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교과서 한자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9)-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9)

by propup77 2022. 5. 21.

가족(家族) 家(집 가) 族(가족 족) family
일어:家族 [かぞく 가족끄], 중어家族 [jiāz&uacute 찌아쭈]
집의 가족 부부(夫婦)를 기초(基礎)로 하여 한 가정(家庭)을 이루는 사람들 국어 1-1

 


家*집 가(宀-10, 7급)
1) 家자는 가정(family)을 뜻하기 위해서 고안된 글자인데, 집 면(宀)과 돼지 시(豕)가 조합되어 있다. 집집마다 돼지를 기르던 옛날 또는 농촌 풍습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2) 집 면(宀) + 돼지 시(豕) 집(宀) 안에 돼지(豕)가 있는 형상을 본떠 만든 글자. 돼지는 가축(家畜)들 중에서 최초로 집안에서 길러서 생긴 글자. 옛날에는 돼지를 집안에서 길렀고, 사람들의 분뇨와 음식 찌꺼기를 먹으며 자람. - 제주 똥돼지
3) 宀(집면)+豕(돼지시), 돼지가 사는 집, 즉 자기 집을 낮추어하는 말이며 일반 집을 총칭. 남의 집을 미칭 해서는 宅(택).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돼지를 아래층에 기르고 위층에 사람이 살았다고 한다. 동이족에만 있는 생활문화로서 현재 제주도 지방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家族(가족) 家計(가계) 家系(가계)
4) 부정의 의미 뒤에 붙어 강조하는 역할(不家 불가)

 

家  
1)宀 roof/building + 豕 pig/boar, here a variant form of 亥# (pig/boar stretched taut for slaughter) pigs/boars confined in a hut or shed and awaiting slaughter *house*/*household* *home**family* *shop* *store* *business* *dealer* *seller* *specialist* (&larr tradesman operating a particular business).
2) Ancestors of Korean fed up their poops to pigs. They lived on 2nd floor to deny harmful insects and raised up their pigs on 1st floor this living culture still remaining in Jeju province in Korea. They called it 'Poop pig'
3) used for emphasis after a negative (不~, 甭~)

族*겨레 족(方-11, 6급)
1) 깃발 언(㫃) + 화살 시(矢) 깃발 아래 모여 있는 사람들을 본떠 만듦. 깃발 아래에 있는 화살 시(矢)는 화살과 상관없이 사람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2) 㫃(깃발언)+矢(화살 시), 군기(㫃) 아래로 집결한 화살(矢)인데 五十개를 한 族이라고 한 것이 인간의 겨레라는 뜻이 됨. 音은 족이니 서로 補足(보족)하는 것이다. 韓民族(한민족) 族屬(족속)
3) 전쟁에는 사람도 모여야 하고 화살도 모아야 해서 모인다는 것을 의미


1) Waving flag(㫃) and arrow(矢) signify war. When people are gathered under one flag(㫃) in a time of war, it means the people are from same tribe or clan of long generations sharing same culture and language.
2)矢# arrow + an abbreviated form of 旅 (pennant/banner-㫃) arrows piled beneath the fluttering(나부끼는, 휘날리는) pennant of a *clan*/*tribe* *family*.
3) From 矢 (arrow) and (numerous): a bundle of arrows &lt&lt a number of people of the same kind a clan.

 


간단(簡單) 簡(간략할 간) 單(홑 단) simple
일어:簡単[かんたん 간땅], 중어:简单 [jiǎndān 지엔딴]
간략함 간략(簡略)하고 또렷함 국어 1-1

