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교과서 한자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6)-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6)

by propup77 2022. 5. 15.

책상(冊床) 冊(책 책) 床(상 상)-desk
일어:机 [つくえ 스쿠에] 중어:写字台 [xiězìtái 씨에쯔타이]

책을 읽거나 글씨를 쓰는 데 받치고 쓰는 상 국어 1-1

冊*책 책(冂-5, 4급)
1) 冊자는 아득한 옛날의 책 모습을 고스란히 보존하고 있는 글자이다. 글을 적기 위하여 대나무 쪽을 얇게 다듬은 것을 簡(간)이라 하고, 거기에다 글을 쓴 다음에 실로 엮어 놓을 것을 冊(books)이라 하였다.
2) 책(冊)은 『설문』에서 임금의 명령이다. 제후가 조정에 나가 임금으로부터 받는 간 책(簡冊)이다. 간찰(簡札)의 길고 짧은 모양을 본뜻 것이다. 가운데(가로획 2개)는 죽간을 뚫어 묶은 끈을 나타낸다라고 합니다. 간 책(簡冊)은 대쪽을 엮어서 만든 책이고, 간찰(簡札)은 죽간(竹簡)과 목찰(木札)로 글씨를 쓰는 대쪽이나 나무패.
3) 옛적에 종이가 없을 때 대조각에 글을 써서 묶은 책을 상형한 것이다. 엮은 대조각을 둥글게 말아서 책으로 사용한다. 대(竹) 조각을 묶은(束)것은 策(책 간)이기 때문에 音은 책이다.

冊 book
1) A depiction of a profusion(다량, 풍성함) of slender(얇은 것), inscribed bamboo slats of irregular length, bound with a cord *book* *counter* (for books/magazines etc.) (&larr bamboo and wood as writing mediums). Note a variant form 册.
2) Symbolizes bamboo books(册), created by bundling together thinly cut plates of bamboo(竹).

만화(漫畵) 漫(넘칠 만) 畵(그림 화) - comic, cartoon
일어:漫画 [まんが 망가] 중어:漫画[Mànhuà 만후아]
넘치게 그림, 사물(事物)의 특징(特徵)을 과장(誇張)하여 간단(簡單)하고 익살스럽게 그리어 인생(人生)이나 사회(社會)를 풍자(諷刺)하는 그림 국어 1-1

漫*멋대로 만(水-14, 3급)
1) 물 수(氵) + [끌 만(曼)]
물(氵)이 기다랗게(曼) 흐르는 것이라, 정처 없이 질펀하게 가는 것이다. 기한 없이 동함은 漫이고, 방향을 잡지 못함은 漠(막)이다.
2) 만(漫)은 퍼질만입니다. 홍수로 물이 흘러넘쳐 끝이 없는 모양입니다. 멀다, 충만하다,넘치다라는 뜻
길게 끌만(曼)은 당겨 길게 하는 것, 즉 늘이는 것. 고문에서는 위아래로 손을 나타내는 글자 사이에 눈[目]이 있어, 눈을 굴리며 뭔가를 보는 것.
마음[心]이 늘어져 게으를만(慢),물[水]이 늘어나 흩어질만(漫)으로 기억

漫 overflow of water spreading
曼#(long/extended) + 水 water unrestrained(절제되지 않은<->restrain:절제된) water covering a vast area *aimless* *wide-ranging* *involuntarily*.

畵*그림 화(田-13, 6급)
1) 畵자는 손으로 붓을 잡고 있는 모습인 聿(붓 율) 자에 田(밭 전)과 凵(입 벌릴 감)이 합쳐진 것이다. 이 경우의 田과 凵은 그림을 그려 놓은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畫는 속자다. 그림(a picture) 그리다(picture)라는 뜻으로 쓰인다.
2) 聿(붓 율)+田+囗, 밭(田)을 사방에 선(囗)으로서 구획한 것인데, 위에 율(聿)을 덧붙여서 붓으로 선을 긋는 것이다. 따라서 그림이란 명사가 되었다. 映畵(영화) 版畵(판화) 畵家(화가)

畵 picture
1) 聿#feature of brush in a hand+田(planting field)+凵(open mouth)->making figures 田, 凵. 田 is relevant with meaning of field in this chracter
2) Originally, 晝# (demarcate(경계를 표시하다 [정하다] in writing) + 聿 implement held upright to carve/draw characters *demarcate*/*mark off* in writing *draw* *paint*

*drawing* *picture* *painting* *stroke* (n.). Also, *plan* and *consider* (&larr written plan).
2) To trace a shape(here: 田) with the writing brush (聿). There used to be a frame around 田,

but in the course of time it lost three of its four
sides. This original form is now used as simplified form, but without the brush.

