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교과서 한자(08) - 국어 - 無我之境 (무아지경), 心醉(심취)
無我之境(무아지경):정신이 한 곳으로 완전히 쏠려 자기 자신의 존재를 잊고 있는 경지
無我之 trance: a state in which you are not aware of what is happening around you because you are thinking of something else
無(없을 무), 我(나 아), 之(어조사 지), 境(지경 경)
일어:[無我の境: むがのきょう 무가노쿄], 중어:無我之境 [wúwǒ zhījìng 우워지지]
그녀의 춤사위는 보는 사람과 자신을 무아지경(無我地境)으로 몰아갔다.
Her dance drove the viewers and herself into trance((無我地境).
無*없을 무(火-12획, 5급)
1) 無자는 ‘춤출 무’(舞)의 본래 글자였다. ‘춤’(a dance)과 ‘없다’(do not exist)는 뜻의 낱말이 초기 1000년 간 같은 글자로 쓰이다가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舞와 無로 각각 분리 독립되었다. 따라서 無자의 ‘灬’는 ‘불 화’(火)의 변형이 아니고 단순한 구별 부호인 셈이다.
2) 무당이 양손에 무엇인가를 들고 춤을 추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가차되어 '없다'라는 뜻으로 쓰임.
3) 橆-林+灬(火), 본래는 天자의 서북방 획을 굽혀서 无로 썼는데 진한(秦漢)이후로 숲(林)이 무성(無)한 橆(茂) 자의 아래 林을 火로서 태웠으니 ‘없는’ 것이다. 音은 橆(무)에서 왔다. ☞无(없을 무)
4) 춤출 무(舞)+불 화(灬) 불(灬)이 춤추듯이(舞) 활활 타올라 물건을 다 태워버리다>없다
5) this character shows a dancing figure with long sleeves that conceal the arms. To an abbreviated form of this character was eventually appended 火 fire →person/object concealed by dense smoke. *Not*, *none* and *un-* are extended meanings (lack presence/existence ← concealed; compare 亡) → *disregard*; *lose*; *be gone*; *be missing*; *run out of*.
6) A multitude (廿廿) of men (大 > 𠂉) clearing a forest (林 > 灬) << vanish, defect, want, negation. The idea of 'vanishing' is repr. in the ancient form by 兦
我*나 아(戈-7, 3급)
1) 창의 앞쪽 날이 톱니처럼 생긴 무기의 상형. 일부에서는 손 수(手)자와 창 과(戈) 자가 합쳐져, 손으로 창을 들고 나를 지킨다라고 해석하는데 상형문자를 보면 손 수(手) 자가 확실히 아니다. 가차 되어 나(I, myself)라는 의미로 사용.
2) 手(扌)+戈(창과), 손(手)으로 창(戈)을 가지고 해치려고 오는 적을 막는 ‘나’이다. 말하는 나는 吾이고, 싸우는 나는 我이니, 吾는 첫째고 我는 다음(亞버금아)이어서 音이 ‘아’이다. 또는 戈의 변음이다. 我國(아국)
3) this character is a variant of 戈 spear/halberd, indicating a weapon/knife with a serrated(톱니모양의) blade (i.e., a blade the teeth of which are in alignment).
4) An old version (shown at the right) had two weapons (戈) in conflict; later changed into a form that shows a hand (手) holding a kind of halberd(미늘 창 戈): to defend one's rights << I; me
之*갈/어조사 지(丿-4획, 3급)
1) 상형문자를 보면 발(止) 아래에 선(一)이 하나 그려져 있음. 선은 아마도 출발선이나 도착선으로, 가(go)거나 이른다(arrive)라는 뜻이 생김. "간다"라는 뜻보다는 어조사로 많이 사용.
2) 본래 一(지면)+屮(움)의 변형으로, 땅(一)에서 움(屮)이 커서 태양을 향해 올라 ‘간다’는 뜻이다. 가버리는 것은 去(거)이다.
