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6)-Hanja in mathematics(56)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6) - 양로원(養老院), 승리(勝利) 양로원(養老院) nursing home, 養(돌볼 양), 老(노인 노), 院(집 원) 일어: 養老院 [ようろういん 요로인], 중어:[yǎnglǎoyuàn 양라오위애] 노인을 돌보는 집, 의지할 데 없는 노인들을 돌보아 주는 시설. 수학, 2-1 04-054 養*기를 양(食-15획, 5급) 养[yǎng 야앙] 1) 養자는 원래 ‘양’(羊)과 ‘칠 복’(攴=攵)이 합쳐진 것으로 ‘양치다’(breed sheep)는 뜻, ‘羊 + 食’의 구조로 바뀌었고, ‘기르다’(breed) ‘받들어 모시다’(wait upon) 등으로도 확대 사용. 2) 밥 식(食) + [양 양(羊)] 양(羊)을 먹여서(食) 기른다. 3) 羊+食, 양(羊)을 먹여(食) ‘..
2023. 3. 7.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0)-Hanja in elementary school(50)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0) - 표정(表情), 상황(狀況) 표정(表情) (faicial)expression, 表(겉 표), 情(뜻 정) 일어: [表情: ひょうじょう 효-조], 중어: 表情 [biǎoqíng 삐야오칭] 뜻이 겉으로 드러난것, 마음속에 품은 감정이나 정서 따위의 심리 상태가 겉으로 드러남, 국어, 1-2 01-044 表*겉 표(衣-8, 6급) 表 [biǎo 삐아오] 1) ‘털 모’(毛) + ‘옷 의’(衣) ‘털이 달린 겉옷’(fur coat)이 본뜻, 쓰기 편함을 위하여 그 毛자가 크게 달라졌다. 부수는 상대적으로 모양이 덜 바뀐 ‘衣’로 지정되어 있다. ‘겉’(surface) ‘나타나다’(become visible) ‘본보기’(model) 등으로 쓰임. 2) 二(上)+衣(옷의), 속옷 위..
2022. 12. 12.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5)-Hanja in mathematics(35)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5) - 배열(排列), 이해(理解) 배열(排列)-arrangement- sequence, 排(늘어설 배), 列(늘어설 열) 일어: [排列: はいれつ 하이레쭈], 중어: 排列 [páiliè 파이리에] 늘어서다, 일정한 차례나 간격에 따라 벌여 놓음. 수학, 1-2 05-047 排*밀칠/늘어설 배(手-11, 3급) 1) 排자는 손을 ‘밀치다’(push; thrust)라는 뜻의 글자, ‘손 수’(手)가 의미, 非(아닐 비)가 발음 -> 輩(무리 배), 徘(노닐 배). 후에 ‘물리치다’(exclude)는 뜻으로도 확대 사용. 2) 손 수(扌) + [아닐 비(非)→배] 그것이 아니(非)라고 손(扌)으로 ‘밀어내는’ 것이다. 또한 非자는 서열(序列)이 있으므로 손(扌)으로 排列(배열)..
2022. 10. 4.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4)-Hanja in mathematics(34)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4) - 지도(指導), 구조(構造) 지도(指導) guidance, 指(가리킬 지), 導(이끌 도) 일어: [指導: しどう 시도], 중어:指导 [zhǐdǎo 지~따오] 가리켜서 이끔, 어떤 목적이나 방향으로 남을 가르쳐 이끎. 수학 , 1-2 05-047 指*가리킬 지(手-9, 4급) 1) 指자는 ‘손가락’(a finger)을 뜻하기 위한 글자, ‘손 수’(手=扌)가 의미, 旨(뜻 지)는 발음. 후에 손가락으로 하는 행위, 즉 ‘가리키다’(point to; indicate)는 뜻도 나타냄. 2) 손 수(扌) + [맛있을 지(旨)] 손(扌)이 아름다움(旨)은 ‘손가락’이 있기 때문이다. 외관상 아름다운 指는 실용상으로는 무엇을 ‘가르치는’ 대도 쓰는 것이다. 指揮(지휘) 指示(..
2022.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