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17) - 종류(種類), 방법(方法), 분류(分類)
종류(種類) type, kind 種(종족 종), 類(무리 류)
일어: [種類:しゅるい 슈 루이], 중어:种类 [zhǒnglèi 종 레이]
종족의 무리, 물건을 부문에 따라 나눈 갈래. 수학, 1-가 08-120
a group of species or section that is classified in acccordance with part of each thing
種*씨 종(禾-14획, 5급)
1) 種자는 ‘(벼 등 곡식의 씨를) 뿌리다’(sow)는 뜻을 나나 냈던 글자, ‘벼 화’(禾)가 의미 요소, 重(무거울 중)이 발음 요소 腫(부스럼 종). 후에 ‘심다’(plant) ‘종류’(a kind) 등으로 확대 사용.
2) 벼 화(禾) + [무거울 중(重)→종] 귀중(重)한 벼(禾)알은 ‘씨’다. 무릇 씨는 땅에 뿌리고 심으며 각각의 종류가 있다. 音은 重의 변음이다. 種子(종자) 種族(종족) 種類(종류)
3) 벼 화(禾)+무겁다/겹치다 중(重) 벼(禾)를 소금물에 담구어 무겁게(重) 가라앉는 것> 씨앗, 종자
4) 重 (run through) + 禾 grain/rice → run seeds/saplings through soil in planting → *seed* → *type*; *kind*; *sort*; *species* (← seed as the type of the plant it will become) → *cause*;
類*무리 류(頁-19, 6급)
1) 類자는 ‘닮다’(resembl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글자, ‘개 견’(犬)이 의미 요소로 쓰인 것은 개는 얼굴 모양이 대개 서로 비슷하여 분간하기 어려울 정도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 나머지는 발음 요소. 후에 ‘(닮은) 무리’(group), ‘가리다’(classify)는 뜻으로 확대 사용.
2) 머리 혈(頁) + 쌀 미(米) + 개 견(犬) 쌀알(米)들이 모두 비슷비슷하고, 개(犬)들의 머리(頁) 자 모두 비슷비슷하다는 의미이며, 이런 비슷비슷한 것들이 무리를 이룬다는 의미.
3) 米(쌀미)+犬(개견)+頁(머리혈), 사람의 머리(頁)로서 생각해볼 때 쌀(米) 낱알이나 개들(犬)은 각각 구별할 수 없을 만큼 서로 같은 ‘종류’다. 비슷함은 특히 개(犬)가 더 심하므로 설문에서는 犬이 부수이다. 音은 流(흐를 류)와 통한다. 種類(종류) 類似(유사)
4) 犬 dog/beast (→ animals in general) + an element# combining 米 rice (→ plants in general) and 頁(people) → sort a variety of things according to type, creating smaller piles → *variety*; *kind* → *broadly*.
방법(方法) method, 方(방법 방), 法(법 법)
일어:方法 [ほうほう 호호], 중어:方法 [fāngfǎ 팡뽜]
방향으로 가는 법, 일정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手段). 수학 1-가 08-120
a careful or organized plan that controls the way something is done
方*모 방(方-4, 7급)
1) 方자는 농기구의 일종인 쟁기 모양을 본뜬 것으로 ‘쟁기’(plow)가 본래 의미. ‘네모’(square) ‘모서리’(angle) ‘방향’(direction) ‘방법’(method) 등으로도 쓰인다.
2) 양쪽에 손잡이가 달린 쟁기의 모양→나란히 하다, 바람에 날리는 깃발의 모양→네모, 사방
3) 두 척의 배를 묶은 모양. 甲骨文字에서는 사람이 북쪽에서 동서를 잡고 남쪽으로 ‘방향’을 정한 형상. 四方으로 직선을 그으면 ‘네모’가 되는 것이다. 方位(방위) 四方(사방) 方今(방금) 向方(향방) 方正(방정) 方法(방법)
4) two boats lashed(밧줄로 묶인) together, so that they make a ferry boat, a pontoon(수상 플랫폼), a square barge << square; regular; correct; a rule
5) A variation on the shape of a plow(方) – a field is square shape after proper plowing. Also signifies direction as square has points facing to all four directions.
