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학교 교과서 한자어휘20

중학교 교과서 한자(58)-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58) 중학교 교과서 한자(58) - 基盤(기반), 角逐場(각축장) 基盤(기반) foundation bed, 基(터 기), 盤(소반, 받침, 바탕 반) 일어: 基盤 [きばん 키방], 중어: 基盘[ jīpán 찌판] 기초가 될 만한 바탕. 기본이 되는 토대. 생활 기반(基盤)을 튼튼히 하다. Strengthen the foundation of life. 基*터 기(土-11획, 5급) 基(jī) 1) 基자는 ‘흙 토’(土)가 부수이자 의미, 其(그 기)는 발음. ‘(흙담의) 밑 부분’(the base)이 본뜻, 후에는 ‘밑바탕’(the foundation) ‘첫 단계’(the first stage) 등으로 확대 사용. 2) 흙 토(土) + [그 기(其)] 그(其) 땅(土)은 어떤 건물을 짓는 ‘터’다. 건물을 지을.. 2023. 9. 2.
중학교 교과서 한자(57)-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57) 중학교 교과서 한자(57) - 氷菓用(빙과용), 冷凍庫(냉동고) 氷菓用(빙과용) for frozen desserts, 氷(얼음 빙),菓(과자 과), 用(쓸 용) 일어:氷菓用[ひょうか よう 효까요], 중어:冰糕用[bīnggāo yòng 빙까오 용] 얼음과자(아이스케이크·아이스크림 등)의 용도에 쓰는 것 아무리 작은 구멍가게라도 빙과용(氷菓用)냉동고는 꼭 있다. Even the smallest hole-in-the-wall store will have a freezer for ice cream. 冰(氷)*얼음 빙(水-5, 6급) 冰 [bīng 삥~] [氷/冰: ひ 효/히] 1) 氷자의 원형은 ‘얼음’(ice)을 뜻하기 위하여 두 덩어리의 얼음을 본뜬 ‘冫’이었다. 이것이 너무나 간단하여 다시 ‘물 수’(水).. 2023. 6. 30.
중학교 교과서 한자(55)-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55) 중학교 교과서 한자(55) - 多樣性(다양성), 嗜好食品(기호식품) 多樣性(다양성) diversity, 多(많을 다), 樣(모양 양), 性(성품, 성질 성) 일어: 多様性[たようさが 타요세이], 중어: 多樣性[duōy&agravengx&igraveng 두오양싱] 모습이나 상태가 여러 가지로 많은 성질. 사회 문화의 다양성(多樣性)을 인정해야 한다. Recognize the diversity(多樣性) of societal cultures. 多*많을 다(夕-6, 7급) 多(duō) 1) 多자는 갑골문에 등장될 정도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그 자형 풀이에 대하여는 정설이 없다. 두 글자가 중첩되어 있기에 중첩된(duplicated)이란 뜻으로 쓰였고, 다시 많다(plentiful)는 뜻으로도 확대 사용.. 2023. 5. 31.
중학교 교과서 한자(52)-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52) 중학교 교과서 한자(52) - 生態系(생태계), 攪亂(교란) 生態系(생태계) ecosystem, 生(날 생), 態(모습 태), 系(체계 계) 일어: 生態系 [せいたいけい-세타이께], 중어: 生态系[shēngtàixì 쉥타이시] 여러 생물이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사는 세계. 생태계(生態系)의 먹이사슬을 파악해야 한다.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ood chain of the ecosystem. 生*날 생(生-5, 8급) 生(shēng) 1) 生자는 ‘돋아나다’(bud; sprout; spring up)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땅거죽을 뚫고 갓 돋아 난 새싹 모양을 그린 것. 생명이 태어나는 것을 풀이 돋아나는 것에 비유하였기에 ‘태어나다’(be born) ‘살다’(liv.. 2023. 3. 29.
중학교 교과서 한자(51)-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51) 중학교 교과서 한자(51) - 國民樂派(국민악파), 和音(화음) 國民樂派(국민악파) nationalist school, 國(나라 국), 民(백성 민), 樂(음악 악), 派(갈래 )파 일어:国民楽派[こくみん がくは 고꾸민가꾸와], 중어:国民乐派[guómínyuèpài 구어민유에파이] 19세기 중엽부터 20세기에 걸쳐 러시아, 보헤미아, 북유럽 등지에서 국민적ㆍ민족적 특색을 살리기 위하여 그들 고유의 리듬과 가락을 넣어 곡을 만든 유파. 엘가는 영국의 작곡가로 국민악파(國民樂派)의 한사람이다. Elga is an English composer who is one of the nationalist school. 國*나라 국(囗-11, 8급) 国 [guó 꾸어], [國: コク(Koku 고꾸);くに(kuni 꾸니.. 2023. 3. 22.
