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교과서 한자(09) - 壓縮(압축), 韻律(운율)-문학 교과서
壓縮(압축):압력을 주어 부피를 작게 하는 것.
壓縮 (compress):to press or squeeze (something) so that it is smaller or fills less space
壓(누를 압), 縮(줄일 축)
일어: [圧縮: あっしゅく 아슈끄], 중어:压缩 [yāsuō 야수오]
이 시는 압축(壓縮)의 묘미와 기발한 비유가 뛰어나다.
This poem is excellent in the beauty of compression and ingenious metaphors.
壓*누를 압(土-17, 5급) 压(yā, yà)
1) 壓자가 본래는 ‘흙덩어리’(lump of earth)를 뜻하기 위한 글자, ‘흙 토’(土)가 의미 요소. 厭(싫을 염)은 발음 요소였으나 음이 크게 달라졌다. ‘누르다’(suppress) ‘쓰러뜨리다’(overwhelm)는 뜻으로도 쓰인다.
2) 흙 토(土) + [싫어할 염(厭)→압] 厭+土, 흙(土)이 무너져(厭)서 ‘누르는’ 것이다. 音은 押(누를압)으로 통한다. 무게로 누름은 壓이고, 고의로 누름은 押(단속할 갑)이고, 무리하게 누름은 抑(누를억)이다. 壓力(압력)
3) 흙 토(土)+싫다/가득차다 염(厭) 흙(土)을 가득 채워서(厭) 누르다→누르다
4) 厭# (press upon) + 土 earth → *pressure* exerted on the earth by a heavy object → *press*.
縮*줄일 축(糸-17, 4급) 缩(sù, suō)
1) 실 사(糸) + 잘 숙(宿) 젖은 실을 말리면 줄어든다(reduce)는 의미로 생성 된 글자
2) 糸+宿, 긴 실(糸)을 뭉쳐서 잠을 재우(宿)면 ‘쭈그려지는’ 것이다. 그러나 또 쭈그려진 실을 펴서 잠을 재우면 ‘바르게’ 되는 것이다. 音은 宿의 변음이다. 縮小(축소) 收縮(수축)
3) 실/끈 사(糸)+잠자다/묵다 숙(宿) 사람이 쭈그리고(shrinked) 잠들듯이(宿) 실(糸)이 오그라들다→오그라들다
4) 宿# (shrink) + 糸 thread → shrunken fabric → *shrink*; *reduce*; *contract*; *compress*; *shrivel*; *make or become smaller/shorter*. Also, *wrinkled*, *crimped*, *curly*, *wavy*, and *frizzy*.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reads and compression/compaction, compare 總.
韻律(운율):시에서 느끼는 가락.
韻律(cadence):a regular beat or rhythm
韻(운 운), 律(법칙, 가락 율(률)
일어: [韻律: いんりつ 인리쯔], 중어韵律 [yùnlǜ 윤뤼]
문학이 음악에 가까이 갈 수 있는 것은 운율(韻律)이다.
Cadence make literature close to the music.
韻*그윽할 운(音-19, 3급) 韵(yùn)
1) 韻자는 ‘서로 잘 어울리는 소리’(a chord; an accord)를 뜻하기 위한 것이었으니 ‘소리 음’(音)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員(수효 원)이 발음요소, 隕(떨어질 운)과 殞(죽을 운)도 마찬가지. 후에 ‘울림’(a sound) ‘그윽하다’(profound) 등으로 확대 사용.
2) 음(音)+구성원/둥글다 원(員) 소리(音)가 고르게(員) 울리다→운
3) 소리(音)를 고르는(員) 것이라, 시(詩)의 끝자를 같은 소리로 고르는 ‘운’이다. 音은 員의 변음이다. 시문전체의 규칙은 律(률)이다. 韻致(운치) 韻律(운율)
4)員# round (→ perfectly round → harmonious) + 音 sound → *rhyme*; *meter*; *tone* (←rounded/harmonized sound).
律*법칙/가락 율(彳-9, 4급) 律(lǜ)
1) 彳(갈척)+聿, 사람이 행(彳)할 바를 붓(聿)으로서 기록한 ‘법’이다. 엄격성과 절대성이 있는 법은 律(regulation)이고, 공평성과 변화성이 있는 법은 法(법-law)이다. 律法(율법) 法律(법률) 律動(율동) 音律(음율)
2) 자축거릴 축(彳)+붓 율(聿) 사람이 가야(彳) 할 바를 붓(聿)으로 기록하다→법령
3) A written regulation (聿) for a march (彳): a statute; a fixed law; an ordinance
4) To write out a new law with a brush(聿) so that people walking(彳) in the streets could read them.
'중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교 교과서 한자(11)-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1) (0) | 2022.07.15 |
---|---|
중학교 교과서 한자(10)-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0) (0) | 2022.07.12 |
중학교 교과서 한자(08) -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8) (0) | 2022.07.05 |
중학교 교과서 한자(07) -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7). (0) | 2022.07.02 |
중학교 교과서 한자(06) -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 (0) | 2022.06.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