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교과서 한자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8)-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8)

by propup77 2022. 5. 16.

사용(使用) 使(하여금 사) 用(쓸용)
일어:使用 [しよう시요우] 중어:使用 [shǐy&ograveng 쉬에융]
쓰게 함, 물건(物件)을 씀 국어 1-1

 


使*부릴 사(人-8획, 6급) a use making use of
1) 使(사)․事(사)․吏(리), 이 세 글자가 갑골문 시기(14c -11c BC)에는 모두 같은 글자였으며, 붓을 들고 하는 일, 즉 사무(clerical work)와 관련이 깊다. 후에 使자는 주로 부리다(employ) 심부름하다(go on an errand) 하여금(let) 등의 뜻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리 독립하였다.
2) 人+丈+口, 어른(丈)의 말씀(口)으로 사람(人)을 하여금 시키는 것이다. 音은 吏의 변음이고 事(일사)와 통한다. 하여금 하는 말은 令(령)이고, 하여금 하는 일은 使다. 使役(사역) 使臣(사신) 使節(사절) 設使(설사)
3) 사(使)의 본뜻은 수렵 도구를 손에 들고 짐승을 잡음. 아전 리(吏)와 근원이 같은데 나중에 사람인(人) 변이 붙어 일을 하다, 시키다라는 뜻으로 확대되었음. 맡겨진 임무는 사명(使命)이고, 임무를 띠고 외국에 나가는 신하는 사신(使臣).

使 cause, send on a mission, order envoy, messenger, ambassador
1) A government official(吏) can use his subordinate(亻) and make him do as he bids.
2)吏# official (n.) + 人 person *messenger*/*envoy* dispatched on an *errand* or *mission* *servant* *work for* (another) *use* (&larr make use of a functionary) *make/force to do*.

用*쓸 용(用-5, 6급)
1) 用자는 나무로 만든 통 모양을 본뜬 것으로 통(a barrel)이 본래 의미인데, 쓰다(use)는 의미로 확대 사용되는 예가 많아지짐, 나무통은 桶(통)자를 따로 만들어 나타냄.
2) 나무로 만든 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통이 집에서 많이 쓰인다고 해서 '쓰다'는 의미가 생겼습니다.
3) 점 복(卜)과 점을 치는 데에 쓰는 골판[ㅂ]을 나타내는 것으로 골판에 이미 점을 칠 수 있는 징조가 나와 있기 때문에 그 징조에 따라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도 함.
4) 물건을 담아 두는 데 사용하는 바구니 같은 도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 그 기(其) 자가 늘 사용하는 키를 그려서 그것이라는 글자를 만들었듯이 곡식도 담고 수확한 과일도 담고 채소도 담는 그릇을 그려서 쓸 용(用) 자로 사용. 용도(用度) 용도(用道) 사용(使用) 사용(社用) 사용(私用)


1) Depiction of bucket. painting the bucket which can contain fruit and vegetable, then the meaning extended to "usage", "use"
2) The relevant oracle bone form of this character depicts a stick being run through a rectangular board, piercing a hole *use* *action* *have a need* *go to the toilet* (&larr have a need to relieve oneself).
3) A bronze tripod for offerings to the manes: use usage &lt&lt aptitude efficacy utility #manes(조상의 영혼)

활동(活動) 活(살 활) 動(움직일 동)- move, behave, be active
일어:活動 [かつどう가쯔도우] 중어:活动 [hu&oacute‧d&ograveng 후워동]
기운(氣運) 차게 움직임 국어 1-1

 


*살 활(水-9, 7급)-alive
1) 活자는 물이 흐르는 소리(the sound of stream)를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니 물 수(氵)가 의미 요소로 쓰였고, 舌(혀 설)이 발음요소였음은 姡(교활할 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물이 흐르는 소리에서 생명감을 느꼈는지, 생동(liveliness) 활발(lively) 활동(activity) 같은 의미로 확대 사용됐다.
2) (설문)氵+𠯑(氏口입막을 괄), 音은 𠯑()의 변음이다. 氵+舌, 물(氵)과 혀(舌)처럼 시간적으로 흐르고 공간적으로 움직이는 것은 살아 있음이다. 무생물에는 시간이 없고 움직이지 못한다. 살아서 움직인다는 뜻이다. 生活(생활) 活用(활용)

活 live, alive, living
1) Alive means that streaming like water(氵) and moving in sapce like tongue(舌). Inanimate object(무생물) doesn't have time and cannot move
2) 舌# (chisel-like implement in motion) + 水 water break a container with a chisel-like implement, creating an active flow of the liquid contents *activity* *life*.
3) When a persons tongue(舌) is moist with water(氵), it means one is healthy and alive. Because it means that one can move actively, it also came to mean work.