중학교 교과서 한자(49)-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49) 傑作(걸작) masterpiece, 傑(뛰어날 걸), 作(지을 작) 중학교 교과서 한자(49) - 傑作(걸작), 古典(고전) 傑作(걸작) masterpiece, 傑(뛰어날 걸), 作(지을 작) 일어: 傑作 [けっさく 케싸꾸], 중어: 杰作[jiézuò 지에쭈오] 썩 훌륭한 작품. 걸작품. ↔졸작. 이 건물은 그의 건축 중에서 최고의 걸작(傑作)이 될 것이다. This building will be the greatest masterpiece of his architecture. 傑*뛰어날 걸(人-12, 4급) 杰(jié) 1) 傑자는 ‘재주와 슬기가 뛰어난 사람’(a great man)을 일컫기 위해서 만들어진 글자. ‘사람 인’(亻)이 의미. 桀(홰 걸)은 발음. ‘출중하다’(outstanding)는 .. 2023. 3. 8.
중학교 교과서 한자(47)-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47) 중학교 교과서 한자(47) - 階級(계급), 品位(품위) 階級(계급) class stratum rank 階(섬돌 계), 級(등급 급) 일어: 階級 [かいきゅう 카이뀨], 중어: 阶级[jiējí 찌에찌] 지위·관직 등의 등급. 계급(階級)은 군대에서나 따지는 것이다. Rank is a matter of the military things. 階*섬돌 계(阜-12, 4급) 1) 階자는 비탈진 곳을 미끄러지지 않고 잘 내려올 수 있도록 설치한 층층대, 즉 ‘섬돌’(stairs)을 뜻하기 위한 글자, ‘산비탈 부’(阝)가 의미. 皆(다 개)는 발음. ‘등급’(grade)을 뜻하기도 한다. 2) 언덕 부(阜/阝) + [다 개(皆)→계] 섬돌은 높은 곳을 오르내리는 돌층계. 언덕과 같이 높은 곳을 올라가기 위해 섬돌.. 2023. 2. 15.
중학교 교과서 한자(46)-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46) 중학교 교과서 한자(46) - 脈絡(맥락), 豫測(예측) 脈絡(맥락) context, 脈(줄기 맥), 絡(이을 락) 일어: 脈絡 [みゃくらく 먀꾸라꾸], 중어: 脈絡 [Màiluò 마일루오] 혈맥이 서로 연락되어 있는 계통. 사물이 서로 이어져 있는 관계나 연관. 일련의 사건을 같은 맥락(脈絡)으로 파악하다. A series of events was grasped as a same context. 脈*줄기 맥(肉-10, 5급) 1) 脈자는 피가 몸으로 순환하는 줄기, 즉 ‘맥’(pulse)을 뜻하기 위해서 ‘고기 육’(肉=月)과 ‘길 영’(永)을 합쳐 놓은 것이다. 脈의 오른쪽 요소는 ‘永’의 이체(異體)이다. 그래서 ‘脉’으로 쓰기도 한다. 후에 ‘줄’(line) ‘연잇는다’(join together).. 2023. 2. 8.
중학교 교과서 한자(45)-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45) 중학교 교과서 한자(45) - 背景(배경), 經驗(경험) 背景(배경) back ground, 背(등 배), 景(볕, 경치 경) 일어: 背景 [はいけい 하이께이], 背景 [bèijǐng 뻬이지잉] 어떤 일이나 사건의 시간·공간, 사회적인 주위 여건이나 환경. 역사적 배경(背景)을 살펴보다. Looking around the historical back ground. 背*등질 배(肉-9, 5급) 1) 背자의 본래 글자인 北(북/배)은 두 사람이 등을 돌리고 있는 모양으로 ‘등을 돌리다’(betray)가 본뜻, 이것이 ‘북쪽’(the north)을 가리키는 것으로 더 많이 쓰이자, 그 본뜻을 위해서 만든 것이 바로 ‘背’. 2) 고기 육(肉/月) + [달아날 배(北)] 두 사람(匕,匕)이 서로 등을 대고 앉아.. 2023. 2. 1.
중학교 교과서 한자(44)-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44) 중학교 교과서 한자(44) - 損害(손해), 淸純(청순) 損害(손해) damage loss, 損(덜 손), 害(해할 해) 일어: 損害 [そんがい 송가이], 중어:损害 [sǔnhài 쑨 하이] 금전적·물질적으로 본디보다 밑짐. 홍수로 막대한 손해(損害)를 입었다. He got damaged a lot by flood. 損*덜 손(手-13, 4급) 损(sǔn) 1) 損자는 ‘수가 줄다’(get fewer)가 본뜻으로, ‘손 수’(手=扌)와 ‘인원 원’(員), 모두가 의미. ‘감소하다’(decrease) ‘손해보다’(suffer a loss) ‘해를 입다’(suffer damage)등으로도 쓰임. 2) 손 수(扌=手)+인원/둥글다 원(員); 구성된 인원(員)을 하나씩 손(扌=手)으로 빼내다>덜다 3) 扣(두드.. 2023. 1.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