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18) - 일상(日常), 편리(便利)
일상(日常) daily life, mundane, 日(날 일), 常(항상 상)
날마다 항상, 수학, 1-가 08-120
일어: [日常:にちじょう 니치조], 중어:日常 [rìcháng 리창]
日*날 일(日-4, 8급)
1) 日자는 ‘해’(the sun)를 나타내기 위해서 둥근 원형 안에 점을 하나 찍어 놓은 모양(·). 후에 쓰기 편리함을 위하여 네모꼴로 바뀌었고, 그 안의 점도 ‘一’로 변모. ‘낮’(daytime) ‘하루’(one day) 등으로 확대 사용.
2) 해 꼴. 태양의 정(精)으로 이지러지지 않는 것이다. 또는 口+一, 우주(口)안에 오직 하나(一)뿐인 ‘해’이니 音은 ‘일’이다. 해가 떠서 지는 동안을 중심으로 한 二十四시간도 뜻한다. 日課(일과) 日月(일월)
3) depiction of the *sun* → *day* (← appearance of the sun ushering in a new day).
As with 熱, the heat of the sun was understood in terms of softening objects and/or reducing them in size.
4) Symbolizes the round sun, also signifying day – a cycle of the sun.
常*항상 상(巾-11, 4급)
1) 常자는 ‘치마’(a skirt)가 본뜻, ‘수건 건’(巾)이 의미 요소, 尙(숭상할 상)은 발음 요소. 치마는 늘 입고 있어야 한 것이었기 때문인지 ‘늘’(always)이라는 의미로도 확대 사용.
2) 수건 건(巾) + [오히려/숭상할 상(尙)] 길고 긴 천(巾)이 처음부터 끝까지 항상(恒常) 똑 같다는 데에서 유래
3) 수건(巾)은 머리 위에(尙) ‘항상’ 두루는 것이다. 恒常(항상) 常用(상용)
4) 수건 건(巾)+높일 상(尙) 사람이 고상하게(尙) 보일려면 항상 옷차림(巾)에 조심해야 한다→항상
5) 尚 (rise → raise) + 巾 cloth → raise a long skirt. *Normal*, *ordinary*, *continual* and *unending* are borrowed meanings.
편리(便利) convenience, 便(편안할 편), 利(이익 이)
편안한 이익, 편리하고 이로우며 이용하기 쉬움. 수학 1-가 08-120
일어:[便利:べんり 벤리], 중어:便利 [biànlì 비앤리]
便*짝/편안할 편(人-9, 7급)
1) 便자는 ‘편안하다’(comfortable)란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람 인’(人)과 ‘바꿀 경’(更)을 조합해 놓은 것. 사람의 불편한 심기를 바꾸어야 편안해진다(?). ‘짝’(the partner)을 이르기도 한다. ‘똥오줌’(urine and feces)을 일컫기도 하는데, 이 경우는 [변]으로 읽는다.
2) 사람 인(亻) + [고칠 경(更)→변,편] 사람(亻)이 불리한 것을 고쳐(更)서 ‘문득’ ‘편리하게’하는 것이다. 便을 因함은 인편이고, 불편한 분뇨를 배설해서 편케 함에는 音은 ‘변’이다. 便利(편리) 便法(편법) 便紙(편지) 便宜(편의) 人便(인편)/ 小便(소변) 便秘(변비)
3) 사람 인(亻=人)+바꾸다/고치다 경(更) 사람이(亻=人)+ 먹은 음식이 소화가 된 뒤 바뀐(更) 물질→똥, 오줌
4) A man (亻) who, not satisfied with the way things are, acts to make a change(更): convenience; advantage; ease
5) 更 is uncertain composition, but the Old Chinese pronunciation of 便 suggests that this element conveyed the concept "spread" (compare 丙, a constituent element of 更). 便 adds 人 person (→ human agency) → cause to spread → *pass smoothly* → *excrement* (← offal that passes smoothly out of the body) → *easy*/*at ease* (← pass smoothly/easily) → *convenient*; *expedient* (← make something easy). Also, *letter*, *message* and *news* (of/from) (← pass word from one place to another).
利*이로울 리(刀-7, 6급)
1) 利자는 벼[禾․화]를 벨 수 있을 만큼 칼[刀=刂]이 ‘날카롭다’(sharp-edged)가 본래 의미, 후에 ‘이롭다’(profitable) ‘쓸모’(usefulness) ‘순조롭다’(smooth) ‘길하다’(lucky) 등의 뜻도 이것으로 나타냈다.
2) 칼 도(刂) + 벼 화(禾) 다 자란 벼(禾)를 칼(刂)로 베어 수확하니 이익(利益)이 생긴다는 의미.
3) 禾(벼화)+刂(刀,칼도), 벼(禾)를 베는 낫(刂)은 ‘예리’ 해야 한다. 또 베어 온 벼는 먹으니 ‘이익’이 되는 것이다. 공의(公義)에 대한 사리(私利)이다. 利益(이익) 銳利(예리) 便利(편리)
4) 禾, an abbreviated form# of 季 season (→ season when soil is plowed) + 刀 sword/knife →sharp-edged plow → *work* (well/skillfully); *sharp*; *convenience*; *profit*; *advantage*; *be able to*; *be effective* (← sharp, effective implement).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19) - Hanja in mathematics(19) (0) | 2022.07.17 |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4)-Hanja in elementary school(24) (0) | 2022.07.16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3)-Hanja in elementary school(23) (0) | 2022.07.13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17)- Hanja words in mathematics(17) (0) | 2022.07.11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2)-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22) (0) | 2022.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