法*법 법(水-8, 6급)
1) 法자가 원래에는 ‘水+廌(해태 치)+去’의 복잡한 구조였다. 죄악을 제거[去]함에 있어 수면[水]같이 공평무사하게 하는 데 필요한 것이 ‘法’이라 풀이하기도 한다. ‘형벌’(punishment) ‘법률’(law) ‘가르침’(teaching) 등으로도 쓰인다.
2) 물 수(氵)+갈 거(去) 물(水)이 높은데서 낮은 곳으로 흘러가는(去) 것은 자연의 법이다→법
3) 氵+去(갈거, 없앨 거), 水평적인 질서를 위해 죄악을 除去(제거)하는 수단으로 규정한 ‘법’이다. 또는 물(氵)이 흘러가는(去) 것처럼 변화되는 사회 정세에 따라 개정하라는 뜻도 있다. 法規(법규)
4) It is a natural phenomenon for water(氵) to flow(去) from high to low altitudes. For people to live in harmony, there are laws that must be adhered to.
분류(分類) classification, 分(나눌 분), 類(헤아릴 류)
일어: [分類:ぶんるい 분루이], 중어:分类 [fēnlèi 쀈레이]
나누어 헤아림, 종류에 따라서 나눔. 수학 1-가 08-120
the act or process of putting people or things into groups based on ways that they are alike
分*나눌 분(刀-4, 5급)
1) 分자는 ‘나누다’(divid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八’과 ‘刀’를 합쳐 놓은 것이다. 이 경우의 ‘八’은 ‘8’이 아니라 칼[刀]로 나누어 놓은 ‘두 동강’의 물체. ‘분별하다’(distinguish) ‘분수’(one’s status) ‘직분’(one’s duty) ‘몫’(share)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쓰인다.
2) 八(쪼갤팔)+刀(칼도), 칼(刀)로 쪼개(八)서 ‘나누는’ 것이다. 인간은 누구나 하늘에서 나누어준 天分(천분)과 사회에서 나누어준 職分(직분)이 있다. 일 등을 나누어 맡는 것은 분담(分擔), 분열(分列)은 각각 갈라져서 늘어서는 것. 분열(分裂)은 찢어져 나눔. 분외(分外)는 ‘제 분수 이상’의 뜻.
4) 칼 도(刀)+여덟/나눌 팔(八) 칼(刀)로 여덟 팔(八) 자 모양으로 가운데로 나눔(八)>나누다
3) To divide in half(八) with a knife (刀).
A ‘minute’ is a division of time, a ‘point’ is a division of grades or levels, and ‘fen’ is the smallest denomination of Chinese currency. (1分 = 1/100元 = 1/10角)
類*무리 류(頁-19, 6급)
1) 류(類) 자는 ‘비슷할’ 뢰(頪)와 ‘개’ 견(犬)으로 파자할 수 있음. 개를 비슷한 것끼리 무리로 묶는 것. 『설문』에서 “종류가 서로 비슷한데,유독 개에서 가장 분명하게 나타난다”라고 설명
2) 쌀 미(米)+머리 혈(頁)+개 견(犬) 쌀겨(米)를 머리(頁)에 묻힌 개(犬)는 구별하기 어려워 비슷하게 보인다>비슷하다
3) Heads (頁) of vegetables (米) and animals (犬): species; sort; kind.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18)- Hanja in mathematics(18) (0) | 2022.07.14 |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3)-Hanja in elementary school(23) (0) | 2022.07.13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2)-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22) (0) | 2022.07.10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16)- Hanja words in mathematics(16) (0) | 2022.07.07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1)-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21) (0) | 2022.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