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12) - 재정 절벽(財政絕壁-fiscal clff)
재정 절벽(財政絕壁) - 財 재물 재, 政 정사 정/칠 정, 絶 끊을 절, 壁 벽 벽
재정절벽은 정부의 대규모 재정긴축으로 경제성장률 급락 등 경제전반에 충격을 주는 현상, 미국은 2013년부터 1.2조달러 규모의 재정지출 자동삭감 등 미국의 재정 지출이 대규모로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fiscal clff-재정 절벽(財政絕壁)
A fiscal cliff is a situation in which sudden changes in government spending and tax have a big and sudden effect on a country's economy.
財*재물 재(貝-10, 5급)
1) 조개 패(貝) + [재주 재(才)] 貝는 보배고 才는 재질이라 보배의 바탕이 되는 ‘재물-wealth’이다. 그러나 또한 보배(貝)를 버는 데는 재(才)능이 있어야만 된다는 의미도 있다. 財産(재산)
2) 조개/재물 패(貝)+재주/바탕 재(才) 생활의 바탕(才)이 되는 돈이나 물건(貝)>재물
3) 재(財)는 사람들이 귀하게 여기는 것. 물자나 화폐 모두를 가리킴-> 재물, 재료. ‘재단하다-cut out’는 뜻에서 ‘죽이다’의 의미도 갖는다.
4) An abbreviated form# of 材 (raw) material + 貝 commodities → resources of value → *property*; *wealth*.
政*정사 정(攴-9, 5급)
1) 政자는 ‘매질하다’는 뜻의 攵(=攴)과 ‘바로 잡다’는 뜻의 正이 합쳐진 것. 正(바를 정)은 발음과 의미를 겸하는 요소. 일찍이 ‘바르게 하다’(correct) ‘다스리다’(govern) 같은 뜻을 나타내는 데 쓰였다.
2) 칠 복(攵) + [바를 정(正)] 사람을 때려서(攵) 바르게(正) 하는 것이 다스리는 것, 즉 정사(政事)나 정치(政治)라는 의미.
3) 正+攵, 백성들이 바르(正)도록 매를 쳐서(攵) 지도해 질서를 세우는 ‘정치’다. 동양의 政은 正攵이나, 서양의 politics는 권모술수를 뜻한다. 政治(정치)
4) 正# (straight) + 攵 action indicator → figuratively *straighten* in governing → *government*; *rule*.
絶*뛰어날/끊을 절(糸-12, 4급)
1) 絶자는 ‘실 사’(糸), ‘칼 도’(刀), ‘꿇어앉은 사람 절’(卩=㔾), 이상 세 가지 의미요소가 합쳐진 것. 즉, 무릎을 꿇고 앉아 바느질하는 아낙네가 칼을 들고 실을 끊는 모습을 통하여 ‘끊는다’(cut)는 뜻을 나타냄. 후에 ‘결코’(never) ‘뛰어나게’(absolutely) 등으로도 확대 사용됨.
2) 실 사(糸) + 칼 도(刀) + 꼬리 파(巴) 오른 쪽에 빛 색(色)자가 들어가지만, 사람 위에 다른 사람이 올라 타 있는 모습의 상형인 색(色)자와는 전혀 상관없음. 칼(刀)로 실(糸)을 자른다는 뜻과, 병부 절(卩)자의 소리가 합쳐진 글자.
3) 糸(실사)+刀(칼도)+巴(節,마디절), 실(糸)을 칼(刀)로서 요절(要節=巴)에서 ‘끊는’ 것이다. 긴 것을 요점에 끊음은 絶이고, 넓은 것을 도려서 끊음은 切(절)이다. 斷絶(단절)
4) right-hand element# is an abbreviated form of 切 cut + 巴 (person spread flat on the ground) → cut people who have submitted into pieces → *kill (off)* (compare 殺). The addition of 糸 thread indicates "cut animate and inanimate things into pieces" →*sever* → *die out*; *reject*; *stop*; *entirely* → *splendid* (← entirely different from/superior to others). 絶 replaces the right-hand element with 色.
壁*벽 벽(土-16, 5급)
1) 壁자는 ‘(흙으로 쌓은) 담’(wall)을 뜻하기 위한 글자 ‘흙 토’(土)가 의미. 辟(임금 벽)은 발음요소로 뜻과는 무관하다. 후에 ‘낭떠러지’(cliff)를 뜻하는 것으로 확대 사용.
2) 辟+土, 풍한(風寒)을 막기(辟)위해 흙(土)으로 만든 방의 ‘벽’이다. 방을 둘러싼 것은 壁이고, 집을 둘러싼 것은 垣(담원)이다. 壁紙(벽지) 障壁(장벽) 巖壁(암벽)
3) 흙 토(土)+임금/법/허물 벽(辟) 흙(土)을 쌓아 안과 밖을 법(辟)처럼 제한하는 구조물>벽
4) 辟# (spread) + 土 earth → spreading, earthen *wall*.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14)-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14) (0) | 2022.10.29 |
---|---|
경제용어(13)-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13) (0) | 2022.10.22 |
경제용어(11)-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11) (0) | 2022.10.09 |
경제용어(10)-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10) (1) | 2022.10.02 |
경제용어(9)-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9) (1) | 2022.09.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