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력(努力) 努(힘쓸 노) 力(힘 력)
일어: 努力 [どりょく 노력끄] 중어:努力 [nǔ//lì 누~리]
힘씀, 힘을 씀, 힘을 다함 국어 1-1
努*힘쓸 노(力-7획, 4급)
1) 힘 력(力) + [종 노(奴)], 종(奴)이 힘(力)을 쓴다
2) 奴+力, 종(奴) 몸처럼 일에만 힘(力)을 쓰는 것이다. 힘껏 일함은 努고, 책임에 힘씀은 務(무)고, 사납게 힘씀은 勵(려)다. 努力(노력)
3) 종 노(奴)의 또 우(又)는 손을 가리킵니다. 손으로 다른 사람을 안마해주는 여자(女)라는 뜻. 그런 노동을 하는 사람이 종이고, 종은 그런 일을 하려니 자연 힘을 쓸 수밖에 없다. (굳은살: 힘을 써서 생기는 살-노육(努肉)-callus)
努
1) 奴 (strenuous activity) + 力 power/energy *strive*/make great exertions *exert oneself*
2) 奴 A woman (女) under the hand (又) of a master: a female slave a guilty woman
3) A woman under the hand of a master doing physical labor. She should use her physical strength.
力*힘 력(力-2획, 7급)
1) 쟁기(plow)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쟁기를 사용하는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힘에 관련되는 글자에 포함.
2) (부수명칭=힘력변): 힘준 팔의 근육 꼴. 오른쪽 팔로 주먹을 쥐고 힘을 쓰는 것. 힘으로서 사역(役)을 하니 音은 력이다. 氣力(기력) 力士(역사) 體力(체력)
3) 갑골문의 힘 력(力)은 팔뚝(arm)이 굽은 모양을 본뜸. 팔뚝에 힘이 숨어 있음을 나타냄. 부수로 쓰여 힘이 있다,힘을 들이다는 뜻. 힘 력 (力)은 땅을 가는 쟁기 모양을 본뜬 것이라는 설명도 있음
力(power, labor)
1) A depiction of the powerful arm or plow *power* *energy* *strength* *skill**ability* *labor* *make efforts*.Symbolizes plow, a critical tool in agriculture. Power is needed to pull the plow in fields.
2) picture of plow, a tool that requires physical effort
3) The middle line in the ancient form represent a sinew(핏줄, 정력), the others the fibrous sheath(힘줄을 둘러싼 섬유 집) << strength 상형문자의 가운데 라인은 핏줄을 나머지 부분은 힘줄을 둘러싼 섬유 집을 상징.
공부(工夫) 工(힘쓸 공) 夫(지아비 부) -study
일어:勉強 [べんきょう 뱅쿄우] 중어:学习[xuéxí 슈에시]
학문(學問)이나 기술(技術)을 닦는 일 국어 1-1
工*장인 공(工-3, 7급)
1) 工자는 곱자(carpenters square), 즉 직각 선을 그을 때 사용하는 자를 지칭하기 위해서 그것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그것은 목공들의 필수품이었으니, 장인(a craftsman) 목수(a carpenter)의 뜻으로 확대 사용됐다.
2) 진흙을 바르고 고르는 데 사용되는 흙손(시멘트 등을 바르는 데 사용하는 도구), 진흙을 다지는 데 사용하는 도구, 목수가 사용하는 끌, 대장장이가 쇠를 벼리기 위한 모루 등이 그러한 예. 장인 공(工) 자는 부수임에도 불구하고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드물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글자로는 교묘할 교(巧) 자 정도. 대부분의 경우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로 사용.
3) (부수 명칭=장인 공): 一(하늘)+丨(사람)+一(땅), 사람이 하늘과 땅을 연결하여 무엇을 만들다. 하늘과 땅 사이에 사람의 특징은 무슨 물건을 만드는 것이다. 공인이 물건을 만들 때 쓰는 자의 상형이니 곡척으로 사용했다. 工人(공인) 工業(공업) 工作(공작)
工 craftsman
1) A picture of capenter's square
2) 工 is mostly used as phonetic part of character, except for 巧(ingenious)
3) A depiction of a long hollow tube used as a tool both to pierce and to connect *work**construct* (&larr work/construct using connecting pipes/tubes) *artisan* *specialist* *skillful*.