簡*대쪽 간(竹-18, 4급)
1) 簡자는 대 죽(竹)이 의미요소이고, 間(사이 간)은 발음 요소다. 종이가 발명되기 전 아득한 옛날에는 길고 납작하게 다듬은 대나무 쪽에다 글을 썼다. 그러한 대쪽(split bamboo)을 일러 簡이라 했다. 후에 문서(a document) 편지(letters) 간략하다(simple brief)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2) 대나무 죽(竹) + [사이 간(間)] 쪽(簡)은 대를 잘라 쪼갠 조각-대나무 죽(竹) 자가 들어감. 편지 간(簡) 자도 되는데, 종이가 없던 옛 중국에서는 편지를 대쪽에 썼기 때문.
3) 竹(대죽)+間, 종이가 없을 때 대(竹)쪽 사이(間)에 쓴 편지 글이다. 그것은 간단하게 쓴다. 나무에 쓴 글은 札(패찰)이고, 조각에 쓴 글은 牒(글씨판 첩)이다. 書簡文(서간문) 簡略(간략) 簡擇(간택)


1)間#gap + 竹 bamboo collection of bamboo *slats* with gaps between them *papers**letters* *documents* (&larr texts written on bamboo slats) *omit* (&larr gap) *simple* (&larrsimplify by omitting).
2) Before paper was invented, sentences were simple because the Chinese wrote on tiny spaces(间) of flat bamboo(竹).

單*홑 단(口-12, 5급)
1) 單자는 Y자형 나무 가지 끝에 돌을 매달아 만든 무기의 일종을 일컫는 것이었음은 戰(싸울 전)의 의미요소를 통하여 증명할 수 있다. 그런데 후에 이 글자는 홑(single) 단지 하나(only one) 홀로(alone) 같은 차용 의미로만 사용됐다.
2) 홑 단(單)자는단(單) 자는 줄 양끝에 돌을 매어 던져 짐승이나 사람이 줄에 감겨 산채로 잡는 무기의 일종으로 추정. 단(單) 자는 모양이 조금 변형하여 짐승 수(獸) 자에서처럼 사용되기도 하고 오랑캐 이름 선(單) 자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다른 글자와 만나면 선(禪)이나 전(戰)으로 소리 남.
3) 留(머무를류)+十(열십), 十의 아래로 머물게(留) 한 단위, 홑이란 뜻이 된다. 音은 단이니 十의 이하를 一단으로 통칭한다. 單行本(단행본) 單身(단신)
4) 자소자로 吅(부르짖을 훤)

單 single
1) A depiction of a flat hunting weapon, made of rattan(등나무), used to beat birds out of the sky with a fanning motion *simple* (&larr simple weapon) *single* *individual* *only*
2) From (pitchfork 갈퀴) and 吅 (cries): to assault

인사(人事) 人(사람 인)事(일 사) salute, greeting
일어:挨拶 [あいさつ 아이사쯔] 중어:问候 [w&egravenh&ograveu 웬허우]
사람의 일 안부(安否)를 묻거나 공경(恭敬)의 뜻을 표(表)하는 일 국어 1-1

人*사람 인(人-2, 8급)
1) 人자는 사람(person)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람이 서 있는 자세의 측면 모습을 본뜬 것이었다. 왼쪽 변방으로 쓰일 때의 모양인 亻이 원형에 더 가깝다. 후에 남(others) 딴 사람(another person)을 뜻하는 것으로 확대 사용됐다.
2) 팔을 약간 앞으로 내밀고 있는 사람의 옆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사람과 관련되는 글자에 모두 들어감. 사람의 성격에 관련되는 글자는 마음 심(心)과 유사하게 사용.
3) 부수명칭=사람인변): ①팔과 정강이를 상형. ②丿(남자)+乀(여자), 하늘에서 내려온(丿) 정신과 땅에서 올라온(乀) 육체가 서로 결합된 사람이다. 사람은 착해(仁)야 하기 때문에 音은 인이다. 人間(인간) 他人(타인) 人品(인품) 人格(인격) 人民(인민) 爲人(위인) ◎설문: 天地之性 最貴者也 此籒文 象臂脛之形 [如鄰切(인)] ☞寅(인), 仁(인), 人은 서로 통한다.


