者)자는 늙을 로(老) 자 아래에 가로 왈(曰) 자를 한 것처럼 보이지마는 여기서는 늙을 로(老) 자가 아니라, 쌀 미(米) 자의 변형. 쌀 미(米) 자와 가로 왈(曰) 자를 합하여 쌀을 먹는 사람(human)이라는 뜻이 됨. 도자(道者) 선자(善者) 선자(選者) 당선자(當選者) 비자(非者)
2) 다른 글자 뒤에 자(者)자를 붙여 하나의 사물을 이르는 것을 말함. 요즈음 어휘로 설명한다면, ‘것,바’와 같은 불완전 명사로서 다른 말과 결합해 사물을 가리키는 명사 역할
3) 위는 태울 나무의 모양이고 아래는 불을 그리고 있는 점에 착안해 ‘태우다’가 본뜻이라고 함. ‘분명하다’는 뜻이 되고, 가차로 ‘사람, 것, 바’의 뜻을 나타내게 되었다고 설명. 상형자로 취급하기도 한다.
4) A depiction of brushwood/firewood piled on a stove. However, 者 was borrowed for use as a demonstrative pronoun, later evolving in meaning to the sense of "the one who does this" → *person*. The present form of 者 and certain derivative characters of 者 eliminate a diagonal stroke above 日, such as is retained for example in 堵, 屠 or 奢.#diagonal(사선의).
a
결국(結局) finally, 結(맺을 결), 局(판 국)
판을 맺음 일이 마무리되는 마당이나 일의 결과가 그렇게 돌아감. 국어,1-2 01-014
일어:[結局:けっきょく 개꾜꾸], 중어:结局 [jiéjú 찌에주]
結*맺을 결(糸-12, 5급)
1) 結자는 ‘맺다’(tie up; knot)는 뜻, ‘실 사’(糸)가 의미 요소. 吉(길할 길)이 발음 요소. 袺(옷섶 잡을 결).
2) 실 사(糸) + [길할 길(吉)→결] 실로 묶어서 매듭을 맺는다는 의미.
3) 糸(=絲,실사)+吉, 서로 관계가 없는 것이 길(吉)하게 인연(絲)을 ‘맺는’ 것이다. 音은 吉의 변음이다. 크게 인연을 맺는 것은 締(맺을 체)다. 結束(결속) 結婚(결혼) 結論(결론)
4) 吉 (reduce/eliminate space) + 糸 thread → use thread or a cord to *bind/tie* and thus compact an object → *join*; *make/conclude* (a contract/treaty etc.) → *end*; *wind up* (←finish binding/joining).
局*판 국(尸-7획, 5급)
1) 局자는 ‘법도 측’(尺)과 ‘입 구’(口)가 조합된 것이었는데, 전체적인 배치와 균형감을 위해서 尺의 모양이 약간 달라졌다. ‘소견이 좁다’(narrow-minded)가 본뜻, ‘구획’(a section) ‘판국’(a situation) ‘재간’(ability) 등으로도 쓰임.
2) 주검 시(尸) + [글귀 구(句)→국] 집(尸)의 일부분인 방을 의미하는 글자, '방'이나 '부분'이라는 뜻을 가졌으나, 나중에 '판'이라는 의미가 생겨남.
3) 口+ 尺, 원래훈은 ‘재촉하다’이다. 일설에는 바둑두는 것을 상형한 것이다.
4) 囗(圍에울위)+勹+口, 큰 구역(囗) 내서 일부분을 싼(勹) 작은 구역(口)이라 즉 ‘한쪽 판’이다. 그래서 ‘관서’ 이름으로 쓰고, 또한 바둑이란 뜻으로도 쓴다. 政局(정국)
5) a pair of bending lines demarcating a narrow frame → bracket; compartment → *office*; *bureau*; *department* → *situation* (← circumstances dealt with by a specific authority). The present shape is via a seal inscription form of the character. Compare 句.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4)-Hanja in elementary school(24) (0) | 2022.07.16 |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18)- Hanja in mathematics(18) (0) | 2022.07.14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17)- Hanja words in mathematics(17) (0) | 2022.07.11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2)-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22) (0) | 2022.07.10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16)- Hanja words in mathematics(16) (0) | 2022.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