夫*지아비 부(大-4, 7급)
1) 큰 대(大) + 하나 일(一), 夫자는 성인[大]의 머리에 비녀[一]를 꽂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성년 남자(adult man)가 본래 의미인데, 지어미(wife)의 짝인 지아비(husband)란 뜻으로 확대 사용됐다. 힘든 노동을 하는 사람(coolie)을 뜻하기도 하였다.
2) 가정에서는 남편이고 사회에서는 인부를 뜻한다. 夫는 다음에 父(아비부)가 되니 音이 부이다.
3) 지아비(夫)는 남편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이죠. 대(大)는 사람이고 , 가로획[一]은 비녀를 꽂은 모양입니다. 상형, 지사자로 봅니다. 옛날에는 스무 살이
되면 관례를 올리고 머리를 끌어올려 정수리에 상투를 틀고 비녀를 꽂았습니다. 성인 남자라는 뜻.
夫 husband, mature male
1) A grown up man (大) with a pin (一) in his hair to show that he is of age
2) A depiction of an outstretched male (compare 大 stand outstretched) with a topknot(비녀) *mature male* *husband*. The most ancient pronunciation of this term was PA (compare 母).
3) 一 symbolizes the hair knot and has no extra meaning.
소방관(消防官) 消(불 끌 소) 防(막을 방) 官(사람 관)-firefighter
일어:消防官 [しょうぼうかん 쇼보감] 중어:消防员 [xiāofángyuán 샤오펑위엔]
불을 끄고 막는 사람 소방서에 속하여 소방에 관(關) 한 일을 맡아보는 공무원(公務員) 국어 1-1
消*사라질 소(水-10, 6급)
1) 消자는 (물이 말라) 없어지다(dry up)는 뜻을 적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니, 물 수(水)가 의미 요소로 쓰였고, 肖(닮을 초)가 발음 요소임은 逍(거닐 소)도 마찬가지다. 닳다(wear out) 사라지다(disappear) 등으로도 쓰인다.
2) 물 수(氵) + [쇠할 소(肖)] 쇠할 소(肖) 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고기 육(肉/月) 자와 작을소(小) 자가 합쳐진 글자. 살(肉/月)이 빠져(小) 기운이 쇄하 다는 의미가 생김. 물도 그냥 두면 증발하여 사라진다는 의미.
3) 氵+肖(小+月), 물(氵)은 점점 증발되고 달(月)은 점점 작(小) 아줌마는 사라지는 것이다. 차차 사라지는 것은 消고, 영영 없어지는 것은 滅(멸)이다. 消滅(소멸)
4)닮을 초(肖)가 있는데 형체나 용모가 서로 닮았다는 뜻입니다. 한문 투의 편지에 불초(不肯)라는 말을 쓰는데 이것은 자신이 아버지를 닮지 [肖] 않았다 [不]는 것으로 못난 자식이라는 뜻. 그래서 불초자(不肖子)라는 문구를 사용.
消 disappear
1) 肖 is depiction of 肉/月(flesh)+小(decrease) that meaning is loosing weight, if people who lost their weight will be weaken. So 氵+肖(小+月)=消 indicates water would also be dried up, if we leave it alone.
2) 肖# (resemble in miniature) + 水 water *extinguish* a burning object with water, leaving the original object in reduced form *go out* *disappear* *grow thin* *dwindle* *decline* *put out* *turn off* *kill* (off) *erase*. Also, *die* (&larr be killed off) and *spend* (&larr spend time &larr extinguishing of a day).
3) A child who takes after his/her parents(肖) is born when the amniotic fluid(양수) (氵) bursts and disappears. As well, contains dual meaning of continuously-changing news as the fetal fluid is continuosly formed and disappears in a life cycle of human child.
防*막을 방(阜-7, 5급)
1) 防자는 언덕 부(阜阝)가 의미, 方(모 방)은 발음. 공격을 막기 위하여 쌓아 놓은 둑(bank)이 본뜻이고, 막다(block up) 가리다(screen)는 뜻으로 확대 사용.
