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교과서 한자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11)-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11)

by propup77 2022. 5. 28.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11)-초등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 어휘

전화(電話) 電(전기 전) 話(말씀 화) - telephone
일어:電話 [でんわ 덴와] 중어:电话 [di;agravenhu;agrave 디앙후아]
전기를 통해 말함 전화기(電話機)를 이용(利用)하여 서로이야기 함 국어 1-1

 


電*번개 전(雨-13, 7급)
1) (설문)雨+申(田), 雲(구름 운)의 약자와 申의 변자가 합한 것이다. 따라서 구름(雨)이 양전기(ㅌ)를 가진 것과 음전기(;exist)를 가진 것이 부딪힌 중간에 일어나는 광선(丨)은 ;번개;다. 田자가 들어 있으니 音은 ;전;이다. 電氣(전기)
Thunder is a ray (丨) that occurs in the middle of a collision between a positive(ㅌ) force and a negative(;exist) force in the clouds.
*전격(電擊)은 번개같이 급작스럽게 들이치는 것을 뜻하고, 전광(電光)은 번갯불이나 전등의 불빛 -a blitz attack
*전광석화(電光石火)는 번갯불이나 부싯돌의 불이 번쩍거리는 것과 같이 매우 짧은 시간이나 매우 재 빠른 움직임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름-lightning flash2) 電자는 ;번개가 번쩍이다;(a flash of lightning), ;비 우;(비)가 부수이자 의미 요소. 그 밑의 것(电)은 번갯불 모양이 변화. ;번쩍이다;(flash) ;전기;(electricity)의 뜻.
3) 비 우(雨) + 납/펼 신(申) 비(雨)를 뿌리는 구름에서 벼락(申)이 나온다는 의미. 펼 신(申)자는 원래 벼락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4) 비(雨)가 내릴 때 번쩍 빛을 펼치는(申) 것

電話-make a phone call or send a telegram

電 electricity, lightning
1) 申 (bolt of lightning) + 雨 rain/natural phenomena long bolt of *lightning* *electricity*. Like 伸, 電 was devised to replace 申 after the latter underwent its transformation of meanings.
2) the extention (申) towards the earth of a rain (雨) cloud: lightning. The ancients thought that this was caused by the positive electricity (陽氣) rushing to the earth and fighting with the negative electricity (陰氣).
3) Thunder(电) mostly occurring during rain(雨).

 

話*이야기 화(言-13, 7급)
1) 話자는 ;말씀 언;(言)과 ;혀 설;(舌)로 구성되어 있으니, ;말;(speech) ;이야기;(conversation) ;말하다;(say)라는 뜻에 안성맞춤.
2) 말씀 언(言) + 혀 설(舌), 혀(舌)로 말(言)을 하는 데에서 만들어진 글자. 인간은 혀가 없으면 말을 할 수가 없음.
3) 言+舌, 혀(舌)로만 말(言)하는 ;대화;다. 音은 ;화;니 꽃(花)처럼 피어나는 것이다. 체계를 세우는 말은 講(강), 질서가 있는 말은 論(론), 주장하는 말은 說(설)이다. 會話(회화) 對話(대화)

話 written or spoken language
1)舌# tongue + 言 words *speak* harmoniously (compare 和) *tell* *talk together**converse* *discuss* *story* *conversation* *consultation* *news* *topic* *rumor*.
2) Human being has a tongue so that they can speak.

경험(經驗) 經(지날 경) 驗(경험 험) experience
일어:経験 [けいけん케껭], 중어:经验 [jīngy;agraven 찐예]
지난 경험 실제(實際)로 보고 듣고 겪은 일 국어 1-1

