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2) - 교과서(敎科書), 우표(郵票)
교과서(敎科書) textbook, 敎(가르칠 교), 科(과목 과), 書(책 서)
가르치는 과목의 책, 학교에서 수업 시 사용하는 책 수학, 1-2 01-008
일어: [敎科書: きょうか しょ 쿄까쇼], 중어:教科书 [jiàokēshū 찌아오크슈]
敎*가르칠 교(攴-11, 8급)
1) 敎자는 사랑의 매를 들고[攵=攴] 아이들을 일깨우는[爻+子] 모습 ‘공부하도록 다그치다’(urge pupils to study)가 본뜻, ‘지도’(指導, giving guidance), ‘가르치다’(teach)는 뜻으로 확대 사용.
2) 칠 복(攵) + 점괘 효(爻) + 아들 자(子) 아이(子)들을 때려가며(攵) 산가지(爻)를 들고 숫자를 가르친다는 의미.
3) 爻(效)+子+攵, 아이(子)로 하여금 본받(效)도록 매치(攵) 것. 즉 ‘가르치는’ 것이니 그는 맹목적인 본능을 교정하기 때문이다. 孝+攵(칠복), 효(孝)도하도록 매치는(攵) 것이다. 音은 孝의 변음이다. 敎育(교육) 敎材(교재)
4) ‘가르칠’ 교(敎)는 본받는 것이 그 뜻. 『설문』에서 “교(教)는 윗사람이 가르치는 것을 아랫사람이 모방하는 행위이다”라고 함.
5) If one teaches his/her child with an appropriate amount of discipline(攵), the child will be filial(孝).
6) 攴 action indicator and 爻 (obtain knowledge)→ cause to obtain knowledge. The addition of 子 child suggests an instructor stimulating pupils to obtain knowledge (compare 學) → *teach*; *instruct*; *tell/show* (how to do) → *lesson*; *teachings*; *precept*; *doctrine* → *religion*.
科*과목과(禾-9, 6급)
1) 科자는 익은 벼의 모습인 禾(벼 화)와 분량을 되는 말(斗․두)이 합쳐진 것으로 ‘(곡식의) 분량’(an amount)이 본래의 뜻이었는데, 후에 ‘분야’(a field), ‘등급’(a class), ‘갈래’(a sect) 등으로 확대 사용.
2) 벼 화(禾) + 말 두(斗) 말 두(斗) 자는 양을 재기 위한 국자(ladle)의 상형. 원래 과목과(科) 자는 벼(禾)의 양을 재기(斗) 위해 먼저 품질에 따라 분류한다는 뜻. 과목(科目)도 분류한다는 뜻에서 생겨남. 3) 禾+斗(말도), 벼(禾)를 말(斗)로 되는(재는) 것. 그것은 다 정도가 있는 동시에 또 넣는 그릇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분과란 뜻이 됨. 音은 禾의 변음이다. 科目(과목) 科學(과학) 科擧(과거)
3) original meaning is measure the weight and volume of rice with ladle. If people know weight and volumen, they can classify of the grain. 2) 禾 grain/rice + 斗 ladle → determine the quality/grade of crops in weighing them → *rank*; *examine* → *course*; *section*; *department* (← places where examinations are carried out; compare 課). 3) category of academic study or professional occupation
4) To measure corn (禾) with a dou (斗) << class; rank; gradation; examination (each degree received every year a fixed amount of grain).
書*글 서(曰-10, 6급)
1) 書자의 聿(율)은 붓을 잡고 있는 모양, 하단의 ‘曰’은 먹물이 담긴 벼루의 모양에서 변화된 것, ‘날’이나 ‘말하다’와 관련을 지으면 잘못된 해석을 낳게 된다. ‘글을 쓰다’(write)가 본뜻인데, ‘책’(book)을 가리키기도 한다
2)가로 왈(曰) + 붓 율(聿) 손(彐)으로 잡고 있는 붓(聿)과 벼루(日)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日은 날 일(日)과는 상관없이 그냥 벼루 모양.▶ 백면서생(白:흰 백 面:낯 면 書:쓸 서 生:날 생) : "흰 얼굴의 글 읽는 사람"이란 뜻으로, 글만 읽고 세상일에 어두운 사람.