영화(映畵) 映(비칠 영) 畵(그림 화) - movie
일어:映画[えいが 에이가] 중어:电影[dianying 디엔잉]
그림을 비춤, 실재(實在)의 현실(現實)처럼 느끼게 하는 극예술(劇藝術)의 하나 국어 1-1

映*비칠 영(日-9, 4급)-illuminate
1)日+央, 햇(日) 빛이 가운데(央)에 오니 만물의 그림자가 비치는 것이다. 音은 央의 변은. 햇빛이 비치는 것은 照(조), 그림자가 비침은 映이다. 映畵(영화)
2) 날 일(日) + [가운데 앙(央)영]
'해(日)가 하늘 가운데(央)에서 밝게 비치다' 극장에서 보는 영화(映畫)는 '스크린에 비치는(映) 그림(畫)'


1央#(center)+日 sun/day sun illuminate center, so shadow reflected all over the world (compare 影) *reflection* *projection* (&larr dark spot attending to sunlight striking an object) *shade**shape*. Also, *match/go with* and *be conspicuous* (&larr reflect) *be attractive* (&larr striking).
2) (of an image, etc.) appear because of the reflection of light

畵*그림 화(田-13, 6급)
1) 畵자는 손으로 붓을 잡고 있는 모습인 聿(붓 율) 자에 田(밭 전)과 凵(입 벌릴 감)이 합쳐진 것이다. 이 경우의 田과 凵은 그림을 그려 놓은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畫는 속자다. 그림(a picture) 그리다(picture)라는 뜻으로 쓰인다.
2) 聿(붓 율)+田+囗, 밭(田)을 사방에 선(囗)으로서 구획한 것인데, 위에 율(聿)을 덧붙여서 붓으로 선을 긋는 것이다. 따라서 그림이란 명사가 되었다. 映畵(영화) 版畵(판화) 畵家(화가)

畵 picture
1) 聿#feature of brush in a hand+田(planting field)+凵(open mouth)->making figures 田, 凵. 田 is relevant with meaning of field in this chracter
2) Originally, 晝# (demarcate(경계를 표시하다 [정하다] in writing) + 聿 implement held upright to carve/draw characters *demarcate*/*mark off* in writing *draw* *paint* *drawing*

*picture* *painting* *stroke* (n.). Also, *plan* and *consider* (&larr written plan).
2) To trace a shape(here: 田) with the writing brush (聿). There used to be a frame around 田, but in the course of time it lost three of its four sides.

자신(自信) 自(스스로 자) 信(믿을 신)
일어:自信 [じしん 지심] 중어:自信 [zìxìn 쯔신]
스스로 믿음, 자기(自己)의 능력(能力)이나 가치(價値)를 확신(確信)함 국어 1-1

自*스스로 자(自-6, 7급)
1)自자는 코(a nose) 모양을 본뜬 것 코가 왜 '자기 자신'을 일컫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음. 그중 하나는 사람의 중심은 머리이고, 머리에서 가장 중앙에 코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머리나 얼굴을 지칭하는 머리 혈(頁), 머리수(首), 얼굴 면(面) 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공통적으로 자(自)가 들어가는 것이 이런 주장을 뒷받침.
2)臭(냄새 취)나 息(숨 쉴 식) 자의 의미 요소로 쓰인 自를 보면 이것이 코를 가리키는 것이었음을 여실히 증명할 수 있다. 자기(oneself) 스스로(personally) 저절로(of itself) ~부터(from) 등의 뜻으로도 쓰인다.

自 oneself
1) A depiction of a nose. Conceptually, the character suggests slender streams of breath passing through the nostrils (compare 四) of a stumpy nose. *Self* is an extended meaning (&larr point toward one's nose to indicate self) *by/for oneself* *originally* *from*.
2) Most important body part of human being is face, a nose locates on center of face we can see 自 commonly in the character of 首(head) and of 面(face) etc...

信*믿을 신(人-9, 6급)
1) 信자는 성실하다(truthful)는 뜻을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 사람 인(人)과 말씀 언(言)이 조합되어 있다. 성실한 사람은 믿을 수 있기 때문인지 믿다(give credit to)는 뜻도 따로 글자를 만들지 않고 이것으로 나타냈다.
2) 人+言, 사람(亻)의 말(言)을 믿는것이다. 音은 신이니 神(신)을 믿는 것은 신앙(信仰)이다. 사람의 약속을 믿음은 信이고, 배후의 세력을 믿는 것은 恃(시)다. 信用(신용)

信 believe letter
1)人 person + 言# words person speaking sincerely/truthfully *truth* *sincerity* *belief**trust*. *News* is a borrowed meaning.
2) Anything a person(亻) says(言) must be trustworthy. A letter, which is a persons(亻) written word (言) must also mean what it says.