動*움직일 동(力-11, 7급)- move, act
1) 動자는 힘 력(力)이 의미 요소다. 重(무거울 중)은 원래 童(아이 동)이 변화된 것으로 발음 요소 역할을 하고 있는데, 董(거둘 동)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만들다(make)가 본뜻인데, 행동하다(act) 움직이다(move)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2) 힘 력(力) + [무거울 중(重)동] 무거운(重) 것은 힘(力)이 있어야 움직인다는 의미. 동력(動力)은 움직이는 힘
3) 重+力, 重力의 작용으로서 스스로 움직이니 물건을 움직이는 뜻이 된다. 音은 重의 변음이다. 벌레처럼 움직임은 蠢(꿈틀거릴 준)이다. 動作(동작) 運動(운동)


1)重# (heavy) + 力 power/energy strenuous *work* involving the running through of objects (compare 用 and 同) *movement* *go/put into action*, *shift* *transfer*
2) 動 shows moving of a plow(力) to distribute seeds inside a heavy(重) sack.

공원(公園) 公(공변될 공) 園(동산 원) public park
일어:公園 [こうえん 코우엥] 중어:公园 [gōngyu&aacuten 꽁위엔]
공변된 동산, 여러 사람들의 보건(保健), 휴양, 유락(遊樂)을 위(爲)하여 베풀어 놓은 큰 정원(庭園) 국어 1-1

 


公*여럿 공(八-4, 6급)
1) 公자는 나누다는 뜻인 八(分의 원형)과 사사로운이라는 뜻의 厶(私의 원형)가 합쳐진 것이다. 사적인 것을 나누다, 즉 공평하다(fair)가 본뜻이다. 후에 드러내다(make a matter public) 관청의 일(official affairs) 여러 사람의(public) 등도 이것으로 나타냈다.
2) 八(여덟 팔, 쪼갤 팔)+厶(사사로울사), 사사로운 사유물을 여덟 개로 쪼개어 공동으로 소유하거나 사용하다. 韓非子는 背厶爲公(배 사위 공)이라 했으니 사사(厶)를 등진(八)것은 공정 한 것이다. 公은 여러 사람과 함께(共) 하니 音은 공이다. 국가와 민중을 위하는 전체적인 마음은 公한 것이다. 公正(공정) 公共(공공) 公職(공직)
3) 개인(厶)들이 직접 경작한 벼(禾)는 사(私) 유하고, 나머지 하나는 8(八) 명의 개인(厶)들이 함께 재배하는 곳을 공전(公田 = 八+厶+田)이라 부르고, 여기에서 '공평하다'는 의미도 생김.


1) Originally, 八 split right and left + 口# mouth/hole ( space) *open* space in which (divided groups of) people gather *public* *fair* *official* *governmental*.
2) Division and distribution (八) of private (厶) goods: common
3) In ancient china rice(禾) which is cultivated by each person(厶) would be privately-own(私) and the field which was cultivated by 8(八) persons called public field.

園*동산 원(囗-13, 6급)
1) 園자의 囗는 사방으로 둘러쳐진 담이나 울타리를 뜻하는 의미 요소이며, 袁(옷 길 원)은 발음 요소일 따름이다. 울(a fence)이 본래 의미이며 동산(a garden)을 뜻하기도 한다.
2) 입 구(口) + [옷 길 원(袁)] 囗(에울 위)+袁, 넓은(袁) 땅을 둘러싼(囗) 구역 안에 수목을 심은 것이다. 苑(나라 동산원)으로도 통한다. 동물도 기르는 것은 苑이고, 삼림을 기르는 것은 囿(동산유)다. 庭園(정원) 公園(공원)

園 hill, garden
1)囗 circular enclosure + a variant of 袁# (wrap about/enclose) fields and gardens enclosed by a fence *garden* *villa* *country house*.
2) 園 supports the Bible verse that says in the Garden of Eden, where Adam and Eve resided(囗), God gave them long leather clothes(long clothes 袁 [yu&aacuten]) to wear.- Genesis 3: 21

식목일(植木日) 植(심을 식) 木(나무 목)日(날 일)
일어:植樹祭 [しょくじゅさい 쇼꾸주싸이] 중어:植树节 [Zh&iacutesh&ugraveji&eacute 지 슈지에-3월 12일]
나무를 심는 날 나무를 아껴 가꾸고 많이 심기를 권장(勸奬)할 목적(目的)으로 제정(制定)된 날 국어 1-1

植*심을 식(木-12, 7급)
1) 植자는 나무 목(木)이 의미 요소로 쓰였고, 直(곧을 직)이 발음 요소임은 殖(번성할 식)도 마찬가지다. (대문 빗장의 세로) 막대(wood bolt)가 본뜻인데 (나무를) 심다(plant trees)는 뜻으로 더 많이 쓰인다.
2) 木+直, 나무(木)는 반드시 바르(直) 게만 심는 것이다. 나무는 기울면 잘 자라지 않기 때문이다. 音은 直의 변음이다. 종자를 심는 것은 種(종)이다. 植木(식목)
3) 대문을 밖에서 잠글 때 쓰는 곧은 [直] 나무[木]입니다 [戶植(호식)]

 


植 plant grow
1) 直# straight + 木 tree/wood set saplings/trees straight upright *set upright* *plant*
2) Planting trees(木) upright(直) so they grow well.