1) A depiction of a standing *person* reaching toward another, suggesting people in mutable interaction *human* (being). Compare 仁. In dual-element characters, 人 nearly always appears on the left in the form 亻. In many such characters (價 儗 仰 儆 偃 儀 etc.), 人 suggests human agency, but there are others in which 人 has no semantic function at all. In these cases (伎 優 供 佑 傾 佹 etc.), 人 is used simply to create a derivative character conveying meanings that dropped from the original one.
2) The side profile of a person, and means man.

 

불편(不便) 不(아니 불) 便(편할 편)
일어:面倒 [めんどう 멘도우] 중어:不便 [b&uacutebi&agraven 부비엔]
편하지 않음, 편리(便利)하지 않음 국어 1-1

 

不*아닐 불(一-4, 8급)
1) 一(하늘)+个(새모양), 說文(설문)에는 새가 하늘로 날아서 다시 돌아오지 아니한 것이다. 없어져 아님은 不이고, 서로 등져 아님은 非(비)고, 아직 아님은 未(미)고, 모두 아님은 罔(망)이다. ㄷㅈ음이 뒤에 오면 음이 부이다. 의문사로 아닌가 부 일 때는 否(부)와 통한다. 不可(불가) 不爲(불위) 不惑(불혹) 不動(부동) 不正(부정)
2) 不자의 자형 풀이에 대해서 이설은 많고 정설은 없다. 획수가 매우 적으니 그냥 외워 버리는 것이 상책이다. 부정사로 많이 쓰이며, 원래 독음은 [불]이나 뒤 글자의 자음이 /ㄷ/이나 /ㅈ/일 때에는 [부]로 바뀐다.
3) 아닐 부(不)자는 꽃받침이 없고 씨방만 있는 꽃대의 모습입니다. 열매는 없고 씨방만 있다고 해서 "아니다"라는 의미가 생겼다는 설과, 하차하여 "아니다"라는 설이 있음. 아닐 부(不) 자는 "불"로도 소리가 나는데, 부정(不正), 부당(不當), 불구(不具), 불연(不然), 불편(不便)에서와 같이 뒤에 오는 글자의 자음이 ㄷ이나 ㅈ이면 '부'로 읽고, 그 외에는 '불'로 읽음. 예외가 있는데, 부실(不實)과 독불장군(獨不將軍)이 그 예외.

不 no, negative
1) A depiction of a bulging(튀어나옴), swollen bud (compare 芣). *Not* and *un-* are borrowed meanings (compare 拂 and 非).
2) Original meaning: a bird that rises, flapping its wings, straight towards the sky (一). The present meaning is of relatively recent date.

便*짝 편(人-9, 7급)
1) 便자는 편안하다(comfortable)란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람 인(人)과 바꿀 경(更)을 조합해 놓은 것이다. 사람의 불편한 심기를 바꾸어야 편안해진다는 뜻인가 보다. 짝(the partner)을 이르기도 한다. 똥오줌(urine and feces)을 일컫기도 하는데, 이 경우는 [변]으로 읽는다.
2) 亻(사람인)+更(고칠경), 사람(亻)이 불리한 것을 고쳐(更)서 문득 편리하게하는 것이다. 便을 因함은 인편이고, 불편한 분뇨를 배설해서 편케 함에는 音은 변이다. 便利(편리) 便法(편법) 便紙(편지) 便宜(편의) 人便(인편)/ 小便(소변) 便秘(변비)

 


便 convenient
1) The right-hand element was originally an element of uncertain composition, but the Old Chinese pronunciation of 便 suggests that this element conveyed the concept "spread" (compare 丙, a constituent element of 更). 便 adds 人 person ( human agency) cause to spread *pass smoothly**excrement* (&larr offal that passes smoothly out of the body) *easy*/*at ease* (&larrpass smoothly/easily)*convenient**expedient*(&larrmake something easy). Also, *letter*,*message* and *news* (of/from) (&larr pass word from one place to another).
2) A man (亻) who, not satisfied with the way things are, acts to make a change(更): convenience advantage ease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