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교과서 한자(11) - 象徵(상징), 遺品(유품) - 문학 교과서
象徵(상징) symbol, 象(코끼리, 모양 상), 徵(부를, 현상 징)
일어: [象徴: しょうちょう, 쇼쵸], 중어: 象徵 [xiàngzhēng 샹정]
비둘기는 평화의 상징(象徵)이다.
The dove is a symbol of peace.
象徵(상징):말로는 설명하기 힘든 추상적인 사물·개념 따위를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냄. 또는 그 대상물. 표상. 심벌.
象徵(symbol):a letter, group of letters, character, or picture that is used instead of a word or group of words
象*모양/코끼리 상(豕-12, 4급)
1) 象자는 ‘코끼리’(elephant)란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코끼리의 모습을 간략하게 그려 놓은 것. 맨 첫 획이 코끼리의 ‘코’에 해당. 후에 ‘본래 모양’(original form) ‘본뜨다’(model on) 등으로 확대 사용.
2) 옛적에 중국에서는 살아 있는 코끼리를 보기가 드물어 그 그림만 보고서 그 살아 있는 것을 ‘상상(想像)’했기 때문에 마음으로 상상한 것을 ‘象’이라 한다. 부수는 豕(돼지 시). 象形(상형)
3) head with long nose [symbol] + pig 豕 An elephant has a head with long nose and a fat body(豕) like a pig. Also means shape as an elephant was more of an exotic imaginary creature to the people of the northern China where Chinese characters originated.
徵*거둘 징(彳-15, 3급)
1) 徵자는 길을 가며 앞서 가는 사람 등을 ‘부르다’(call up)는 뜻을 위해서 고안된 것이었으니 ‘길 척’(彳)이 의미 요소. 나머지가 발음 요소. 澂(맑을 징). 후에 ‘거두다’(gather) ‘조짐’(an omen) 등으로 확대 사용.
2) 작을 미(微) + [아홉째 천간 임(壬)→징] 微(작을 미)의 생략자+壬(착할 정, 줄 기정), 미세(微)하게 공부하여 문자를 통달한(壬) 사람을 ‘거두어들이는’ 것이다. 音은 壬(정)의 변음이나 證(증거증)으로도 통한다. 徵兵(징병) 徵收(징수) 徵驗(징험) 徵兆(징조)
3) 작다/숨다 미(微의 획 생략)+짊어지다/아첨하다 임(壬) 숨은(微) 자를 불러내어 짐 지게(壬) 하다→부르다
4) 王# ruler + an abbreviated form of 徽 insignia(휘장) → ruler who summons a subject for the purpose of conferring an honor → *summon*; *demand*. Also, *sign* and *symbol* (← symbol appearing on an insignia).
遺品(유품) keepsake, 遺(남길 유), 品(물건 품)
일어: [遺品:いひん 이힌], 중어: 遗物 [yíwù 이우]
전쟁기념관 1층에서는 전사자의 유품(遺品)이 전시되고 있다.
The articles left by the war dead are exhibiting on the first floor of War Memorial.
遺品(유품): 고인(故人)이 생전에 사용하다 남긴 물건. 유물(遺物).
遺品(keepsake):something that you keep to help you remember a person, place, or event; a memento or souvenir, article left by deceased.
遺*남길 유(辶-16, 4급)
1) 遺자의 본래 의미는 길을 가다 [辶]가 귀(貴)한 물건을 ‘잃어버리다’(lose)는 의미 ‘길갈 착’(辶)과 ‘귀할 귀’(貴) 둘 다 의미 요소로 쓰였다. 후에 ‘잊다’(forget) ‘버리다’(desert) ‘남기다’(leave behind) 등으로 확대 사용.
2) 貴+以+辶, 윗사람(貴)이 아랫사람으로써(以 ) 무엇을 ‘보내는(辶’) 것이다. 목적 있게 보냄은 遣이고, 가는 것을 보냄은 送(송)이다. 派遣(파견) ☞ 쌓일퇴. 遺(남길 유)
3) 갈 착(辶) + [귀할 귀(貴)→유] 귀한(貴) 물건을 길(辶)에서 잃어버린다가 원래의 의미였으나, "남긴다."라는 의미로 변함.
4) 쉬엄쉬엄 갈 착(辶=辵)+귀하다 귀(貴) 길을 가다가 귀한 물건을 떨어 떨이다→잃다 *지나고 남은 것은 <遺(유)>, 나가서 돌아오지 않음은 <失(실)>
5) 貴 valuable goods + 辵 movement → movement of valuable goods in being bequeathed →*bequeath*; *leave behind* → *leave*. *Send* is a borrowed meaning.
品*물건 품(口-9, 6급)
1) 品자는 원래의 자형이 고스란히 잘 보존되어 있는 희귀한 예다. ‘입 구’(口)가 셋이나 되니 ‘여러 사람’(the crowd)이 본뜻이었는데, ‘물건’(articles) ‘종류’(kinds) ‘등급’(grades)을 가리키는 것으로도 활용됐다.
2) 입 구(口) 자 3개로 이루어져 있는 물건 품(品) 자는 그릇과 같이 생긴 물건들이 여러 개 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로 입 구(口) 자와는 상관없음.
3) 개의 口자는 입이 아니라 여러 ‘물건’을 의미한다. 질적인 ‘등급’도 의미한다. 口네 개를 합한 “집”자는 시끄럽다는 뜻이다. 商品(상품) 品格(품격) 品位(품위) 品詞(품사) 品評(품평)
4) 입 구(口)+입 구(口)+ 입 구(口) 여러 사람이 말(口)이 물건을 추천하다→품평하다
5) Square-shaped object (tripled) → high-uality *goods* spread throughout a protective container (compare 舗 and 販) → *quality*; *counter for goods*; (person's) *character*; *grade*; *value*.
'중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교 교과서 한자(13)-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3) (0) | 2022.07.21 |
---|---|
중학교 교과서 한자(12)-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2) (0) | 2022.07.18 |
중학교 교과서 한자(10)-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0) (0) | 2022.07.12 |
중학교 교과서 한자(09)-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09) (0) | 2022.07.08 |
중학교 교과서 한자(08) -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8) (0) | 2022.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