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교과서 한자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3)-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3)

by propup77 2022. 5. 9.

우주(宇宙) 宇(하늘 우) 宙(하늘 주)

일어: 宇宙 [うちゅう 우쭈] 중어: 宇宙 [yǔzhòu 유쩌우]
세계(世界) 또는 천지(天地) 간(間). 만물(萬物)을 포용(包容)하고 있는 공간 국어 1-1


宇(하늘 우)
집 우(宇) 자는 의부(義符)로 집 면(宀) 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행할 우(于). 어조사 우(于) 자이기도 하지만 갈 우(于), 행할 우(于) 자로도 읽음. 한 글자에 여러 가지 뜻을 가진 한자는 전주(轉注)된 한자.
전주(轉注)-뜻이 바뀌어 여러 가지 뜻이 생김
집 우(宇)의 본뜻은 처마. 집의 뜻을 나타냄. 위와 아래에 사방을 일러 우(宇)라 하고, 옛날과 지금을 주(宙)라 한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에 따르면 우(宇)는 공간이고, 주는(宙)는 시간 개념입니다.
우하(宇下) 우주(宇宙) 옥우(屋宇) 전우(殿宇) 당우(堂宇) 미우(眉宇) 해우(海宇) 우네(宇內)


于# (U-haped) + 宀 roof/building large, curving roof/eaves *the heavens/universe*.

Compare 宙.

집 주(宙)
본뜻은 대들보. 그러나 앞서 우(宇)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간상의 개념을 나타내기도 함.
창덕궁 안에 주합루(宙合植)라는 누각의 주합(宙合)은 상하 고금(上下古今)의 도를 담고 있는, 아니면 천하 정도의 뜻.
宇(집 우)는 처마를, 宙(집 주)는 대들보를 뜻하였는데, 고대 중국인들은 대들보와 처마 사이의 빈 곳으로써 확장 가능한 공간을, 철학자들은 더 나아가 宇를 무한히 늘어나는 공간으로, 宙를 극한을 향해 끝없이 뻗어가는 시간으로 인식하였다.
집 주(宙) 자는 의부(義符)로 집 면(宀), 아래에 성부(聲符)로 말미암을 유(由)가 합쳐짐. 투구 주(冑, 伷), 명주 주(紬), 밝을 주(怞) 자는 모두 말미암을 유(由) 자가 들어 있어서 주로 읽음. 말미암을 유(由) 자는 밭에 곡식 싹이 올라오는 것을 상형(象形)한 글자. 모든 생활이 여기에 말미암는 것, 농사를 지어 소출이 되는 정도가 생활을 말미암게 됨. 우주(宇宙) 주무(宙舞) 주자(宙字) 해주(海宙) 성주(星宙)


由 (pass/run through) + 宀 roof/building *the heavens*, likened to an arch passing through the sky (compare 宇) *space* *the air*.
Ancient Chinese indcated 宇 as eaves and 宙 as ridgepole,

furthermore philosopher perceived 宇 as the space which is expanded limitless and 宙 as time which is Stretching endlessly towards the extreme.


비행사(飛行士) 飛(날 비) 行(다닐 행) 士(선비 사)

일어: 飛行士 [ひこうし 히코우 시] 중국어: 飛行士飞行士 [fēixíng shì 페이싱 슈]
날아다니는 선비, 일정(一定)한 자격(資格)을 가지고 면허(免許)를 받아 항공기(航空機)를 조정(調整)하는 사람 국어 1-1

飛(날 비)
⺄ 자에 점을 두 개 찍어서 날개를 그렸습니다. 이 날개에 되 승(升) 자를 더해 위로 올라가는 모양을 더 함. 되 승(升) 자는 부피를 재는 도량형 기구인 되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 여기서는 위로 올라가는 표시. 발 비(飛) 자는 새가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그림으로 보아 상형(象形) 글자로 볼 수도 있고, 날개를 그리고 올라간다는 표시를 해서 만든 회의(會意) 글자로 볼 수도 있음. 비행(飛行) 비상(飛翔) 비상(飛霜) 혼비백산(魂飛魄散) 비설(飛雪) 비각(飛閣) 웅비(雄飛), (부수 명칭=발비 몸)

飛 fly
A depiction of the curved wings of a bird spread right and left in flight (compare 非)

*fly* *speedy*.

