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어원9

중학교 교과서 한자(09)-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09) 중학교 교과서 한자(09) - 壓縮(압축), 韻律(운율)-문학 교과서 壓縮(압축):압력을 주어 부피를 작게 하는 것. 壓縮 (compress):to press or squeeze (something) so that it is smaller or fills less space 壓(누를 압), 縮(줄일 축) 일어: [圧縮: あっしゅく 아슈끄], 중어:压缩 [yāsuō 야수오] 이 시는 압축(壓縮)의 묘미와 기발한 비유가 뛰어나다. This poem is excellent in the beauty of compression and ingenious metaphors. 壓*누를 압(土-17, 5급) 压(yā, yà) 1) 壓자가 본래는 ‘흙덩어리’(lump of earth)를 뜻하기 위한 글자, ‘흙 토’(土).. 2022. 7. 8.
중학교 교과서 한자(08) -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8) 중학교 교과서 한자(08) - 국어 - 無我之境 (무아지경), 心醉(심취) 無我之境(무아지경):정신이 한 곳으로 완전히 쏠려 자기 자신의 존재를 잊고 있는 경지 無我之 trance: a state in which you are not aware of what is happening around you because you are thinking of something else 無(없을 무), 我(나 아), 之(어조사 지), 境(지경 경) 일어:[無我の境: むがのきょう 무가노쿄], 중어:無我之境 [wúwǒ zhījìng 우워지지] 그녀의 춤사위는 보는 사람과 자신을 무아지경(無我地境)으로 몰아갔다. Her dance drove the viewers and herself into trance((無我地境). .. 2022. 7. 5.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15)- Hanja words in mathematics(15)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15) - 사진(寫眞), 안경(眼鏡) 사진(寫眞) photo, 寫(베낄 사), 眞(초상 진) ‘진짜 [眞]처럼 그대로를 그림[寫] 수학 1-가 08-120 draw things like real one. 일어: [写真: しゃしん 사씬], 중어:相片[xiàngpiàn 시안피앤] 寫*베낄 사(宀-15, 5급) 1) 寫자는 ‘집 면’(宀)이 부수이자 의미 요소다. 舃(까치 작)은 발음 요소,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음이 크게 달라졌다. ‘(물건을 집안으로) 옮겨놓다’(move to)가 본뜻이다. 후에 ‘글로 적다’(write), ‘베끼다’(copy; transcribe),‘그리다’(draw)는 뜻도 이것으로 나타냈다. 2) 宀(집면)+舃, 집(宀)에서 신(舃)을 신고 땅위를 걸으면 신.. 2022. 7. 4.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0)-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20)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0)- 파악(把握), 인형(人形) 파악(把握) grasp, understand, 잡을 파(把), 쥘 악(握) 잡아 쥠, 어떠한 일을 아주 잘 이해함 국어 1-2 01-011 일어: [把握:はあく 하아꾸], 중어:把握 [bǎwò 바워] 把*잡을 파(扌-7획, 3급) 1) 손 수(扌) + [꼬리 파(巴)] 扌+巴, 뱀(巴)이 나무를 감는 것처럼 손(扌)으로 무엇을 감아 ‘쥐는’ 것(grasp). 잡아가지는 것은 把고, 잡아당기는 것은 握(악)이고, 잡아오는 것은 捉(착)이다. 把握(파악) 2) 손 수(扌=手)+큰 뱀 파(巴) 맨손(扌=手)으로 큰 뱀(巴)을 잡다 3) (설문) 코끼리를 먹는 뱀이라고도 한다. 소설『어린 왕자』에 나오는 보아(boa) 뱀, 보아뱀이 코끼리를 삼키고 있는.. 2022. 7. 3.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19)-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19)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19)-국어 1학년 2학기 백설(白雪) white snow, 흰 백(白), 눈 설(雪) 흰 눈, 하얀 눈 국어 1-2, 01-011 일어:白雪 [しらゆき 시라유키], 중어:白雪 [bixuě 바이쉬에] 白*일백백(白-6획, 7급) 1) 丿+日, 해질녁 흐린 물건의 색깔, 또는 햇빛에서 나오는 근본 색인 흰색(white), 또는 하늘에서 내려(丿) 오는 햇빛(日)이 ‘흰’ 것이다. 白色(백색) 白髮(백발) 潔白(결백) 明白(명백) 告白(고백) 餘白(여백) 2) 自의 생략자. 自(자)는 본래 코(nose)를 상형한 것이다. 말할 때 말의 기운이 코에서 나와 입과 서로 호응하는 것이다. 따라서 ‘아뢰다’ ‘말하다’의 의미를 갖는 것이다. 윗사람에게 말(曰)을 올리는(丿) 뜻도 된다. → .. 2022. 6. 27.
