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원(所願) 所(바 소)願(원할 원) ones wish or desire
일어: 所願 [しょがん 쇼강] 중어:意愿 [yìyuàn 이위예]
원하는 바 원함, 또는 원하는 바 국어 1-1
所*바 소(戶-8, 7급)
1)所자는 나무를 베는 소리(the sound of cutting a tree)가 본뜻이었으니 도끼 근(斤)이 의미 요소로 쓰였고, 戶(지게 호)는 발음 요소라는 설이 있는데, 음 차이가 큰 편이다. 본뜻보다는 장소(place)나 바를 나타내는데 많이 쓰인다. 순우리말 바는 불특정 대명사, 즉 어떤 것(something)으로 풀이하면 이해가 잘 된다.
2)戶+斤, 설문의 훈은 벌목할 때 나는 소리이다. 音(음)은 戶 [지게/집 호(戶)소]의 변음이다. 도끼날(斤)로써 나무를 쳐서 집(戶)을 짓는 곳이다. 또한 일하는 능동자에 대해서 그곳은 수동적이라 무엇을 하는 바라는 뜻도 된다.
소득(所得), 소속(所屬), 소용(所用) 등은 간단히 얻은 것, 속하는 것, 쓰는 것. 소위(所謂)는 말하는 것, 이르는 것으로 이른바'
所-place, location numerary adjunct
1)戶# door + 斤 ax A place where use a bladed implement to shave wood into the shape of a door. *Place* is a borrowed meaning *partition* *about* *in case* *local* *counter for places*.
2) Chopping (斤) of a door (戶) << a place a spot a building
3) A storage room is a place with a single door(戶) where farming tools such as an ax(斤) are kept.
願*원할 원(頁-19, 5급)
1) 원(願) 자는 의부(義符)로 머리 혈(頁)+성부(聲符)로 근원 원(原), 근원 원(原) 자는 기슭 엄(厂)+샘 천(泉) 강물의 근원인 샘을 표시, 샘 천(泉)은 샘물이 솟아오르는 샘을 표시한 상형(象形) 글자
2) 頁+原, 머리(頁)는 근원(原)이라, 그에서 생각하는 것은 소원이 성취되기를 희망하는 것이다. 구해서 바라보는 것은 望(바랄 망)이다. 所願(소원) 發願(발원)
願 desire, want wish ambition
原 (source) + 頁 head head is source of human being. Eventually, 願 came to be associated with the idea of a notion that circulates persistently in the brain (compare 惱 and 慮), leading to the extended meanings *wish* *desire* *hope* *request* *petition* *application*.
분명(分明) 分(나눌 분), 明(밝을 명) - clearly, plainly, definitely
일어: 分明 [ぶんめい 분메] 중어:分明 [fēnmíng 풴밍]
나누어 밝힘, 틀림없이 국어 1-1
分*나눌 분(刀-4, 5급)
1) 分자는 나누다(divid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八과 刀를 합쳐 놓은 것이다. 이 경우의 八은 8이 아니라 칼[刀]로 나누어 놓은 두 동강의 물체. 분별하다(distinguish) 분수(ones status) 직분(ones duty) 몫( share)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쓰인다.
2) 八(쪼갤팔)+刀(칼도), 칼(刀)로 쪼개(八)서 나누는 것이다. 인간은 누구나 하늘에서 나누어준 天分(천분)과 사회에서 나누어준 職分(직분)이 있다.
일 등을 나누어 맡는 것은 분담(分擔), 분열(分列)은 각각 갈라져서 늘어서는 것. 분열(分裂)은 찢어져 나눔. 분외(分外)는 제 분수 이상의 뜻.
分 divide, fraction, minute, cent
1)八# split right and left + 刀 sword/knife split/*divide* an object, causing it to spread *branch/split off* *separate* *portion* *share* *minute* *counter* (for portions of a whole)*responsibility* (matching one's position) *distinction* *know* *understand* (&larr know and distinguish through division) *turn out/prove to be*.
2) To divide in half(八) with a knife(刀). A minute is a division of time, a point is a division of grades or levels, and fen is the smallest denomination of Chinese currency. (1分 = 1/100元 = 1/10角)
明*밝을 명(日-8, 6급)
1) 明자는 지구에 빛을 보내는 두 물체, 즉 해 [日]와 달[月]을 모아 놓은 것이니, 밝다(bright)는 뜻임은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다. 낮(the daytime) 이승(this world) 신령(a god)의 뜻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囧(창문 경)과 月(월)이 합쳐진 형태의 것이 오랫동안 함께 쓰이다가 획수가 많은 탓에 버림을 받고 말았다.