2) 언덕 부(阜/阝) + [모 방(方)] 어떤 침해가 들어올 쪽(方)에 언덕(阝)을 모아서 막는 것이다. 침해를 막는 것은 防이고, 빈 곳을 막는 것은 塞(색)이다. 堤防(제방)
3) 언덕 부(阝=阜)+모/방향 방(方) 언덕(阝=阜) 방향(方)에 진을 치고 적을 막다>막다
4) 方# (spread right and left, or in all directions) + 阜 piled earth earth spread and piled to create a curved *embankment* *defend* *protect* *prevent*.
官*벼슬 관(宀-8, 4급)
1) 官자는 집 면(宀)과 언덕 부(阜)의 생략형이 조합된 것, 언덕의 비탈진 곳에 마련된 객사(an inn)가 본뜻. 그 집을 관리나 외국 사신에게 제공하였기 때문인지 벼슬(a government post) 벼슬아치(an official)로 확대 사용되는 예가 많아지자, 그 본뜻은 館(객사 관)자를 따로 만들어 나타냄.
2) 집 면(宀) + 언덕 추(㠯) 벼슬 관(官)자는 집 면(宀) 자와 언덕 추(㠯)의 변형자가 합쳐진 회의 문자. 언덕 위에 우뚝 솟은 집, 혹은 언덕처럼 높은 집이란 의미로 벼슬하는 사람들이 모여 있는 관청(官廳)이나 벼슬을 의미. 언덕이나 쌓는다 라는 의미를 가진 언덕 추(㠯)자는 언덕 부(阜)자와 같은 의미로 시용됩니다. 비슷한 글자로, 집(宀) 안에 방(口)이 여러 개 있다는 의미의 글자인 집 궁(宮)자가 있다.
3) 宀(집면)+(𠂤 언덕 퇴), 언덕(𠂤) 위에 있는 집(宀)은 높은 관청이다. 音은 冠(갓관)으로 통한다. 官職(관직) 官吏(관리)
4) 㠯 is a depiction of objects that have been accumulated and wrapped. 官 adds 宀 roof/building a number of people wrapped about/enclosed in an (official) building *government* *official* *human organ* (&larr object controlling a variety of functions, in the manner of an official). Compare 營.
과학자(科學者), 科(과정 과) 學(배울 학) 者(사람 자)- scientist
일어:科学者 [かがくしゃ 강학샤] 중어:科学家 [kēxuéjiā 크쉬에자]
과정을 배우는 사람 과학(科學)을 전문(專門)으로 연구(硏究)하는 학자(學者) 국어 1-1
科*과목과(禾-9, 6급)
1) 科자는 익은 벼의 모습인 禾(벼 화)와 분량을 되는 말(斗․두)이 합쳐진 것으로 (곡식의) 분량(an amount)이 본래의 뜻이었는데, 후에 분야(a field), 등급(a class), 갈래(a sect) 등으로 확대 사용.
2) 벼 화(禾) + 말 두(斗) 말 두(斗) 자는 양을 재기 위한 국자(ladle)의 상형. 원래 과목과(科) 자는 벼(禾)의 양을 재기(斗) 위해 먼저 품질에 따라 분류한다는 뜻. 과목(科目)도 분류한다는 뜻에서 생겨남.
3) 禾+斗(말도), 벼(禾)를 말(斗)로 되는(재는) 것. 그것은 다 정도가 있는 동시에 또 넣는 그릇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분과란 뜻이 됨. 音은 禾의 변음이다. 科目(과목) 科學(과학) 科擧(과거)
科 a field, a sect
1) original meaning is measure the weight and volume of rice with ladle. If people know weight and volumen, they can classify of the grain.
2) 禾# grain/rice + 斗 ladle determine the quality/grade of crops in weighing them *rank* *examine* *course* *section* *department* (&larr places where examinations are carried out compare 課).
