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4) - 신문(新聞), 잡지(雜誌)
신문(新聞) newspaer, 新(새로울 신), 聞(들을 문)
새롭게 들음, 새로운 소식을 날마다 지면으로 간행하는 것. 수학, 1-2 02-019
일어: [新聞: しんぶん 신분], 新闻 [xīnwén 신웬]
新*새 신(斤-13, 6급)
1) 新자는 땔감으로 쓰는 ‘장작’(firewood)이 본래 의미. ‘나무 목’(木)과 ‘도끼 근’(斤)이 의미, 辛(매울 신)은 발음. 辛과 木의 일부 획이 겹쳐 있다. 후에 이것이 ‘새로운’(new)이라는 뜻으로도 쓰이자, 본뜻은 薪(땔나무 신)자를 만들어 나타냄.
2) 도끼 근(斤) + 나무 목(木) + [매울 신(辛)] 뜻을 나타내는 쪼갤 석(析=木+斤)자와 매울 신(辛→立)자가 합쳐진 글자. 도끼(斤)로 나무(木)를 쪼갠 자리가 깨끗하고 새롭다는 데에서 유래.
3) 亲+斤 서 있는(立) 나무(木)를 도끼날(斤)로 베어서 쓰는 것은 ‘새로운’ 재목이다. 辛(매울 신) 이 音. 刷新(쇄신)
4) 설 립(立)+날 근(斤)+ 나무 목(木) 서있는(立) 나무(木)를 도끼날(斤)로 자를 때 나타나는 나무 속>새롭다
5) The left-hand element(亲)# is an abbreviated form of one combining 辛 needle/cutting tool and 木 tree/wood → thornbush (the sharp, needle-like thorns in close proximity). 新 adds 斤 ax → create firewood by chopping a thornbush/tree with a sharp ax. *New* is an extended meaning (← freshly hewn tree/wood) → *recently/lately*.
聞*들을 문(耳-14, 6급)
1) 聞은 귀에 손을 대고 열심히 듣고 있는 사람의 모습, 그리기(쓰기)가 어려웠던 단점이 있어서 ‘귀’만 남겨 두고 나머지는 모두 생략, 대신에 발음요소인 門(대문 문)을 첨가시킴으로써 오늘날의 글자로. ‘듣다’(hear)는 본뜻.
2) 귀 이(耳) + [문 문(門)] 귀(耳)의 문(門)을 여니 ‘들리는’ 것
3) 귀(耳) 문(門)으로 소리를 ‘듣는’ 것. 따라서 코로 ‘냄새 맡는’ 뜻으로도 쓰임. 마음(心)이 귀(耳)로 직(直)결해서 잘(壬) 듣는 것은 聽(청)이다. 聽聞會(청문회) 新聞(신문)
4) 문(門)으로 사람이 들어오듯 귀(耳)로 소리가 들어오다>듣다
5) 門 # (concealed) + 耳 ear → demand to *hear* concealed *information* → *ask*; *listen*; *rumor*; *reputation*.
잡지(雜誌) magazine, 雜(섞일 잡), 誌(기록할 지)
섞여 기록돼 있음, 정기적으로 간행되는 출판물. 수학, 1-2 02-019
일어: [雑誌: ざっし 쟈씨], 杂志 [zázhì 쟈아쯔이]
雜*섞일 잡(隹-18, 4급)
1) 雜자를 ‘卒+八+隹’의 구조로 분석하면 안 된다. ‘새 추’(隹)가 부수이지만 의미와는 무관. ‘옷 의’(衣=衤)와 ‘모을 집’(集)이 합쳐진 것, ‘여러 빛깔의 천[衣]을 모아서[集] 짠 옷’이 본뜻. ‘뒤섞이다’(mixed) ‘어수선하다’(disordered) ‘번거롭다’(complicate) 등으로도 쓰임.
2) 군사 졸(卒) + [모일 집(集)→잡] 옷 의(衣→卒)의 변형자와 모일 집(集→木隹)의 변형자가 합쳐진 글자로서, 여러 가지 옷이 모여 섞여 있다는 의미.
3) 衣의변형+集 옷(衣)을 모으면(集) 모두 같지 않으니 가지 각색이 ‘섞인’ 것이다. 音은 集의 변음이다. 섞여있는 전체는 混(섞을혼)이고, 섞여있는 내용은 雜이다. 混雜(혼잡) 煩雜(번잡)
4) The top left is a contracted form of 衣(clothes). This was combined with
集 (assembly): garments made with variegated(다양한 종류) pieces stitched together<< mixture of colours or ingredients
5) 集 # assemble (with 木 repositioned) + what was originally 衣 clothing → assemble various rags into garments → *miscellaneous*; *mix(ture)*. With regard to the 衣 element, note a variant form 襍.
誌*기록할 지(言-14, 4급)
1) 言+志, 뜻(志)을 말(言)한 글은 ‘표지’다. 무릇 글은 뜻을 말한(speaking of will) 것이고, 특히 기념으로 하는 글을 뜻하므로 사기(史記)의 이름에도 쓴다.
2) 말씀/말하다 언(言)+뜻/본심 지(志) 마음속에 간직한 뜻(志)을 말(言)로 적다(write)>기록하다(record)
3) 지 (志)는 본래 위 자소자가 ‘그칠’ 지 (止,‘가다’의 뜻)로 ‘마음이 가는 바’를 뜻했음. 마음[心]이 움직이는 것, 가는 것[止]을 써서[言] 남기는 것이 지(誌)로 ‘쓰다, 기록하다’의 뜻.
4) 志 # resolve + 言 words → words used in recording one's resolution → *journal*; *record* → *keep in mind*.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30)-Hanja in elementary school(30) (0) | 2022.08.05 |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5) - Hanja in mathematics(25) (0) | 2022.08.04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9)-Hanja in elementary school(29) (0) | 2022.07.31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3) - Hanja in mathematics(23) (0) | 2022.07.29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8)-Hanja in elementary school(28) (0) | 2022.07.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