3) 㞢: a small plant (屮) ascending from the ground (一): to grow; development; progress; continuity. Both form and meaning changed considerably over time
境*지경 경(土-14, 5급)
1) 境자는 ‘흙 토’(土)가 의미요소이고, 竟(경)은 발음 요소이니 뜻과는 무관하다. ‘(땅의) 경계’(boundary)란 본뜻이 변함없이 그대로 쓰이고 있다.
2) 흙 토(土) + [다할/마침내 경(竟)] 땅(土)이 끝나거나 마치는(竟) 경계를 지경(地境)이라고 함.
3) 土(흙토)+竟, 땅(土)이 마치는(竟) 곳은 즉 ‘지경’이다. 땅이 그친 지경은 境이고, 땅의 평면 지경은 界(계)고, 구획 지운 지경은 域(역)이다. 境界(경계) 境遇(경우)
4) 竟# (border) + 土earth (for emphasis/clarification) → *border*; *boundary* → *area*.
Also, *circumstances* (← situation in which one is fixed ← fixed border).
심취(心醉):어떤 일이나 사람에 깊이 빠져 마음을 빼앗김.
fascinated(心醉):to cause (someone) to be very interested in something or someone very deeply
心(마음 심), 醉(취할 취)
일어: [心酔 しんすい 신쑤이], 心醉 [xīnzuì 신쭈가]
한국인이 춘향전에 심취(心醉)되는 이유를 간단히 설명할 수 없다.
It is difficult to explain simply that korean is fascinted in The story of Choonhyang.
心*마음 심(心-4, 7급)
1) 心자는 心臟(심장)의 모습을 본뜬 것으로 ‘심장’(the heart)이 본뜻인데, ‘가슴’(the breast; the chest) ‘마음’(heart, mind)을 뜻하는 것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2) 마음을 뜻하는 심(心)은 심장(心臟)을 형상을 본떠 만든 상형문자. 고대 중국인들은 마음이 머리에 있지 않고 심장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사람의 감정이나 성격에 관련되는 글자에는 모두 마음 심(心)이 들어감.
3) 사람의 심장 꼴, 심장을 그려서 ‘마음’을 뜻하였는데 그는 깊은(深) 곳에 있어 들여다볼 수가 없으니 音은 ‘심’이다. 다른 자의 변으로 쓸 때는 忄, 밑에 쓸 때는 㣺이다. 심장에 있는 마음은 정(情)이고, 두뇌에 있는 마음은 지(知)고, 배에 있는 마음은 의(意)다. 心慮(심려) 心腹(심복) 心臟(심장) 心性(심성) 中心(중심)
4) It represents the human heart and the arteries connected to it.
醉*취할 취(酉-15, 3급)
1) 醉자는 ‘죽다’(di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술독 유’(酉)와 ‘죽을 졸’(卒)을 합쳐놓은 것이다. ‘취하다’(get intoxicated)는 뜻으로도 쓰인다.
2) 닭/술 유(酉) + [군사 졸(卒)→취] 酉+卒, 술(酉)을 먹고 죽은(卒) 듯이 정신없게 ‘취한’ 것이다. 그러나 설문(說文)에는 「술(酉)은 적당히 먹어 마치(卒)라」는 훈계로 풀이하였다. 滿醉(만취) 醉客(취객)
3) 닭/술 유(酉)+마치다 졸(卒) 술(酉)을 마셔 정신이 다하다(卒)>취하다
4) 卒# (compact) + 酉 alcohol → break down (become figuratively compacted) in drunkenness → (become) *drunk/intoxicated*; *become sick*; *experience motion sickness*.
'중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교 교과서 한자(10)-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0) (0) | 2022.07.12 |
---|---|
중학교 교과서 한자(09)-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09) (0) | 2022.07.08 |
중학교 교과서 한자(07) -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7). (0) | 2022.07.02 |
중학교 교과서 한자(06) -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 (0) | 2022.06.26 |
중학교 교과서 한자(05) -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 (0) | 2022.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