3) category of academic study or professional occupation
者*놈 자(耂-9, 6급)
1) 놈 자(者) 자는 늙을 로(老) 자 아래에 가로 왈(曰) 자를 한 것처럼 보이지마는 여기서는 늙을 로(老)자가 아니라, 쌀 미(米)자의 변형. 쌀 미(米)자와 가로 왈(曰)자를 합하여 쌀을 먹는 사람이라는 뜻이 됨. 도자(道者) 선자(善者) 선자(選者) 당선자(當選者) 비자(非者)
2) 다른 글자 뒤에 자(者) 자를 붙여 하나의 사물을 이르는 것을 말함. 요즈음 어휘로 설명한다면, 것,바와 같은 불완전 명사로서 다른 말과 결합해 사물을 가리키는 명사 역할
者 person -ist, -er
A depiction of brushwood/firewood piled on a stove. However, 者 was borrowed for use as a demonstrative pronoun, later evolving in meaning to the sense of "the one who does this"
*person*. The present form of 者 and certain derivative characters of 者 eliminate a diagonal stroke above 日, such as is retained for example in 堵, 屠 or 奢.
#diagonal(사선의)
This is used as a suffix meaning -ist or -er, i.e. the person doing something.
교실(敎室) 敎(가르칠 교) 室(집 실)- class room
일어:教室 [きょうしつ 쿄오시쯔] 중어:教室[jiàoshì 짜오시쯔]교실. (=课堂(1), 课室)
가르치는 집, 학교, 교사 가운데, 오로지 수업에만 쓰이는 방 국어 1-1
敎*가르칠 교(攴-11, 8급)
1) 敎자는 사랑의 매를 들고 [攵=攴] 아이들을 일깨우는 [爻+子] 모습으로 공부하도록 다그치다(urge pupils to study)가 본뜻인데, 지도(指導, giving guidance), 가르치다(teach)는 뜻으로 확대 사용됐다.
2) 칠 복(攵) + 점괘 효(爻) + 아들 자(子) 아이(子)들을 때려가며(攵) 산가지(爻)를 들고 숫자를 가르친다는 의미.
3) 爻(效)+子+攵, 아이(子)로 하여금 본받(效)도록 매치(攵) 것. 즉 가르치는 것이니 그는 맹목적인 본능을 교정하기 때문이다. 孝+攵(칠복), 효(孝)도하도록 매치는(攵) 것이다. 音은 孝의 변음이다. 敎育(교육) 敎材(교재)
4) 가르칠 교(敎)는 본받는 것이 그 뜻. 『설문』에서 교(教)는 윗사람이 가르치는 것을 아랫사람이 모방하는 행위이다라고 함.
敎 teach, instruct
1) hit((攵=攴)+pupil(子) to make them followed guidance.
2) The relevant oracle bone form character combines 攴 action indicator and 爻# (obtain knowledge) cause to obtain knowledge. The addition of 子 child suggests an instructor stimulating pupils to obtain knowledge (compare 學) *teach* *instruct* *tell/show* (how to do) *lesson* *teachings* *precept* *doctrine* *religion*.
室*방 실(宀-9, 8급)
1) 室자는 집 면(宀)과 이를지(至), 두 가지 의미 요소가 조합된 것. 바깥에 있다가 집에 이르면(도착하면) 반드시 들어가기 마련인 곳이 방(a room)이라 생각했던 것 같다.
2) 집 면(宀) + [이를 지(至)실] 집/방 실(室) 자는 뜻을 나타내는 집 면(宀)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이를 지(至) 자가 합쳐진 글자.
3) 宀+至, 집(宀) 안에서 가장 들어(至)가 있는 깊은 방이다. 音은 실이니 사람이 實한 것이다. 깊고 큰방은 室이고, 안방이며 작은 방은 房이니 협실이다. 居室(거실) 室內(실내)
室
1)至# stopping point + 宀 roof/building *room*/chamber representing a stopping point (i.e. leading on to no other rooms) in a *house* *deep cavern* (compare 窒) *cellar* *greenhouse*. Also, *dynastic family(王室)* (compare 家).
2) house 宀 + arrive 至 Tradition dictated that sacred arrows were shot and houses(宀) with rooms were built where the arrow landed(至).
