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7) - 철봉(鐵棒), 성격(性格)
철봉(鐵棒) chin-up bar, bar iron, 鐵(쇠 철), 棒(몽둥이 봉)
쇠몽둥이, 기계 체조에 쓰는 기구, 국어, 1-2 01-017
일어: [鉄棒: てつぼう 테츠보], 중어: 铁梗 [tiěgěng 티에겅]
鐵*쇠 철(金-21획, 5급)
1) 쇠 금(金)+끊다 재(裁의 획 생략)+드러나다 정(呈) 끊으면(裁) 쉽게 속이 드러나는(呈 드릴 절) 무른 쇠(金)>무쇠(Iron)
2) 金+(열 십十)+戜(날카로울 철), 무기를 날카롭게 만드는 쇠(金)는 ‘철’이다. 音은 呈(미칠 광, 드릴 절)의 변음일 것이다. 검은 쇠는 鐵이고, 흰 쇠는 銀(은은)이고, 누른 쇠는 金(금)이고 붉은 쇠는 銅(구리동). 鐵鑛(철광)
3) 呈 (to notify), to which 戈 (a weapon) was added, giving 𢧄 (notification made with threats); which in turn had 大 (man) > 十 added. Finally, the radical 金 was also added. Combined meaning: iron
4) 戜 combines 呈 (extend) + 戈 here a variant form of 伐 (cut down) → cut an extensive portion → large. In place of 戜, the right-hand element# of 鐵 substitutes 𢦏 (hurt, threat) as described in 栽 (→ cut; sever). 鐵 adds 金 metal → metal used to cut (large portions of) other objects → *iron*.
棒*몽둥이 봉(木-12획, 1급)
1) 나무 목(木) + [받들/도울 봉(奉)] 두손으로 잡아(奉) 치는 나무(木)는 ‘몽둥이(bar)’다. 시위하는 막대기는 棒, 형벌하는 막대기는 笞(볼기칠 태), 행보하는 막대기는 杖(지팡이 장).
2) 나무 목(木)+받들/돕다/기르다 봉(奉) 정신을 기르기(奉) 위해 채벌하는 나무(木)>몽둥이(club)
3) 奉 # (spread/extend) + 木 tree/wood → extend a *club/stick/pole* straight out → *straight line* → *by rote(기계적으로 암기)* (← perform in an unvarying manner).
성격(性格) character, personality, 性(성품 성), 格(격식 격)
성품의 격식, 각 개인에게 특유한 감정, 의지, 행동의 경향, 국어, 1-2 01-017
일어: [性格:せいかく 세이가꾸], 중어: 性格 [xìnggé 싱끄]
性*성품 성(心-8, 5급)
1) 타고난 성질, 즉 ‘천성’(nature)을 뜻함, ‘마음 심’(心=忄)과 ‘날 생’(生) 모두가 의미 요소. 최근 들어서는 남녀의 ‘성’(sex; gender)을 뜻하는 것으로 많이 쓰임.
2) 女 + [날/살 생(生)→성] 성씨 성(性)자는 여자(女)가 낳은(生) 아이에게 자신의 성(姓)을 따르는 모계사회에서 유래하는 글자, 뿌리의 모습을 본떠 만든 뿌리 씨(氏)자는 부계 사회로 옮겨 가면서 아버지 성을 일컫는 글자. 지금은 둘을 합쳐서 성씨(姓氏)라고 함.
3) 忄+生, 타고난(生) 마음(心) 그대로다. 우주만유는 무엇이나 다 독자성과 공통성을 가지고 생성하. 또는 마음(心)은 성품(性)에서 생기는(生) 것이다. 性品(성품) 性質(성질) 性別(성별)
4) 마음 심(忄)+날 생(生) 마음심(忄)에서 생겨난(生) 것>성품
5) 生 birth; life + 心 heart/emotions → one's inborn nature → *character*; *nature*; *sex*; *gender* → *essence*.
6) Something that comes out of(生) one’s heart(忄) is that person’s nature.
格*격식 격(木-10획, 5급)
1) 본래 ‘(나무의) 긴 가지’(a long branch)를 뜻함, ‘나무 목’(木)이 의미 요소로 , 各(각각 각)이 발음 요소 - 挌(칠 격). ‘바로잡다’(correct) ‘연구하다’(study) ‘격식’(an established form) 등으로 활용.
2) 나무 목(木) + [각각 각(各)→격] 나무로 만든 책시렁(선반)이나 나무의 가지라는 의미, 나중에 격식이라는 의미가 생김. 격식(格式)은 격에 맞는 일정한 방식.
3) 木(나무목)+各, 나무(木)가지는 각(各)각 다르게 벗어 가나 그래도 전체로는 한 법식이 있으니 그는 ‘바르게’ 위로 ‘이르는’ 것. 音은 各의 변음. 格物(격물) 格鬪(격투) 性格(성격) 品格(품격) 人格(인격) 格納庫(격납고)
4) 各 (come to a stop) + 木 tree/wood → wooden stick used to stop the doors of a gate (compare 閣) → *be stopped up*; *be blocked* (with); *standard*; *rank* (← stick used as a standard of length) → *substance*; *frame-shaped* → *correct*; (grammatical) *case*.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8)-Hanja in elementary school(28) (0) | 2022.07.28 |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2) - Hanja in mathematics(22) (0) | 2022.07.26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1) - Hanja in mathematics(21) (0) | 2022.07.23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6)-Hanja in elementary school(26) (0) | 2022.07.22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0) - Hanja in mathematics(20) (0) | 2022.07.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