行*행할 행(行-6, 6급)-(부수 명칭=다닐 행 안)
갑골 문자에서 네거리 모양을 본뜬 것이었음을 볼 수 있다. 네거리(crossroads)가 본뜻인데, 길거리(road), 다니다(go to and from) 하다(do)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설문』에서는 행(行)은 가는 것[步趨]이다. 조금 걸을 척여)에서 뜻을 취하고, 외발로 걸을 촉(于)에서 뜻을 취한다(회의)라고 하고『단주』에서는 보(步)는 가는 것이다.
주(趨)는 달리는 것이다. 둘 중 하나는 느리고 하나는 빠른 것으로 모두 가는 것을 말하며, 아울러 말한 것이다라고 하는데 네거리를 본떠 만든 상형자라는 것이 정설.
행동(行動) 행차(行次) 강행(强行) 진행(進行) 은행(銀行)

行 go
A depiction of straight and crossing roads extending into the distance *go* *movement**procession* *road* *line* (of people) *conduct* *do* *perform* (&larr carry out an action).

士*선비 사(士-3, 5급)
『설문』에서는 사(士)는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숫자는 일 (ᅳ)에서 시작해 십 (十)에서 마친다. 일 (ᅳ)과 십 (十)을 따르는 회의 자이다. 많은 사물[十]을 연역,귀납해 하나의 간단한 도리를 추론해낼 수 있는 사람이 사(士)이다라고 풀이함. 부수로 쓰일 때에는 뭔가를 지향하는 뜻이 있다든지 이름을 드러내는 것과 관련이 있음. 덕행과 학식을 갖춘 선비(a learned man)를 지칭하는 말로 많이 쓰인다. 一(일)과 十(십)이 합쳐진 것 같지만 금문에 보이는 최초의 자형은 도끼 모양으로 되어있다.

士 scholar
A decorational ax(士) shows authority. Only a scholar has enough knowledge to gain authority that comes with a title.
This character differs from earth (土) in that here the first (upper) horizontal stroke is longer than the second (lower) one.


여행(旅行) 旅(여행할 여) 行(다닐 행)

일어: 旅行 [りょこう 료꼬우] 중어:旅行 [lǚxíng 류씨잉]
여행하여 다님, 자기(自己)의 거주지(居住地)를 떠나 객지(客地)에 나다니는 일 국어 1-1

旅*나그네 려(方-10, 6급)
旅자는 (500명의) 군사(soldier)를 나타내기 위해 하나의 깃발 아래 모인 여러 병사들의 모습을 그린 것이었다. 그들 중에는 먼길을 떠나온 사람들이 많았기에 나그네(traveler)란 뜻으로 확대 사용되기도 함.
본 자는 언(紙) 아래에, 사람이 많은 것을 나타내는 좇을 종(从)이 있는 모양. 깃발[狀] 아래 많은 사람[从]이 모여 있는 군대 조직으로 옛날에는 500명을 려(旅)라 함. 지금 군대의 편제상 여단(旅團)이 있는데, 분대, 소대, 중대, 대대, 연대, 여단, 사단 순으로 규모가 커짐, 현재의 여단은 500명보다 많은 인원이 편제됨. 군대는 행군으로 이동도 하고 전투도 함으로 밖에 나가다, 여행을 하다라는 뜻도 나타냄.

旅 travel
The relevant oracle bone form of this character shows a flag attached to a pole

(= pennant/banner now styled styled 方 + 𠂉) + 从# a variant form of 從 (run with others in a line) run/march in formation, accompanied by a military standard *trip* *travel* *journey* (&larr large group of people on the move).
In ancient time they called 500 soldiers as 旅(brigade-旅團, 여단). The brigade are looking for their banner as they are about to travel (and want to fly it over their new barracks).
#barracks(막사, 병영)

行 *행할 행(行-6, 6급)-회의자로서의 풀이
彳(갈 척)+亍(갈촉), 左右발로 번갈아 가는 것이다. 걷는 것은 행동하는 것이고, 또 긴 줄을 뜻할 때는 音(음)이 항이다. 行動(행동) 行實(행실) 旅行(여행) 行書(행서) 五行(오행) 行列(행렬)/ 行列(항렬) 네거리에서 길을 뜻하게 되고, 인신 되어 형제자매의 순서를 가리키며, 직업을 나타내기도 함

行 long line, travel
To go, travel, act, practice, a march, road, way, manner', 'Road' [Zuo] 'to continue, succeed'
The pronounciation differed from its meaning, when it uses as a long line, that sounds [hang(항)], [hang] indicates the order of brothers and sisters-Generation name(行列-항렬).