활동(活動) 活(살 활), 動(움직일 동)
일어:活動[かつどう 가츠도우] 중어:活动 [huó‧dòng 후워동]
기운(氣運)차게 움직임 국어 1-1 02-030
活*살 활(水-9, 7급)
1) 活자는 물이 흐르는 소리(the sound of stream)를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니 물 수(氵)가 의미 요소로 쓰였다. 舌(혀 설)이 발음요소였음은 姡(교활할 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생동(liveliness) 활동(activity) 같은 의미로도 쓰인다.
2) 물 수(氵) + [혀 설(舌)활]
3)氵+𠯑(氏口입막을 괄), 音은 𠯑(괄)의 변음이다. 氵+舌, 물(氵)과 혀(舌)처럼 시간적으로 흐르고 공간적으로 움직이는 것은 살아 있음이다. 무생물에는 시간이 없고 움직이지 못한다. 살아서 움직인다는 뜻이다. 生活(생활) 活用(활용)
活 live, alive, living
1) Alive means that streaming like water(氵) and moving in sapce like tongue(舌). Inanimate object(무생물) doesn't have time and cannot move
2) 舌#(chisel-like implement in motion) + 水 water break a container with a chisel-like implement, creating an active flow of the liquid contents *activity* *life*.
3) When a persons tongue(舌) is moist with water(氵), it means one is healthy and alive. Because it means that one can move actively, it also came to mean work.
주의(注意) 注(모을 주), 意(뜻 의)-concentration
일어:注意[ちゅうい 추의] 중어:注意 [zhù//yì 쭈우이]
뜻을 모음, 정신(精神) 차려 조심함 국어 1-1
注*주석 주(水-8, 6급)
1) 注자는 (물을) 붓다(pour into)가 본뜻이니, 물 수(氵=水)가 의미 요소로 쓰였고, 主(주인 주)는 발음 요소일 뿐이다. 후에 쏟다(spill) 넣다(put in)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2) 물 수(氵) + [임금/주인 주(主)] 흐르는 물(氵)을 한쪽으로 주(主)력이 가게 터 대는 것이다. 물귀를 따는 것은 決(결), 논에 대는 것은 漑(개), 물건에 붓는 것은 灌(관)이다.
3) 주(注)는 물을 대는 것, 흘려보내는 것. 그래서 모으다, 집중하다라는 뜻을 가짐. 글이나 말의 어떤 부분에 대하여 그 뜻을 자세히 풀어주거나 보충 설명을 더하는 글이나 말을 주라고 하는데, 주를 달다라는 형식으로 쓰임.
注 fill (a glass, etc.) pour (tea, etc.)
1) making streaming water(氵=水) mainly flew to one side.
2) 主# (stationary=static) + 水 water *pour* liquid into a tubular container, where it becomes and remains stationary *pour on* *sprinkle* *water* (plants) *flow/empty into* *irrigate*.
*Notice*, *pay attention*, *concentrate on*, *affix*, *interpret*, and *write down* are borrowed meanings.
意*뜻 의(心-13, 6급)
1) 意자의 마음 심(心)과 소리 음(音)은 둘 다가 의미 요소다. 뜻(will)이 본래 의미다. 옛날 사람들은, 의지가 곧 마음의 소리라고 생각하였나 보다. 후에 생각하다(think of), 마음먹다(determine) 등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2) 마음 심(心) + [소리 음(音)의] 소리(音)를 듣고 마음(心)으로 뜻(意)을 안다고 해서 생긴 회의 문자. 마음(心)의 소리(音)가 곧 뜻(意)이라고 해석하기도 함. 의견(意見)이란 마음이 생각하는 것.
3) 말소리(音)를 통해서 표시되는 마음(心)은 뜻이다. 音은 義(의)로 통한다. 이상을 위하는 높은 뜻은 志(지)다. 意志(의지)
意
1) 音#(contained) + 心 heart/emotions keep contained in the heart (compare 念) (deep)*thought* *mind* *signification*
2) Intention (心) connected with one's words(音): meaning
3) What the heart(心) says(音) is what one really means to say.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9)-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9) (0) | 2022.05.21 |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8)-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8) (0) | 2022.05.16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6)-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6) (0) | 2022.05.15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5)-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5) (0) | 2022.05.14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4)-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4) (0) | 2022.05.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