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어휘 영어풀이10

중학교 교과서 한자(52)-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52) 중학교 교과서 한자(52) - 生態系(생태계), 攪亂(교란) 生態系(생태계) ecosystem, 生(날 생), 態(모습 태), 系(체계 계) 일어: 生態系 [せいたいけい-세타이께], 중어: 生态系[shēngtàixì 쉥타이시] 여러 생물이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사는 세계. 생태계(生態系)의 먹이사슬을 파악해야 한다.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ood chain of the ecosystem. 生*날 생(生-5, 8급) 生(shēng) 1) 生자는 ‘돋아나다’(bud; sprout; spring up)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땅거죽을 뚫고 갓 돋아 난 새싹 모양을 그린 것. 생명이 태어나는 것을 풀이 돋아나는 것에 비유하였기에 ‘태어나다’(be born) ‘살다’(liv.. 2023. 3. 29.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6)-Hanja in mathematics(56)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6) - 양로원(養老院), 승리(勝利) 양로원(養老院) nursing home, 養(돌볼 양), 老(노인 노), 院(집 원) 일어: 養老院 [ようろういん 요로인], 중어:[yǎnglǎoyuàn 양라오위애] 노인을 돌보는 집, 의지할 데 없는 노인들을 돌보아 주는 시설. 수학, 2-1 04-054 養*기를 양(食-15획, 5급) 养[yǎng 야앙] 1) 養자는 원래 ‘양’(羊)과 ‘칠 복’(攴=攵)이 합쳐진 것으로 ‘양치다’(breed sheep)는 뜻, ‘羊 + 食’의 구조로 바뀌었고, ‘기르다’(breed) ‘받들어 모시다’(wait upon) 등으로도 확대 사용. 2) 밥 식(食) + [양 양(羊)] 양(羊)을 먹여서(食) 기른다. 3) 羊+食, 양(羊)을 먹여(食) ‘.. 2023. 3. 7.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2)-Hanja in elementary school(52)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2) - 여행(旅行), 방문(房門) 방문(房門) Room door, 房(방 방), 門(문 문) 일어:[房門: ぼう もん 보우몽], 중어:房门 [fángmén 퐝멘] 방의 문, 방을 드나드는 문. 국어, 1-2 01-051 房*방 방(戶-8, 4급) 1) 지게/집 호(戶) + [모 방(方)] 외쪽문(戶)으로 들어가는 쪽(方)에 있는 작은 ‘방-room’이다. 사람이 가득히 있는 큰방은 室(실)이고 방으로 들어가는 마루는 堂(당)이다. 房門(방문) 2) 지게 호(戶)+모/방향 방(方); 지게문(戶)이 달려 들어가는 방향(方)이 있는 방>방 3) From 戶 (house) and 方 as phonetic: side rooms next to the main room in a tradit.. 2022. 12. 26.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0)-Hanja in elementary school(50)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0) - 표정(表情), 상황(狀況) 표정(表情) (faicial)expression, 表(겉 표), 情(뜻 정) 일어: [表情: ひょうじょう 효-조], 중어: 表情 [biǎoqíng 삐야오칭] 뜻이 겉으로 드러난것, 마음속에 품은 감정이나 정서 따위의 심리 상태가 겉으로 드러남, 국어, 1-2 01-044 表*겉 표(衣-8, 6급) 表 [biǎo 삐아오] 1) ‘털 모’(毛) + ‘옷 의’(衣) ‘털이 달린 겉옷’(fur coat)이 본뜻, 쓰기 편함을 위하여 그 毛자가 크게 달라졌다. 부수는 상대적으로 모양이 덜 바뀐 ‘衣’로 지정되어 있다. ‘겉’(surface) ‘나타나다’(become visible) ‘본보기’(model) 등으로 쓰임. 2) 二(上)+衣(옷의), 속옷 위.. 2022. 12. 12.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9)-Hanja in mathematics(39)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9) - 개념(槪念), 위인전(偉人傳) 개념(槪念) concept, 槪(대강 개), 念(생각할 념) 일어: [概念: がいねん 까이넨], 중어: 槪念 [gàiniàn 까이니엔] 대강 생각해 보는 것 어떤 사물 현상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 수학,1-2 06-059 槪*대개 개(木-15, 3급) 1) 槪자는 ‘나무 목’(木)이 의미, 旣(이미 기)가 발음 -> 慨(분개할 개). 홉되 위에 수북한 곡식을 밀어 낼 때 쓰는 ‘평미레’(a strickle)가 본뜻. ‘대강’(roughly) ‘대개’(generally) 등으로도 쓰임. 2) 나무 목(木) + [이미 기(旣)→개] 대개 개(槪)자는 원래 평미레 개(槪)자다. 평미레란 곡식을 되로 잴 때, 그 위를 밀어서 고르게 하는 원기.. 2022. 11. 1.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3)-hanja in high school textbook(13)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3) - 連累(연루), 中風(중풍) 連累(연루) inculpatatory-be[get] involved in, 連(이을 련), 累(포갤 루) 일어: [連累 れんるい 렌뤼], 중어:连累 [liánlěi 리앤레이] 連累(연루):남이 일으킨 사건이나 행위에 걸려들어 죄를 덮어 쓰거나 피해를 입게 됨 連累(inculpatory):implying or imputing guilt, tending to incriminate or inculpate 罪相及也(죄상급야 : 죄가 서로 미침) 連坐也(연좌야) : 같은 자리에 나란히 앉음 連*이을 련(辶-11획, 4급) 1) 連자는 ‘길을 가다’는 뜻인 착(辶=辵=彳+止=‘길’+‘발자국’)과 ‘수레 거’(車)가 합쳐진 것으로, ‘인력거’(a ricksh.. 2022. 10. 6.