3) 붓 률(聿)+가로 왈(曰) 성인의 말씀(曰)을 붓(聿)으로 적은 것>글
4) 聿+曰, 붓(聿)이 말하(曰)는 것은 즉 ‘글쓰는’ 것이다. 따라서 써 놓은 책도 의미한다. 文으로 쓴 책은 書고, 書를 쓰는 글은 文이다. 書信(서신) 書籍(서적) 書類(서류)
5) 聿 (a writing brush) and 者 (sentences) > 日: to write; a book.
6) 者 (pile) + 聿 implement held upright to carve/draw characters → pile of documents comprising a written work (compare 著) → *book*; *document*;*letter*; *calligraphy*; *style of writing Han/Chinese characters*.
우표(郵票) (postage) stamp, 郵(우편 우), 票(표 표)
우편 요금 표, 우편 요금을 낸 표시로 우편물에 붙이는 증표 수학, 1-2 01-011
일어: [郵票 ゆうひょう 유효], 중어:邮票 [yóupiào 요우피아오]
郵*역참 우(邑-11, 4급)
1) ‘역참’(post station), 즉 문서나 편지를 전달하는 인마(人馬)를 번갈아 내보내기 위하여 적당한 거리를 두고 설치한 집을 뜻함. 대개는 고을(邑․읍)의 모서리나 끝(垂․끝 수)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
2) 고을 읍(邑/阝) + [드리울 수(垂)→우] 변방(垂)에 있는 고을(邑/阝)로 역말을 타고 간다는 뜻에서 우편(郵便)이란 뜻으로 변화.
3) 垂+⻏(邑), 고을(邑)에서 고을로 드리우는(垂) ‘우편’이다. 郵便(우편) 郵遞局(우체국)
4) 고을 읍(阝=邑)+가/끝/베풀다/드리우다 수(垂)
기본의미; 나라의 적당한 곳에 마을(阝=邑)을 두어 말을 바꿔 내주는(垂) 곳>역참
5) 邑 village/settlement + 垂 (boundary marker) → distant, frontier settlement → *mail* (← distant relay points for mail). The pronunciation of 郵 has been influenced by 華.
票*표 표(示-11, 5급)
1) 본래 ‘불똥’(sparks of fire)을 뜻하던 글자, ‘불 화’(火)가 의미 요소로 쓰였다가, 특별한 이유 없이 ‘제사 시’(示)로 바뀜. 후에 ‘훌쩍 날다’(lightly fly) ‘쪽지’(a ticket) ‘증표’(a voucher)를 뜻하는 것으로 많이 쓰이게 되자 ‘불똥’은 熛(표)자를 따로 만들어 나타냄.
2) 표(票)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글자 윗부분은 두손(臼)으로 무엇(囟)인가를 잡고 있는 형상, 글자 아래는 불 화(火)자. 무엇인가를 태우는 모습에서 가볍게 날리는 모습이나 불똥을 나타내는 의미를 표현하는 글자입니다. 가볍게 날린다는 의미에서 종이 쪽지라는 의미가 파생.
3) 襾(덮을아)+示(보일시), 덮인(襾) 부분을 보이(示)게 ‘표’를 하다. 그는 표시(表示) 하는 것이므로 音은 ‘표’다. 나무(木)에 써서 표(票)시 하는 것은 標(표)다. 車票(차표) 投票(투표) →表(겉표,나타낼표,밝힐표)
4) an abbreviated form# of 要 (compress) + 火 fire → fine/light particles that rise from an object compressed by flames → *slip*; *ballot*; *vote* (← tiny pieces of paper or wood used as tickets or for balloting). 火 was later replaced with 示 altar/the supernatural.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3) - Hanja in mathematics(23) (0) | 2022.07.29 |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8)-Hanja in elementary school(28) (0) | 2022.07.28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7)-Hanja in elementary school(27) (0) | 2022.07.25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1) - Hanja in mathematics(21) (0) | 2022.07.23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6)-Hanja in elementary school(26) (0) | 2022.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