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0) - 약속(約束), 이유(理由)
약속(約束) promise, appointment, 約(약속 약), 束(잡을 속)
약속을 잡음, 지키기로 정함, 수학, 1-2 01-007
일어: [約束: やくそく야쿠소쿠], 중어:约束 [yuēshù 유에슈]
約*검소할 약(糸-9, 6급)
1) 約자는 ‘꽁꽁 묶다’(tie up)가 본뜻, ‘실 사’(糸)가 부수 이자 의미 요소. 勺(구기 작)은 발음 요소였는데 음이 약간 달라졌다. ‘약속하다’(promise) ‘검소하다’(frugal; thrift) 등으로 확대 사용.
2) 실 사(糸) + [구기/잔 작(勺)→약] 실(糸)로서 하나로 싸서(勺)서 단단히 ‘묶은’ 것. 그래서 모두가 하나로 되니 約속한다. 또 묶는다는 것은 줄인다는 뜻이어서 略(줄 일약)으로 통한다. 勺의 변음. 約束(약속) 條約(조약)
3) 끈(糸)으로 구기(勺)를 자루에 매다>묶다
4) 勺 (rise and become evident) + 糸 thread → *tie* a knot in a cord (as a sign of a pledge) → *promise*; *conspicuous mark* → *brief*; *summary* (← reduce in making compact; compare 要) → *approximately* (← summary approximating a full report in providing only the gist(글의 요지)).
束*묶을 속(木-7, 5급)
1) 나무 목(木) + 입 구(口) 나무(木) 중간이 끈(口)으로 묶여 있는(tied up) 모습, 혹은 자루(口)의 양쪽 끝을 끝으로 묶은 모습이라고도 합니다.
2) 木+口, 나무(木)를 노끈으로 둘러싸서(口) ‘묶는’ 것이다. 木+冂은 朿(까스랭이자)이다. 束縛(속박) 約束(약속) 團束(단속)
3) 나무(木)를 감아서 묶은 모양(口)으로 '묶다'를 뜻함. 나무(木)를 여러 개를 모아 입모양(口)으로 둥글게 둘러서 묶다.
4) To enclose (囗) wood(木): to bind; to tie (firewood, etc.)
5) # tree/wood + a cord for bundling → compact firewood by wrapping a cord around it → *bundle* → *restrict*; *refrain*; *counter* (for bundled objects).
이유(理由) reason, 理(이치 이), 由(까닭 유)
이치의 까닭, 어떠한 결론이나 결과에 이른 까닭이나 근거, 수학, 1-2 01-007
일어:[理由 りゆう 리유], 중어:理由 [lǐyóu 리요 우]
理*다스릴 리(玉-11획, 6급)
1) ‘(옥을) 다듬다’(refine)는 뜻을 위해 고안된 글자. ‘구슬 옥’(玉→王)이 의미, 里(마을 리)는 발음으로 뜻과는 무관. 후에 ‘다스리다’(rule over) ‘이치’(logic) ‘방법’(a method) 등으로 확대 사용.
2) 玉+里, 원래는 ‘옥을 다듬는다’는 뜻이다. 옥을 다듬는 데에는 이치(里)가 있다. 보배(玉) 로운 마을(里)이니, 그곳은 ‘도리와 이치’가 있는 것이다. 王+里, 王(왕) 자로 풀면, 임금(王)이 마을(里)을 ‘다스리는’ 것이다. 倫理(윤리) 道理(도리) 理致(이치) 眞理(진리) 理解(이해)
3) 슬 옥(玉)+마을/주거 리(里) 구슬(玉)을 갈 듯 살기 편하게 마을(里)을 보살피다→다스리다
4) It is only reasonable to refine a defective jade(玉) into a jewel instead of discarding it. “里” is where the character gets its pronunciation.
由*말미암을 유(田-5, 6급)
1) 由자는 ‘말미암다’(be due to) ‘따르다’(follow) ‘까닭’(cause) ‘부터’(from) 등을 뜻한다.
2) 투구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투구 주(胄) 자의 생략형. 가차 되어 '말미암을'이란 뜻으로 사용.
3) 田+丨, 밭(田)에서 올라온 곡식 싹, 사람들은 그것으로 ‘말미암아’ 식생활을 한다.
4) 목이 긴 병을 상형한 것이니 그 속에 있는 물이 그 병의 목으로 ‘말미암아’ 나오는 것이다. 그것은 술단지(酉)와 같기 때문에 音은 ‘유’이다. 理由(이유)
5) 田 is the grain, and on top is the seedling coming up << beginning; principle; origin; starting point; cause; to produce.
6) A depiction of a long-ecked (alcohol) container from the mouth of which liquid contents pass/run through, being poured in a slender arc → *cause*; *origin*; *by means of* (← pour from) → *reason*; *circumstances* → *significance*; *purport*. Compare 酉 and 卣.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1) - Hanja in mathematics(21) (0) | 2022.07.23 |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6)-Hanja in elementary school(26) (0) | 2022.07.22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5)-Hanja in elementary school(25) (0) | 2022.07.19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19) - Hanja in mathematics(19) (0) | 2022.07.17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4)-Hanja in elementary school(24) (0) | 2022.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