신비(神秘) 神(귀신 신) 秘(신기할 비) 일어: 神秘 [しんぴ 신삐] 중어:神秘 [shénmì 쉔미]
보통(普通) 이론(理論)과 인식(認識)을 초월(超越) 한 일 국어 1-1


神*귀신 신(示-10, 6급)
신(神)은 천신(天神)으로 만사와 만물을 만들어내는 [申] 신. 번개를 나타내는 신(申) 자에 뜻을 나타내는 편방 시(示)를 더한 것. 신(申)+비 우(雨)= 우레 뢰(雷),신(申)과 보일 시(示)를 더한 귀신 신(神)이 실은 한 글자인데, 후에 편방을 더해 뜻이 분화된 것으로 보임. 신이 나 신선을 나타내고, 사람이 죽은 뒤의 영혼을 뜻하기도 함.

神 God supernatural spirit
show 礻=示 [shì] + lightning/explain 申[shēn]
This character means god, supernatural because lightning(申) was considered a sign from the gods(礻) and was feared. It also means spirit because gods are invisible and so are souls.

秘(*숨길 비(禾-10, 4급)
1) 곡식(禾)에는 반드시(必) 생명의 비밀이 있다.
2)秘의 正字(정:자)인 祕는 제사 시(示)가 의미 요소. 必(반드시 필)이 발음 요소인 것은 泌(분비할 비)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본뜻은 귀신(a ghost)인데, 신비(mystery) 비밀(a secret)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3)보일 시(示)는 기본적으로 귀신이나 신령과 관련된 뜻을 나타 냄. 귀신이나 신령의 일이니 뭔가 드러나지 않은 것, 숨겨진 것을 가리킴.
4)의부(義符) 벼 화(禾)+성부(聲符) 반드시 필(必). 반드시 필(必) 자는 마음 심(心) 자에 삐침 별(丿) 자를 더한 글자가 아니라, 창 과(戈) 자를 좌우(左右)에서 둘러싼 글자. 생활에는 무기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뜻.
귀신 비(祕), 삼갈 비(毖), 귀신 비(祕) 자들은 반드시 필(必) 자가 들어 있어서 지로 읽음. 밀(祕密) 비사(祕史) 비사(秘事) 비불(祕佛) 비전(祕傳) 비전(祕典) 비책(祕策)


必 (split) + 示 altar/the supernatural *mysterious*/*secret* ritual involving actual/figurative and permanent splitting. 秘, which substitutes 禾 grain/rice for 示, is a variant form that has supplanted 祕. The use of 禾 may owe to connections with harvest rituals.
*supplant=replace(대체하다)

야구(野球) 野(들 야) 球(공 구) 일어:野球 [やきゅう 야큐] 중어:野球 [yěqiú 예치오우]
들에서 하는 공놀이 아홉 사람씩 두 팀이 9회씩 번갈아 가며 공격(攻擊)과 방어(防禦)를 되풀이, 득점(得點)을 다투는 구기 국어 1-1

野*들 야(里-11, 6급)
1)野자는 본래 埜(야)로 쓰다가 약 2000년 전에 지금의 것으로 바뀌었다. 마을 리(里)란 의미 요소+발음 요소인 予(나 여)로 구성된 것이, 수풀 림(林)과 흙 토(土)란 두 의미 요소로 구성된 埜가 들(field)이란 뜻과 잘 연결된다.
2)들 야(野) 마을 리(里)+나 여(予). 들 야(埜) 자는 들 야(野)의 고자(古字)입니다. 들에는 나무가 무성.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들 야(野) 자보다 들에 대한 뜻이 더 실감 나는 글자. 나 여(予) 자는 자기를 방어하는 무기인 창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 들은 내가 먹을 것을 생산하는 곳. 농사를 짓는 곳도 들 야(野)이고, 사냥을 하는 곳도 들 야(野). 여기서 나 여(予)자는 나무를 그린 글자입니다. 야산(野山) 야시(野市) 야합(野合) 야외(野外) 여야(與野) 야당(野黨) 야생(野生) 광야(廣野)
3)야 <野>는 교외(郊外)로 들을 가리킵니다. 도시 지역의 외곽을 교(郊)라 하고, 교(郊)의 밖을 야(野),야(野)의 밖을 림淋)이라 합니다. 교(郊)의 밖을 목(牧), 목(牧)의 밖을 야(野)라고 한다는 설명도 있음. 변경, 벼슬을 하지 않는 것. 질박하다, 조잡하다라는 뜻도 있음

野 field/plain
予#(stretch) + 里 (long strip of land) long stretch of fields *field* *plain* *sphere* *out of power/outside of government* *countrified* *rustic* *rough/crude* *baseball field*.

