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1) - 평가(評價), 수학(數學)
평가(評價) appraisal, assessment, 評(비평할 평), 價(가치 가)
가치를 평가함
어떤 대상의 가치를 논정함, 수학, 1-2 01-007
일어: [評価:ひょうか 효카], 중어:评价 [píngjià 피 잉지아]
評*평할 평(言-12, 4급)
1) 評자는 사실의 옳고 그름이나 사물의 우열 등에 대하여 말로 ‘평하다’(criticize)는 뜻을 나타냄 ‘말씀 언’(言)이 의미, 平(평평할 평)은 발음. ‘평정하다’(rate) ‘품평하다’(uate) 등으로도 쓰임.
2) 말씀 언(言) + [평평할 평(平)] 무슨 문제에 대하여 공평(平)하게 말(言)하는 ‘평론’이다. 질서 있는 말은 論(론)이고, 옳은 길을 찾는 말은 議(의)다. 品評(품평) 評價(평가) 評論(평론)
3) 말씀/말하다 언(言)+공평하다/평평하다 평(平) 공평하게 논함. 대상에 대하여 공평(平)하게 말하다(言)>평하다.
4) 平# (spread level/flat) + 言 words → leveling words → *commentary*; *criticism*.
價*값 가(人-15, 6급)
1) 價자를 원래에는 ‘賈’(값 가) 자로 쓰다가 후에 ‘사람 인’(人)이 덧붙임. ‘값’(price)이란 뜻을 나타내는 데 왜 하필이면 ‘사람 인’ 자를 더했을까? 물건을 사는 사람이나 파는 사람이나 ‘값’이 가장 중요한 관심사였기 때문인 듯.
2) 사람 인(亻) + [성 가(賈)] 성씨 가(賈) 자에는 돈을 의미하는 조개 패(貝) 자가 들어가 있어서 장사 고(賈) 자도 됨. 장사(賈)할 때 사람이 값을 매긴다고 해서 사람 인(亻) 자가 들어감.
3) 亻(사람인)+賈, 재물(貝)을 덮어(襾) 두고 파는 장수(賈)에게 사람(亻)이 가서 물건을 받고 ‘값’을 주는 것이다. 약자는 価이다. 價値(가치) 價格(가격) 對價(대가) 廉價(염가)
4) 사람 인(亻)+장사 고(賈) 장사(賈)와 소비자인 사람(亻)에게 물건을 건네주는 가격> 값
5) 賈# buy; trade + 人 person → merchant evaluating (= setting a *price/value* on) commodities.
수학(數學) mathematics, 數(셈 수), 學(학문 학)
셈하는 학문
수량 및 공간의 성질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 수학, 1-2 01-008
일어: [数学:すうがく 수 가꾸], 중어:数学 [shùxué 슈쉬에]
數*셀 수(攴-15, 7급)
1) 數자의 攵(=攴)은 손이나 막대기로 어떤 물건의 수를 ‘헤아리다’는 뜻으로 쓰임. 婁(성길 루)는 발음이지만, 지금은 음이 크게 달라졌다. ‘헤아리다’(count), ‘셈하다’(calculate).
2) 칠 복(攵) + [포갤 루(婁)→수, 삭] 최초에는 ‘셈하는’ ‘여러 수’라는 뜻. 音은 婁의 변음이다. 婁+攵, 속이 비어(婁) 잘못하면 매(攵)를 ‘자주’ 쳐서 가르치는 것이다. 자주 치면 깎아지므로(削삭) 音이 ‘삭’이다. 자주 여러 번 하므로 ‘세는’ 뜻이 되어 音이 ‘수’다. 또 ‘빽빽하다’는 뜻으로는 音이 ‘촉’이다. 數學(수학)/ 數數(삭삭) 頻數(빈삭) →削(깎을삭)
3) 거두다/성기다 루(婁)+칠 복(攴=攵) 거두어들인(婁) 것을 하나씩 두들기며(攴=攵) 헤아린다> 세다, 셈하다.
4) 婁# (continuum) + 攵 action indicator → enumerate people or a continuum of objects →*count*; *number*.
學*배울 학(子-16, 8급)
1) 學자가 원래 ‘아이 자’(子)가 없었음. 새끼를 꼬아 지붕을 얽는 모습을 그린 것. 후에 아이들도 그 일을 배워야 했기에 ‘子’가 첨가되었다. ‘배우다’(learn)가 본뜻이고, ‘학문’(learning) ‘학설’(theory) ‘지식’(knowledge) 등으로 확대.
2) 臼+爻+子(아들자), 아이(子)가 양손으로 산가지(爻)를 움키(𦥯)고 ‘배우는’ 것이다. 爻+臼(양손)+冖+子, 아직은 덮어(冖) 진 환경에서 마음이 어린아이(子)가 두 손(臼)을 들어서 좋은 본을 받아(爻) 드림이니, 즉 가르침을 ‘배우는’ 것이다. 音은 효(爻점괘 효)의 변음이다. 學問(학문) 學校(학교) 學者(학자)
3) 아뢰다/고하다 곡(𦥯)(嚳의 획 생략)+아들 자(子) 스승이 고하는 것(嚳)을 아이들(子)이 배우다→배우다
4) 𦥯 is 爻 (obtain knowledge) + an element combining a pair of hands(臼) and 冖 a cover (→ covered building) → covered place of instruction where another is stimulated to obtain knowledge (compare 校).
5) 學 adds 子 child → place where an instructor stimulates pupils to acquire knowledge (compare 敎) → *school* → *study*; *learn*.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2) - Hanja in mathematics(22) (0) | 2022.07.26 |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7)-Hanja in elementary school(27) (0) | 2022.07.25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6)-Hanja in elementary school(26) (0) | 2022.07.22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0) - Hanja in mathematics(20) (0) | 2022.07.20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5)-Hanja in elementary school(25) (0) | 2022.07.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