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3) - 칠판(漆板), 시간표(時間表)
칠판(漆板) chalkboard, 漆(칠할 칠), 板(판 판)
판을 칠함, 분필로 글씨를 쓰는 판. 수학, 1-2 02-018
일어: [黒板: こくばん 고꾸방], 중어: 黑板 [hēibǎn 흐이반]
漆*옻/칠할 칠(氵-14, 3급)
1) 물 수(氵=水, 氺)+옻나무 칠(桼) 옻나무(桼)에서 나오는 검붉은 액체(氵=水, 氺>옻(sap of the lacquer tree)
2) 옻나무 칠(桼)자는 나무(木)에 새겨놓은 칼자국(八)에서 떨어지는 수액(水)이 옻이라는 의미입니다. 나중에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물 수(氵)자를 추가.
3) 氵+桼, 桼은 나무(木)에서 나오는(八) 물(氺)이니 즉 ‘옻’이다. 氵변을 덧붙여서 그 수분 만을 뜻하고, 그 나무는 木변을 덧붙여서 ‘칠’로 쓴다.
4) 桼# originally depicted cuts in a tree made at intervals, producing a slender trickle of sap(수액). 漆 adds 水 water (→ liquid) → *lacquer* tree.
板*널 판(木-8획, 5급)
1) 板자는 ‘널조각’(a piece of a plank) ‘판목’(a wood block)을 뜻함, ‘나무 목’(木)이 의미. 反(되돌릴 반)이 발음. - 販(팔 판)
2) 나무 목(木)+뒤치다 반(反) 통나무를 앞뒤로 뒤치며 컨 편평한 판>널빤지 *板에 글을 새긴 것은 <版(판)>
3) 木+反, 나무(木)를 톱으로서 켜면 그 두조각은 서로 등지(反)고 벌어지는 ‘판’이다. 音은 反의 변음.
4) 反# (thin sheet) + 木 tree/wood → wooden sheet/*board*.
시간표(時間表) timetable, 時(때 시), 間(때 간), 表(표 표)
시간을 나타낸 표
시간을 나누어서 시간대별로 할 일 따위를 적어 넣은 표. 수학, 1-2 02-018
일어: [時間表: じかんひょう 지깐효], 중어:时间表 [shíjiānbiǎo 시지엔삐아오]
時*때 시(日-10, 7급)
1) ‘해 일’(日) + ‘발자국 지’(止). 후에 추가된 寺(관청 사)가 발음 -> 詩(시 시)와 侍(모실 시). ‘계절’(a season)이란 본 뜻에서 ‘때’(time) ‘시간’(an hour)’ 등으로 확대.
2) 해/날 일(日)+관청/철 사(寺) 관청(寺)에서는 날(日)과 때를 정해서 일정하게 일을 진행한다→때, 철
3) 날 일(日) + [모실 시(寺)] 日+寺(之+寸), 해(日)가 가는(之) 치(寸)수니 즉 ‘때’다. 한 찰라에서 영겁에 이르는 전부를 통칭하는 것이다. 音은 寺(사)의 변음. 時間(시간)
4) 寺 (stand straight by) + 日 sun/day → straightforward procession of the sun through the sky → *time*; *hour*; *calendar* (compare 昔 and 昨).
間*사이 간(門-12, 7급)
1) 間자는 閒(간/한)의 속자. 閒은 밤에 대문짝(門) 틈으로 비치는 달(月)빛을 본뜬 것으로, ‘틈’(an opening)이 본뜻, ‘엿보다’(steal a glance) ‘사이’(between) ‘동안’(a period) ‘무렵’(about) 등으로도 쓰임.
2) 날 일(日) + 문 문(門) 햇볕(日)이 비춰드는 문(門) 틈→사이
3) 門(문문)+日(날일), 햇빛(日)이 들어오는 두 문(門)짝 ‘사이’다. 밤에 두 문(門)짝 사이로 달(月)빛이 비칠 때는 고요하니 閒(한)이다. 中間(중간)
4) 門 gate + 日 sun/day → bright light splitting and illuminating the *gap*/*space* between the two sides of a gate (compare 閒) → *between*; *among*; *room*; *during*; *pause/interval*; (passage of) *time* (← gap).
5) The moonlight (月) streaming in through the crackles of the door (門): interstice(작은 틈); idle; empty; leisure
表*겉 표(衣-8, 6급)
1) ‘털 모’(毛) + ‘옷 의’(衣) ‘털이 달린 겉옷’(fur coat)이 본뜻, 쓰기 편함을 위하여 그 毛자가 크게 달라졌다. 부수는 상대적으로 모양이 덜 바뀐 ‘衣’로 지정되어 있다. ‘겉’(surface) ‘나타나다’(become visible) ‘본보기’(model) 등으로 쓰임.
2) 二(上)+衣(옷의), 속옷 위에 입는 겉 옷,
3) 土+衣, 땅위에 덮인 옷은 ‘바깥’이다. 音은 ‘표’이니 속을 보이는 標(표). 내용이 나타난 바깥은 表고, 내부와는 떠난 바깥은 外. 表皮(표피) 表示(표시)
3) 옷 의(衣) + 털 모(毛) 옷(衣)에 털(毛)이 나 있는 형상으로, 털옷을 의미하였으나, "겉옷"이나 "겉(surface)"이란 의미가 됨.
4) 의(衣)+흙 토(土) 옷(衣)의 흙(土)이 뭍는 부분>겉
5) 衣 clothing with 毛 hair/fur → spread a fur or an animal skin over one's body (compare 求, 㒼 as described in 滿 and 皮, as well as 韋) → *surface*; *face*; *chart*; *express*; *expression*; *outside*; *appearance*; *show*; *mark*; *monument*; *sign*; *outdoors* (← outwardness). Also, *the top half of an inning*.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4) - Hanja in mathematics(24) (0) | 2022.08.01 |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9)-Hanja in elementary school(29) (0) | 2022.07.31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8)-Hanja in elementary school(28) (0) | 2022.07.28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2) - Hanja in mathematics(22) (0) | 2022.07.26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7)-Hanja in elementary school(27) (0) | 2022.07.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