중학교 교과서 한자(05) -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 중학교 교과서 한자(05) - 국어 - 翡色(비색), 母胎(모태) 翡色(비색) 翡(물총새 비), 色(색 색) 일어:あおみどりいろ [薄うす青緑色 아오미 도리이로] 중어:翡翠色 [fěicuìsè 페이쿠이스] 고려 청자의 빛깔과 같은 푸른 빛깔. The color of emerald like Goryeo celadon. →고려청자는 비색(翡色)으로 윤이 나는 독특한 아름다움이 있다. → The Goryeo celadon has unique beauty shininig with color of jade. 翡*물총새 비(羽-14획, 1급) 1) 깃 우(羽) + [아닐 비(非)] 물총새비,비취옥비: 非+羽, 양날개(非)와 깃털(羽)을 가진 ‘물총새’이다. 翡翠(비취) 2) 깃 우(羽)+어긋나다/아니다 비(非) 큰 .. 2022. 6. 21.
중학교 교과서 한자(04) -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 중학교 교과서 한자(04) - 국어 - 前方(전방), 符合(부합) 前方(전방) front line, battle front, 前(앞 전), 方(모 방, 방향 방) 앞쪽, 적을 마주하고 있는 지역. the region or line along which opposing armies engage in combat. 일어:前方 [ぜんぽう 젠뽀], 중어:前方 [qiánfāng 치엔팡] → 우리는 전방(前方) 부대에 근무하고 있는 친구를 면회하러 갔었다. → We have seen a friend of us who is on duty on battlefront. 前*앞 전(刀-9, 7급) 1) 前자의 원형은 ‘발 지’(止)와 ‘배 주’(舟)가 합쳐진 것으로 ‘배를 타고 앞으로 나아가다’(go forward by .. 2022. 6. 18.
중학교 교과서 한자(03) -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03) 중학교 교과서 한자(03) - 국어 - 白眉(백미), 燻製(훈제), 食醢(식해) 白眉(백미) best (of), highlight (of), 白:흴 백, 眉:눈썹 미 흰색 눈썹, 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 일어:白眉 [はくび 하쿠비], 중어: 白眉 [báiméi 바이 메이] →진도아리랑은 아리랑의 백미(白眉)라 할 만하다. →Jindo Arirang is one of the best of Arirangs 白*일백백(白-6획, 7급) 0) The meaning *white* is by association with the color of acorn(도토리) meat or rice. →A drop of water reflecting the sun(日) and shining(丶) white. In anci.. 2022. 6. 13.
중학교 교과서 한자(02) -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 중학교 교과서 한자(02) - 국어 - 考慮(고려), 語調(어조), 不可思議(불가사의) 考慮(고려) consideration, 考: 생각할 고, 살필 고, 慮: 생각할 려 관련된 여러 가지 사정을 자세히 따져서 생각하는 것. 일어:考慮 [こうりょ 코료], 중어:考虑 [kǎolǜ 카 오뤼] → 듣는 이의 관심이나 흥미를 고려하여 소개한다. → Introduce something after considering interest of audience. 考*생각할 고(老-6, 6급) 0) An old man(耂) has wise(丂) thoughts. 1) 考자는 긴 머리의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서 있는 모습을 그린 老자의 생략형에 발음 요소가 첨가되어 있는 형태. 원래는 ‘오래 살다’(live long)가 본.. 2022. 6.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