2)日(해일)+月(달월), 해(日)와 달(月)은 밝은 것이다, 눈이 밝음은 明이고 귀가 밝음은 聰(총)이며 해가 밝음은 晃(황)이고 달이 밝음은 郞(랑)이다. 明白(명백)
3) 창문(囧日)에 달(月)이 비치니 밝다
明 bright next
1)Originally, 月 moon + 囧# (ventilation hole) *bright* moonlight streaming through an *open* window, and manifesting the hidden *brightness* *light*. Extended meanings from the idea of the light of dawn (signaling the end of one day and the start of the next) include *spend/pass* (the night) *be visible* *the next/following* (day/week/year) *begin* *end* and *dawn*.
*Disclose*and *confide(비밀을) 털어놓다* are extended senses of "open" (open up to), as are *clarity* *evident* and *obvious*. *Be conversant with* is via the idea of illumination, here with respect to a particular subject matter.
2)Sun(日), light of the day, and the moon(月), light of the night, are combined to signify brightness. Also signifies wishing for a bright future to come next.
발음(發音) 發(보낼 발) 音(소리 음) -pronounce, pronounciation
일어:発音 [はつおん 하쯔온] 중어:哪 [něi 네이]
소리를 내 보냄, 말의 소리를 냄 국어 1-1
發*일으킬 발(癶-12, 6급)
1) 發자는 등질 발(癶)이 부수이지만 의미 요소는 아니다. 활 궁(弓)은 의미 요소이고, 癹(짓밟을 발)이 발음 요소다. 활을 쏘다(shoot an arrow)가 본뜻인데, 후에 시작하다(start), 일으키다(raise), 떠나다(leave)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2) 발을 상형하는 걸을 발(癶)과 칠 수(殳)를 합치면 발로 짓밟을 발(癹)이 되어, 소리로 사용. 나중에 '피다'는 의미도 생김.
3) 癹(풀을짓밟을발)+弓(활 궁), 音은 癹(짓밟을 발)이다. 癶+弓+殳, 활(弓)을 메고 화살창(殳)을 쏘아서 나가(癶)는 것이다. 속에서 밖으로 피어 나가는 것.
4) 부수외자. 필 발(發)은 화살[弓]을쏘는 것이 본뜻. 형성 자소는 짓밟을 발(登)인데, 황무지에 난 풀 등을 짓밟고 두드려 개간을 하는 것.
발(八)+몽둥이 수(受) 『설문』에서는 발로 밟아 풀을 없애는 것이다. 고문 분석에서는 우거진 풀을 발[癶]로 밟고 손에 창[受] 같은 것을 들고 쳐내는 것으로 추정-황무지를 개척하는 상황
發 release
1) The element# combining 癶 (legs) + 殳 action indicator means "hand holding a weapon."
發 adds 弓 bow arrow splitting from a curved bow in being launched *release*
*start* *appear/issue suddenly* *open/emerge all at once* *spread/extend outward* *expose* (by digging up) *send* *counter for bullets/gunshots*.
2) To shoot (癶) an arrow (殳) with a bow (弓)
3) a man with both feet apart(癶) to shoot a bow(弓) and throw a spear(殳). This character came to mean to send because both arrows and spears travel through the air.
비교(比較) 比(견줄 비)較(견줄 교) -comparison, compare
일어:比較 [ひかく 시까꾸] 중어:比较 [bǐjiào 비찌아오]
견주어 봄, 둘 이상(以上)의 것을 견주어 차이(差異)ㆍ우열(優劣)ㆍ공통점(共通點) 등(等)을 살피는 것 국어 1-1
比*견줄 비(比-4획, 5급)
1) 比자는 친하다(intimate)는 뜻을 위해 고안된 것으로 바짝 뒤따라가는 두 사람을 그린 것이다. 따르다(follow) 돕다(help)는 뜻으로 확대 사용되기도 했지만, 때로는 둘이서 토닥거리거나 겨눌 때도 있기 때문인지 겨루다(compete) 견주다(compare)는 뜻으로도 사용됐다.
2) 비(比)는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는 두 사람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 『설문』에서는 비(比)는 친밀한 것이다. 인(ᄉ) 자 두 개가 서로를 따르는 것이 쫓을 종(从)이다. 종(从) 자를 뒤집어 비 (比)가 된다
3) 人+人, 두사람(人)을 나란히 놓고 견주어 보는 것. 또는 匕+匕, 숟가락(匕) 두 개를 견주어 보는 것을 뜻한다. 音은 匕(비)이다. 比較(비교) 比例(비례)
比
1) The relevant bronzeware inscription form shows two persons, one immediately behind the other, suggesting "line up people" *line up* *objects of a similar kind* *compare* (&larr compare two objects by lining them up) *rate*. For the idea of lining up, see also 竝 and 方.
2) An inverted form of 从: to effect a union, to follow, to cooperate, to plot.
(derived from the above) to draw a parallel between to compare In some characters it represent the feet of an animal.
