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교과서 한자(10) - 比喩/譬喩(비유), 心象(심상)
比喩(비유):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효과적으로 설명 표현하기 위해서 그것과 비슷한 다른 사물이나 현상에 빗대어 표현하는 것.
比喩/譬喩(metaphor): a word or phrase for one thing that is used to refer to another thing in order to show or suggest that they are similar
比喩/譬喩(비유) metaphor, 比(견줄 비)/譬(비유할 비), 喩(비유할 유)
일어: [比喩·譬喩: ひゆ 히유], 중어:比喻 [bǐyù 비~유]
그는 항상 비유(比喩)와 반어로써 자기의 논의를 설명하였다.
He always explained his opinion with metaphor and inrony.
比*견줄 비(比-4획, 5급)
1) 比자는 ‘친하다’(intimate)는 뜻을 위해 고안된 글자, 바짝 뒤따라가는 두 사람을 그린 것. ‘따르다’(follow) ‘돕다’(help)는 뜻으로 확대 사용되기도 했지만, 때로는 둘이서 토닥거리거나 겨눌 때도 있기 때문인지 ‘겨루다’(compete) ‘견주다’(compare)는 뜻으로도 사용됐다.
2) 비수/숟가락 비(匕) + 비수/숟가락 비(匕) 견줄 비(比)는 두 사람이 같은 방향을 보고 있는 형상의 상형문자다. 두 사람이 무언가 겨루기 위해 출발선에 서 있는 모습. 견줄 비(比) 자는 5획이 아니라 4획임에 유의.
3) 원래는 ‘빽빽하다’는 뜻이다. 人+人, 두사람(人)을 나란히 놓고 ‘견주어’ 보는 것. 또는 匕+匕, 숟가락(匕) 두 개를 ‘견주어’ 보는 것을 뜻한다. 音은 匕(비)이다. 比較(비교) 比例(비례)
4) An inverted form of 从: to effect a union, to follow, to cooperate, to plot.
5) (derived from the above) to draw a parallel between; to compare; rank
譬*비유할 비(言-20획, 1급)
1) 말씀 언(言) + [죄 다스릴 벽(辟)→비], 법(辟)되는 말(言)로 상대방을 깨우치기 위해서 표본으로 내세워 ‘비유’하는 것이다.
2) 직접적인 말(言)을 막고(辟) ‘비유하는’ 것이다. 音은 辟의 변음이다. 비유로 깨우치는 것은 喩(깨우칠유). 譬喩(비유)
3) 말씀 언(言)+피할 피(避의 획생략) 직접적인 것을 피해서(避) 말하다(言)>비유하다
4) 辟 (spread) + 言 words → figurative spread of words in offering an example, or in illustrating (a point) → *example/illustration*.
心象(심상): 감각기관의 자극 없이 의식 속에 떠오르는 인상.
心象(mental image):a image that is come up with in one's heart without stimulation on sensory organ
心象(심상) mental image, 心(마음 심), 象(모양 상)
일어: [心象: しんしょう 신쇼 ], 중어:心象 [xīnxiàng 신씨앙]
이 시에는 강렬한 감각적 심상(心象)들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
There are plenty of sensible mental images in this poem.
心*마음 심(心-4, 7급)
1) 心자는 心臟(심장)의 모습을 본뜬 것으로 ‘심장’(the heart)이 본뜻인데, ‘가슴’(the breast; the chest) ‘마음’(heart, mind)을 뜻하는 것으로도 확대 사용.
2) 사람의 심장꼴,심장을 그려서 ‘마음’을 뜻하였는데 그는 깊은(深) 곳에 있어 들여다볼 수가 없으니 音은 ‘심’이다. 다른 자의 변으로 쓸 때는 忄, 밑에 쓸 때는 㣺이다. 심장에 있는 마음은 정(情)이고, 두뇌에 있는 마음은 지(知)고, 배에 있는 마음은 의(意)
3) depiction of the human heart and the arteries(동맥) connected to it
象*모양/코끼리 상(豕-12, 4급)
1) 象자는 ‘코끼리’(elephant)란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코끼리의 모습을 간략하게 그려 놓은 것. 맨 첫 획이 코끼리의 ‘코’에 해당. 후에 ‘본래 모양’(original form) ‘본뜨다’(model on) 등으로 확대 사용.
2) 옛적에 중국에서는 살아 있는 코끼리를 보기가 드물어 그 그림만 보고서 그 살아 있는 것을 ‘상상(想像)’했기 때문에 마음으로 상상한 것을 ‘象’이라 한다. 부수는 豕(돼지 시). 象形(상형)
3) A depiction of an *elephant* → *tusk*; *ivory* → *shape*; *image*; *appearance* (animal of a conspicuous/remarkable shape etc.) → *liken*; *resemble* (← image resembling the original object) → *imitate* (← image resembling/imitating the original object). The pronunciation of the character simulates the trumpeting of an elephant.
'중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교 교과서 한자(12)-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2) (0) | 2022.07.18 |
---|---|
중학교 교과서 한자(11)-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1) (0) | 2022.07.15 |
중학교 교과서 한자(09)-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09) (0) | 2022.07.08 |
중학교 교과서 한자(08) -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8) (0) | 2022.07.05 |
중학교 교과서 한자(07) -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7). (0) | 2022.07.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