중학교 교과서 한자(28)-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28) 중학교 교과서 한자(28) - 五齡(오령), 蠶箔(잠박) 五齡(오령) Five-year-old (silkworm) 五(다섯 오), 齡(나이 령) 일어:[五齢: ごれい 고레이] 중어:五龄 [wŭ líng 우 링] 五齡(오령): 누에가 네 번째 잠을 자고 섶에 오를 때까지의 사이. 五齡(오령): The period of silkworm which woke up from fourth sleep till rising up to the bed for the fifth sleep 五齡蠶(오령잠)- Five-year-old silkworm 누에는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의 4단계를 거치며, 개미누에 가 실을 잣고 고치를 만들기까지 27~30일이 소요되며 4번의 수면과 4번의 털갈이가 있습니다. 각 털갈이 사이의 간.. 2022. 10. 5.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5)-Hanja in mathematics(35)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5) - 배열(排列), 이해(理解) 배열(排列)-arrangement- sequence, 排(늘어설 배), 列(늘어설 열) 일어: [排列: はいれつ 하이레쭈], 중어: 排列 [páiliè 파이리에] 늘어서다, 일정한 차례나 간격에 따라 벌여 놓음. 수학, 1-2 05-047 排*밀칠/늘어설 배(手-11, 3급) 1) 排자는 손을 ‘밀치다’(push; thrust)라는 뜻의 글자, ‘손 수’(手)가 의미, 非(아닐 비)가 발음 -> 輩(무리 배), 徘(노닐 배). 후에 ‘물리치다’(exclude)는 뜻으로도 확대 사용. 2) 손 수(扌) + [아닐 비(非)→배] 그것이 아니(非)라고 손(扌)으로 ‘밀어내는’ 것이다. 또한 非자는 서열(序列)이 있으므로 손(扌)으로 排列(배열).. 2022. 10. 4.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4)-Hanja in mathematics(34)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4) - 지도(指導), 구조(構造) 지도(指導) guidance, 指(가리킬 지), 導(이끌 도) 일어: [指導: しどう 시도], 중어:指导 [zhǐdǎo 지~따오] 가리켜서 이끔, 어떤 목적이나 방향으로 남을 가르쳐 이끎. 수학 , 1-2 05-047 指*가리킬 지(手-9, 4급) 1) 指자는 ‘손가락’(a finger)을 뜻하기 위한 글자, ‘손 수’(手=扌)가 의미, 旨(뜻 지)는 발음. 후에 손가락으로 하는 행위, 즉 ‘가리키다’(point to; indicate)는 뜻도 나타냄. 2) 손 수(扌) + [맛있을 지(旨)] 손(扌)이 아름다움(旨)은 ‘손가락’이 있기 때문이다. 외관상 아름다운 指는 실용상으로는 무엇을 ‘가르치는’ 대도 쓰는 것이다. 指揮(지휘) 指示(.. 2022. 9. 27.
중학교 교과서 한자(26)-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26) 중2 국어 교과서 한자(02) - 중도(中途), 開化(개화) 중도(中途) midway, 中(가운데 중), 途(길 도) 일어: [中途: ちゅうと 추또], 중어: 中途 [zhōngtú 쫑투] 중도(中途): 하던 일의 도중. 중도(midway): in the middle of an act, process, or period of time 中*가운데 중(丨-4, 8급) 1) 中자는 부락이나 군부대 등의 한복판에 꽂아둔 깃발 모양을 그린 글자. ‘사이’(between) ‘가운데’(middle) ‘한복판’(center) ‘안’(inside) 등의 의미를 나타냄. 2) 가운데 중(中)자는 북(ㅁ)을 막대기(ㅣ)나 깃발에 끼워 땅에 세워 놓은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이러한 북은 전쟁터에서 군대를 지휘하는 중심이 된다.. 2022. 9.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