3) To compare the height or build of two people(匕) facing the same direction.
較*견줄 교(車-13획, 3급)
1) 원래 수레(車)의 양옆 판자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가로 나무의 의미였으나, 수레(車)를 서로 비교(比較)하거나 견준다는 의미가 생김.
2) 교(較)는 수레 차상(車厢)의 양쪽 판자에 달린 구부러진 구리 고리. 수레 안에 서 있을 때 잡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임. 귀 모양으로 생겨서 차이
(車耳)라고 하는데,차이를 나타낼 때 발음은 교가 아니라 각. 수레의 양쪽이라는 데에서 비교하다, 계산하다라는 뜻이 변형되어 나옴.
3) 車(수레거)+交(교차할 교), 차(車)의 위에 교(交) 차 해 있는 막대기, 그것을 잡고 타는 대부(大夫)와 선비와 서인의 등급이 있기 때문에 그들을 비교한다는 뜻이 되었다.
較 compare
1)交# (twist/cross) + 車 vehicle crossing bars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ancient vehicles, which passengers grasped to maintain their balance. *Compare* is a borrowed meaning.
2) in ancient China, they compared cars or carts to judge who was better off.
모양(模樣) 模(모양 모) 樣(모양 양)
일어: 模様 [もよう 모요] 중어:模样(儿) [múyàng(r)무이여, 무이 양]
비교(比較)되는 대상(對象) 다음에 쓰이어 '&sim처럼'의 뜻 국어 1-1
It seems that troubles is brewing in the meeting.은 회의는 난항을 겪고 있는 模樣(모양)이다는 뜻이다
*模 본뜰 모(木-15, 4급)
1) 模자는 의미요소인 나무 목(木)과 발음 요소인 莫(없을 막/저물 모)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는 신기한 나무의 일종을 가리키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었는데, 실제로는 본뜨다(model) 본보기(model) 같은 뜻으로 많이 쓰인다.
2) 木+莫, 안보이는(莫 없을 막) 것을 보이도록 나무(木)로 만든 모형이다. 나무(木)를 직접 쓰지 않고(莫) 본뜬 틀이다. 音은 莫(막)의 본음인 모다. 木변에는 模, 土변에는 型(거푸집형)이 본틀을 대표하는 모형(模型)이고, 水변에는 法, 金변에는 鎔(녹일 용, 거푸집용), 竹변에는 範(법범, 틀범) 등이 기준.
模 model, standard, pattern copy
莫# (concealed) + 木 tree/wood wooden *mold* concealed by clay covering it *copy* *imitation* *shape* *model*.
A mold that made with wood to make invisible thing to be visible.
樣*모양 양(木-15, 4급)
1) 樣자가 원래는 상수리나무(oak tree)를 뜻하기 위한 글자, 나무 목(木)이 의미, 羕(길 양)은 발음. 이것이 모양(appearance) 무늬(pattern)란 뜻으로 활용되자, 본뜻은 橡(상)자를 따로 만들어 나타냈다
2) 木+羊+永(길영), 긴(永) 나무(木)의 모양이다. 일본에서는 이름에 붙여서 경칭으로 쓰니 뜻으로는 사마 音은 상이다. 模樣(모양) 樣態(양태)
3) 무 목(木)+물결치는 모양 양(瀁의 획 생략) 물결모양(瀁)으로 나무(木)에 생기는 무늬모양
樣
1) The right-hand element# is as per 永 (water stretching far into the distance) + 羊 (abundant) waterway delivering abundant supplies. In 樣, which adds 木 tree/wood, this element suggests a tree (a horse-chestnut or oak) that supplies abundant nuts. 橡 also referred to this tree, and 樣 came to borrow, then extend upon, the "shape/image" meanings of the 象 element of 橡 *manner**condition* *model* *pattern* *fashion* *method*. *Mr./Mrs./Miss/Ms.* is a borrowed usage, deriving from the old Japanese term そおも さま, meaning "over there."