予(yeo) is part of pronunciation and 里(village) is part of meaning. Korean pronunciation of 野 is [ya 야]=>stretched out of village


球*공 구(玉-11, 6급)
1)球자는 옥 소리(the sound of a jade)를 뜻하기 위해서 구슬 옥(玉)이 의미 요소로 쓰였고 求(구할 구)는 발음 요소다. 옥 모양의 입체 원형, 특히 공(a ball)이나 공 모양의 것을 지칭하는 말로 확대 사용됐다.
2)玉(구슬 옥)+求(구할 구), ①구(求)르는 구슬(玉)처럼 둥근 공이다. ②겉옷(求)처럼 둥근 옥(玉)으로 된 공이다. 입체로 둥근 것은 球(구-sphere), 주위만 둥근 것은 環(환-ring)이고, 평면상 둥근 것은 圓(원-circle)이다. 球技(구기) 地球(지구)
3) 구(球)를 『설문』에서는 옥이 부딪히면 나는 소리로 표현. 『단주』에서는 이 내용이 틀렸다고 지적하고 아름다운 옥이라고 합니다. 아름다운 옥이 본뜻이고, 가차로 피구(皮球) 즉, 가죽공을 가리키게 됨. 안에는 털을 넣고 밖은 가죽을 꿰맨 공인데 국(翰)이라고 했습니다. 축국(職翰)은 바로 그런 공을 차며 하는 놀이. 일정한 구역 안에서 두 편으로 갈라서 한 개의 공으로 상대편을 맞히는 공놀이는 피할 피(避)를
쓰는 피구(避球)입니다.

球 globe
求#(wrap) + 玉 jewel pearl wrapped in an oyster shell *round jewel* *spherical object* *ball* *bulb* (compare 玉).
Jade() marbles or globes were the most popular and easy-to-get(求) jade items in the ancient times.

선수(選手) 選(뽑힐 선) 手(사람 수) 일어: 選手 [せんしゅ 센슈] 중어: 选手 [xuǎnshǒu 셴셔우]
뽑힌 사람 운동(運動)이나 기술(技術)에서 대표(代表)로 뽑힌 사람 국어 1-1

選*가릴 선(辶-16, 6급)
1)選자는 (적임자를) 뽑아서 보내다(dispatch)는 뜻을 위해서 고안된 것이니 길갈 착(辶=辵)이 의미 요소로 쓰였고, 단상 위에 무릎을 꿇고 공손하게 앉아 있는 두 사람을 본뜬 巽(손)도 의미요소로 쓰인 것이다. 후에 뽑다(choose) 가리다(select) 등의 뜻도 이것으로 나타냈다.

2)의부(義符)로 쉬엄쉬엄 갈 착(辵, 辶)+성부(聲符) 유순할 손(巽). 공손할 손(巽) 자는 허리를 굽혀 공손히 인사하는 사람 둘을 그린 그림, 또는 공손할 손(巽)자는 사람의 다리를 묶어 나란히 있게 한 나란히 병(幷) 자를 우뚝할 올(兀) 자로 받쳐 놓아 말 잘 듣는 공손한 사람을 높이 알린 글자. 올무 선(䠣), 갖출 선(僎), 어린양 선(䍻), 서두를 선(襈) 자들은 공손할 손(巽) 자가 들어 있어서 선으로 읽습니다.

選 
巽#(arrange in formation) + 辵 movement ( action indicator) (for emphasis/clarification) arrange prior to making a selection *select* *choose*

손 수(手, 扌, 才)
손의 모양을 간단하게 그린 상형(象形) 글자. 재 방(扌, 才) 변이라고 해서 손 수(手) 자를 간략하게 글자의 변으로 사용하기도 함. 수족(手足) 수벽(手擗) 당수(唐手) 수전증(手顫症)
부수로 쓰여 손의 각 부분 명칭이나 손의 동작과 관련된 내용을 나타냄. 다른 글자의 왼쪽에 올 때에는 모양을 조금 바꿔 '扌로 쓰는데 재방변(才傍邊)이라고 함. 자형이 재주 재(才)와 같아 붙인 이름. 더러 다른 글자의 오른쪽에 가는 경우에는 재주 재(才) 모양을 취하고, 위에 쓰일 때는 볼 간(看) 자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세로 고리로 된 획을 삐침으로 바꿔 씀.



A hand with five outstretched fingers.
A depiction of a *hand* showing the five fingers in a curved, gripping position. Extended meanings include *arm* *paw* *foreleg* *a handle* *helper* *a means* *technique* (in board games) *a move* *a type* *a direction* and *handwriting*.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