내용(內容) 內(안 내), 容(모양 용)-contents
일어:内容 [ないよう 나이요우] 중어:内容 [nèiróng 네이룡]
안의 모양 사물(事物)의 속내나 실속 국어 1-1


內*안 내(入-4, 7급)
1) 內자는 집 면(宀)의 변형인 冂, 그리고 들 입(入)이 조합된 것이니 (안으로) 들어오다(come inside)가 본뜻이고, 안(inside)을 가리키기도 한다.
2) 口+入, 밖에서 口안으로 들어감이다. 入+冂(冖덮을멱), 덮여(冖) 있는 밖에서 들어간(入) 곳은 안이다. 옛적에는 들어간다는 뜻으로도 썼다. 따라서 안으로 드린다는 뜻도 되어 納(납) 자와 통용한다. 內部(내부) 國內(국내) 內子(내자)
3) 안 내(內)는 일정한 범위[冂] 안에 들어가는 것[入]을 나타냅니다. 자소자는 멀 경(□)으로 교외에 설정한 일정 구역을 나타내기도 함.

内 inner
1) The relevant oracle bone form of this character is a roof + 入# (place inside) place objects *inside/within* a storehouse *home* *put in* *among* *between*.
2) A man(人) goes inside through the entrance(冂).

容*담을 용(宀-10, 5급)
1) 容자는 집 면(宀)과 골짜기 곡(谷)이 조합된 것으로 받아들이다(receive)가 본뜻이다. 집은 사람을 받아들이고, 낮은 골짜기는 모든 물을 받아들이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담다(fill) 관대하다(tolerate) 등으로도 쓰인다.
2) 宀+谷, ①골짜기(谷)같이 넓은 집(宀)은 여러 물건을 수용하는 것이니, 그의 집은 하나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 ②계곡(谷)처럼 텅 빈 집(宀)에 무엇이든 받아 드리는 것이다. 따라서 마음에 받아들이니 용서한다는 뜻에서 얼굴이라는 뜻도 되었다. 容貌(용모) 容器(용기) 容恕(용서) 容納(용납) 容易(용이)

容 contain
1)谷# (cavity) + 宀 roof/building empty building into which voluminous goods are placed *put in* *contents* *volume* *contain* *accept* *appearance* (&larr shape of objects in a container).
2) 谷 (hollow) and 宀(to cover): to contain to shut up << to endure to compose one's demeanour(태도) a mask


선택(選擇) 選(가릴 선) 擇(고를 택)-choice
일어:選択 [せんたく센따쿠] 중어:选择 [xuǎnzé 쒸엔쯔어]
가려 고름 여럿 가운데서 골라 뽑음 국어 1-1

選*가릴 선(辶-16획, 5급)
1) 選자는 (적임자를) 뽑아서 보내다(dispatch send)는 뜻을 위해서 고안된 것이니 길갈 착(辶=辵)이 의미 요소로 쓰였고, 단상 위에 무릎을 꿇고 공손하게 앉아 있는 두 사람을 본뜬 巽(손)도 의미요소로 쓰인 것이다. 후에 뽑다(choose) 가리다(select) 등의 뜻도 이것으로 나타냈다.
2) 巽+辶, 사리에 따라(巽)가(辶)면서 최선을 가리는 것이다. 선(善)을 표준으로 하니 音은 선이다. 눈(目)으로 다행(幸) 한 것을 보고 손(扌)으로 뽑음은 擇(가릴 택)이다. 選擇(선택)
3) 갈 착(辶) + [뽑을 손(巽)선]
제단(共) 위에 제물로 바쳐지기 위해 꿇어앉아 머리를 숙이고 있는 두 명의 사람(巳巳) 모습을 본떠 만든 뽑을 손(巽) 자에, "뽑아서 제단으로 가다"는 의미로 갈 착(辶) 자가 추가된 글자.


1) 巽# (arrange in formation) + 辵 movement ( action indicator) (for emphasis/clarification) arrange prior to making a selection *select* *choose*.
2) single out a proper person and and go to altar(共) for worship(巳巳: depiction of two people who bowing their heads with respect)

擇*고를 택(扌-16획, 4급)
1) 손 수(扌) + [엿볼 역(睪)택] 엿보(睪)고 손(扌)으로 가려내는 것이다. 音은 睪의 변음이다. 내용을 가리는 것은 選(가릴 선)이다. 選擇(선택)
2) 자소자인 엿볼 역(單)에서 눈 목(目)을 알아보기는 어려움. 기울여놓았기 때문에 그물 망(网/罒)처럼 보임. 『설문』에는 역(單), 살펴보다.
가로로 눕힌 목(目)을 따르고, 행(李)[幸의 고자(古字)]을 따르는 회의자.


1) 睪# (pick out) + 手 hand/action indicator *pick out* *select* *choose* *classify*.
2) select with hand(扌) after spying on(睪)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