2) appearance shape, style, sth. that serves as a standard, kind category
학예회(學藝會) 學(배울학)藝(재주 술)會(모일 회) school arts festival
일어:学芸会 [がくげいかい·え 가꾸계까이] 중어:学艺-会 [xuéyì 쉐이-훼]
재주를 배우는 모임, 학교(學校)에서 예능(藝能) 발표(發表)나 학예품(學藝品)을 진열(陳列)하여 일반(一般) 사람에게 구경시키는 모임 국어 1-1
學*배울 학(子-16, 8급)
1) 學자가 원래는 아이 자(子)가 없었다. 새끼를 꼬아 지붕을 얽는 모습을 그린 것이라 한다. 후에 아이들도 그 일을 배워야 했기에 子가 첨가되었다. 배우다(learn)가 본뜻이고, 배움(learning) 앎(knowledge)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2) 배울 학<學)은 두 손[臼]으로 산가지[爻]를 놓으며 계산을 배우는 모양입니다. 여기에 손[又]에 막대기[ 卜]를 든 것을 나타내는 칠 복(支)을 더한 것이 가르칠 교(敎)입니다. 그러니 교(敦)는 학습 현장에서 감독을 하는 것으로 학(學)과 기원이 같습니다. 자소자는 점괘 효(爻)입니다. 역(易)의 괘(卦)를 나타내는 가로획
3) 아이(子)가 양손으로 산가지(爻)를 움키(臼)고 배우는 것이다. 爻+臼(양손)+冖+子, 아직은 덮어(冖) 진 환경에서 마음이 어린아이(子)가 두 손(臼)을 들어서 좋은 본을 받아(爻) 드림이니, 즉 가르침을 배우는 것이다. 學問(학문) 學校(학교) 學者(학자)
學 learning
1)𦥯# is 爻 (obtain knowledge) + an element combining a pair of hands and 冖 a cover ( covered building) covered place of instruction where another is stimulated to obtain knowledge (compare 校). 學 adds 子 child place where an instructor stimulates pupils to acquire knowledge (compare 敎) *school* *study* *learn*.
2) The upper part of The traditional character(學) is 学, with three dots(⺍), a pair of hands(⺽) and a knot(㐅). The boy(子) learns from watching men cover a roof(冖) with bundles(㐅) of hay using their hands(⺽).
藝*재주 예(艹-19 4급)
1) 풀 초(艹) + [심을 예(埶)] + 이를 운(云)
埶(심을 예)는 심는 것인데, 또 艹두를 붙이고 또 云자를 받쳐서, 심는 뜻 외에 재주라는 뜻도 되었다. 藝術(예술)
2) 심을 예(埶)자는 땅(土) 위에 나무(圥)를 심는 사람(丸)의 모습. 나중에 풀도 심는다는 의미에서 풀 초(艹) 자가 추가되고, 꿇어앉아 있는 사람의 다리가 운(云) 자로 변했습니다. 나무를 심는 사람이 재주가 있다는 의미로 재주라는 뜻도 있음.
3) 예(藝)자는 풀 초(艸, 艹)+육(坴)+알 환(丸)+운(云). 여기서 풀 초(艸, 艹)는 예술에 사용하는 여러 가지 재료를 뜻하고, 언덕 육(坴) 자는 흙으로 무엇을 만든다는 뜻으로 조형 예술의 재료를 말하고, 알 환(丸) 자는 공교하게 만든다는 예술성을 말하고, 이를 운(云) 자는 언어 예술을 뜻합니다. 재주 예(藝) 자는 회의(會意) 자. 예술(藝術) 예능(藝能) 기예(技藝) 예인(藝人) 예체능(藝體能) 무예(武藝) 예문(藝文)
藝 skill, art
蓺 cultivate + 云 (rise) *cultivate*/raise plants *skill* *art* *accomplishment* (&larrcultivation in a figurative sense). 藝 was devised to emphasize the "cultivate" meaning originally borne(bear:견디다) but largely lost by 蓺, but 藝 too came to convey primarily its figurative, associated meanings.
會*모일 회(曰-13, 6급)
1) 亼(모일집)+曾(더할증)의 생략자, 모임이 더하는 것. 또한 曾은 囱(창문 창)+曰(말할 왈)이므로 사람들이 모여(亼)서 마음의 창(囱)을 열고 말하는(曰) 것이다. 따라서 모이면 서로 가르치(誨) 게 되니 音은 회다. 의사교환을 위한 모임은 會고, 나무(木)에 새(隹)가 모이는 것 같은 모임은 集(집)이다. 會議(회의) 集會(집회) 機會(기회) 會計(회계)
2) 會자의 제3획까지는 그릇의 뚜껑을, 가운데 부분은 그릇에 담긴 물건을, 日은 그릇 모양을 본뜬 것이었는데, 모양이 크게 달라졌다. 즉, 그릇에 뚜껑이 합쳐진 것으로써 합치다(join together)는 뜻을 나타냈다. 후에 모으다(combine), 모이다(come together)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3) 지붕(人)아래에 문이 달려 있는 창고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창고에는 모든 것이 '모여 있다'는 의미.
會 gathering
1) Words spoken (曰) at the door (𡆧) when people meet (亼): greeting << meeting reunion
2) The relevant seal inscription form is a variant form of 亼# (assemble, to gather together) + 曾 (pile mass) mass gathering that reduces/eliminates space *meet* *assemble* (conduct an) *interview*.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7)-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7) (0) | 2022.05.15 |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6)-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6) (0) | 2022.05.15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4)-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4) (0) | 2022.05.14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3)-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3) (0) | 2022.05.09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2)-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2) (0) | 2022.05.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