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교과서 한자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2)-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22)

by propup77 2022. 7. 10.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2)- 영감(令監), 보물(寶物)

영감(令監) aged man 令(말 영), 監(겸할 감)
남을 높이는 말을 겸함, 늙은 남자의 높임말, 국어, 1-2 01-012
일어 : [老人:ろうじん 로진], 중어:老头 [lǎotóu 라오타우]

令*말/하영금 영(人-5, 5급) 令(lǐng, lìng)

1) 사람 인(人) + 하나 일(一) + 병부 절(卩) 령(令)은 지붕(△) 아래에서 무릎을 꿇어앉아 있는 사람(卩)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즉 누군가의 명령(命令-order, commnad)을 듣고 있는 모습입니다.

2) 亼(모일집)+卩(병부 절), 모이(亼)라는 신호(卩)를 하니 ‘하여금’ 하는 것이고 ‘명령’인 것이다. 아름답다는 뜻도 있다. 命令(명령) 法令(법령) 令息(영식) 假令(가령)

3) 모일/삼합 집(亼)+병부 절(卩) 사람을 불러 모아(亼) 무릎(卩)을 꿇리고 명령한다→명령하다

4) abbreviated form# of 今 (contain in the mouth) + 卩 kneeling figure → kneeling figure listening carefully to a long sequence of commands issuing from the mouth of a ruler → *command*; *order*; *rule*; *leader*.

監*볼 감(皿-14, 5급) 监(jiān, jiàn)

1) 監자가 최초 갑골문에서는 물이 담긴 대야[皿․명] 앞에 엎드려 앉아서 [人과 一] 눈(臣은 目이 잘못 변한 것임)으로 들여 다 보고 있는 모습에서 유래된 것이니, ‘(얼굴을) 비쳐 보다’가 본뜻이다. 인류 최초의 거울은 수면이었다. ‘감시하다’(observe) ‘감독하다’(supervise) 등으로도 쓰인다.

2) 臥(누울 와)+血(피혈), 높은 곳에 누워(臥) 피(血)가 있는 여러 사람(衆)이 일하는 것을 ‘내려다보는’ 것이다. 부하들이 피(血) 땀 흘려 일함을 위에서 누워(臥)서 ‘보는’ 것이다. 그는 투(套)를 쓰니 套는 작고 짧아도 길게 보이는 감투(監套)다. 監視(감시) 監督(감독) ☞套(덮개 투): 大+長→大(대)

3) 누울 와(臥) + 그릇 명(皿) 누워서(臥) 그릇(皿) 속의 물을 거울처럼 비추어 본다는 데에서 '살피다, 비추어 보다'라는 의미가 생김.

4) To bend (臥) over a full vase (血) to inspect its contents: to examine carefully; to watch over; places under watch, like offices or prisons.

보물(寶物) treasure, 寶(보배 보), 物(물건 물)
보배의 물건, 희귀 가치가 있고 귀중한 물건 국어 1-2 01-012
일어: [宝物:たからもの 타카라 모노], 중어:宝物 [bǎowù 바오우]


寶*보배 보(宀-20, 5급) 宝(bǎo)

1) 寶자가 원래는 ‘집 면’(宀)․‘구슬 옥’(玉)․‘조개=돈 패’(貝)로 구성된 것이었다. 집안에 고이 간직해둔 옥이나 돈을 통하여 ‘보배’(treasure)라는 뜻을 나타냈다. 缶(부)는 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후에 첨가한 발음 요소.

2) 집 면(宀) + 구슬 옥(玉) + [장군 부(缶)→보] + 조개 패(貝) 집(宀) 안에 있는 그릇(缶)에다 옥(玉)과 재물(貝)을 감추어 둔 것은 ‘보배’다. 音은 缶의 변음이다. 드물게 있는 보배는 珍(보배진)이다. 寶石(보석)

3) 집 면(宀)+패옥 옥(玉)+질그릇 부(缶)+조개/화폐 패(貝) 집 안(宀)에 있는 패옥(玉), 그릇(缶), 화폐(貝)를 보배로 여기다→보배

4) To have jade (玉 > 王), earthenware (缶), and money (貝) in one's house (宀): precious; valuable; noble; respected

物*물건 물(牛-8, 7급) 物(wù)

1) 物자는 ‘소 우’(牛)가 의미, 勿(말 물)은 발음. ‘여러 색깔의 털을 가진 소’가 본뜻이었는데, ‘여러 물건’(things) ‘사물’(matters)을 지칭.

2) 牛+勿, 소(牛)는 가장 유익한 물건이라 그로서 모든 물건의 대표로 하고 그 소 하나만을 지칭함이 아님(勿)을 의미하니 ‘일체 유형한 것’이다. 소(牛)의 깃발(勿)이니 소가 대표하는 ‘동물’이며 또한 ‘만물’을 지칭한다. 萬物(만물) 物件(물건) 物 thing, substance, creature

3) 소 우(牛=牜)☞소)+ 깃발/말다 물(勿) 깃발(勿) 모양의 소(牛=牜)>얼룩소

3) 勿 (obscure) + 牛 cow → obscure (= unremarkable) cow → *thing(s)*; *object(s)* (←things/objects of unremarkable characteristics). 4) From 牛 (ox) and 勿 as phonetic:a thing; a matter (oxen were the most valued things in most households in ancient times).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