日*날 일(日-4, 8급)
日자는 해(the sun)를 나타내기 위해서 둥근 원형 안에 점을 하나 찍어 놓은 모양(.)이었다. 후에 쓰기 편리함을 위하여 네모꼴로 바뀌었고, 그 안의 점도 一로 변모됐다. 후에 낮(daytime) 하루(one day)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A depiction of the *sun* *day* (&larr appearance of the sun ushering in a new day). As with 熱, the heat of the sun was understood in terms of softening objects and/or reducing them in size.

 


중요(重要) 重(귀중할 중) 要(중요할 요)- important
일어:重要 [じゅうよう주요] 중어:重要 [zh&ogravengy&agraveo 쭝야오]
귀중하고 중요함, 매우 귀중(貴重)하고 소중(所重)함 국어 1-1

重*무거울 중(里-9획, 7급)
1) 重자가 원래는 땅 위에 중후한 자세로 우뚝 서 있는 사람의 모습을 그린 壬(임/정)이 의미 요소이고, 발음 요소인 東(동)이 결합된 것이었다. 두껍다(thick)가 본뜻인데, 무겁다(heavy)는 뜻일 때에는 장음인 [중:]으로 읽고, 겹치다(overlap)는 뜻일 때에는 단음인 [중]으로 읽는다.
2) 무거울 중(重) 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사람 인(亻) 자와 함께 동녘 동(東) 자가 들어 있음. 동녘 동(東) 자는 아래 위를 묶은 자루의 상형으로 사람이 무거운 짐을 지게 하는 데에서 "무겁다"라는 의미가 유래. 동녘 동(東)자는 소리로의 역할도 함.
3) 壬(땅에서 꿰져 나올 정)+東(동녘 동). 음은 東(동)의 변음이다. 두텁다의 뜻에서 무겁다의 뜻으로 바뀌었다. 土(흙토)+臿(삽 삽), 땅 흙(土)에서 삽(臿)으로 뜨면 무거운것인데 그것은 반드시 거듭 뜨게 된다. 重裝備(중장비) 重刑(중형) 重量(중량) 二重(이중)


1) The relevant seal inscription form is 東# (run through) + a person standing on the ground the *weight* of a person thrusting down heavily on the earth, as though to run through it *heavy* *pile up* *be piled upon*. Extended meanings include *fold*, *ply*, *occur simultaneously*, *do repeatedly* and *place weight on/attach importance to* *value highly* *importance* *important*. Also, *depressing* and *serious* (&larr heaviness/weightiness).
2) person 千人 + sack/east 里東东 [dōng] Signifies a person(人) carrying a heavy sack(东) on his back.

要*요긴할 요(襾-9, 6급)
1) 要자는 서 있는 여자(女)의 허리춤에 두 손이 얹어 있는 것(襾․덮을 아)이 변화된 것으로, 허리(the waist)가 본뜻이다. 후에 중요하다(essential) 요구하다(require) 등으로도 쓰이자, 본뜻은 腰(허리 요) 자를 따로 만들어 나타냈다.
2) 상형문자를 보면 두 손 허리에 손을 올리고 있는 모습으로 덮을 아(襾) 자나 여자 녀(女) 자와는 상관없는 글자. 원래의 의미는 허리였으나, 중요하다는 의미로 사용되자, 원래의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고기 육(肉/月) 자가 추가되어 허리 요(腰) 자가 됨.
3) 女+襾(덮을 아), 약한 여자(女)는 덮어(襾)서 보호해 줄 힘을 요구하는 것이다. 音은 女의 변음이다. 결핍되어 있는 것은 필요로 한다. 要求(요구) 需要(수요) 要請(요청) 要領(요령)


1) The relevant bronzeware inscription form is 女 woman + an element combining a pair of hands and a backbone compress a woman's waist, creating curvaceous hips waist hips *main point**vital* (&larr hips as the pivot point of the body) *brief* *sum up* *in short*. Also, *demand*
(&larr demand that which is vital to one) *want* *need* *require*.
2) A woman(女) is standing while supporting her waist with two hands(⻃⺽) derived to mean essential, must or need as the waist is the most critical part in a body.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