經*지날 경(糸-13, 4급)
1) 經자는 ;날줄;(a meridian)이 본뜻, ;실 사;(糸)가 의미 요소, ;베틀에 세로로 줄을 메어 놓은 모습;인 巠(경)은 의미 요소와 발음 요소를 겸함. ;지나다;(pass) ;다스리다;(rule over) ;책;(a volume) 등으로도 쓰임.
2) 실 사(糸) + [물줄기 경(巠)] 날실(날줄)은 베의 세로 방향으로 놓여 있는 실. 베를 짤 때 씨실(씨줄 위(緯) 사이로 들락날락 지나다닌다고 해서 '지나다'라는 뜻도 있고, 또 옛날 책의 글이 날실처럼 세로로 쓰여 있어서 '글'이란 의미도 있음. 물줄기 경(巠) 자는 날줄이 걸려있는 베틀의 상형.▶ 우이독경(牛:소 우 耳:귀 이 讀:읽을 독 經:날실 경) : 소귀에 경 읽기
3) 糸(실사)+巠, 巠을 베틀로 보면 巛은 실 줄이므로 糸변을 붙여서 ;날;을 표시하였다. 상하를 일관해서 불변한 진리가 있는 ;경서;란 뜻이 된다. 經濟(경제) 經綸(경륜) 經度(경도) 經書(경서) 佛經(불경)

經 warp, channels for transport of vital fluids
1)巠(stream) From 巛 (river) the top horizontal line indicates the ground surface# as described in 徑 (extensive) + 糸 thread long, *warp threads* passed through a loom *longitude* *pass through* (of time) *pass/elapse*. *Sutra*, *reason* and *manage* are from the idea of the thread of a discourse, while *experience* is via "pass through." Compare also 營.
2) silk is woven by a drum with a weft(씨줄 緯) moving back and forth between warp yarns(날줄 經) that are spread apart

 

驗*시험할 험(馬-23, 5급)

1) 驗자는 원래 ;말;(horse)의 일종을 나타내기 위해서 고안된 글자, ;말 마;(馬)가 의미. 僉(다 첨)이 발음 險(험할 험). 말을 시험하여 그 힘을 알아보던 일이 많았기 때문인지, ;시험하다;(examine) ;효능;(effect) 등으로 확대 사용.


2) 말 마(馬) + [다 첨(僉)험] 여러(僉) 말(馬)중에서 좋은 것을 찾기 위해서 ;시험;하는 것이다. 音은 僉의 변음이다. 여러(僉) 나무(木)중에서 좋은 것을 구함은 檢(봉함검)이다. 試驗(시험) 效驗(효험)

3) 말 마(馬)+모두 첨(僉) 출전에 앞서 말(馬)을 모두(僉) 살펴보다;gt검사하다

4) 僉# (assemble) + 馬 horse assemble horses for inspection *examine* *test* *effect*.



준비물(準備物) 準(기준 준) 備(갖출 비) 物(물건 물)
일어:準備品[じゅんびひん 준비힌] 중어:準備物[Zhǔnb;egravei w;ugrave 준베이 우]
기준을 갖춘 물건 필요(必要) 한 것을 미리 마련하여 갖춘 물건 국어 1-1

準*평평할 준(水-13, 4급)
1) 準자는 ;평평하다;(flat)는 뜻. ;물;이 가장 평평하기에 ;물 수;(水氵)가 의미 요소로 쓰였고, 隼(새매 준)은 발음 요소. ;고르게 하다;(standardize) ;들어맞다;(be correct)는 뜻으로도 쓰인다.
2) 물 수(氵) + 隼(송골매 준) 물이 평평하다는 의미에서 법도 균형 있고 평평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음. 표준(標準)은 일을 처리할 때 따르는 기준.
3) 물 수(氵=水, 氺)+새매/저로 준(隼) 새(隼)가 날면 수면(氵=水, 氺)과 평행을 이룬다;gt평평하다

準 standard criterion
1) When birds(隼) fly make a parallel with water(氵=水)
2) 隼# (short, squat bird weigh heavily) + 水 water heavy buildup of water (compare 淵) *level* (;larr level surface of a heavy buildup of water) *standard* *semi-* *quasi-* (;larrstandard that is unofficially accurate).
3) When temperatures fall below a given or standard temperature such as freezing(冫) point, migratory birds(隹) prepare to fly away to warmer territories.

備*갖출 비(人-12, 5급)
1) 備자가 원래는 ;사람 인;(亻) 변이 없었다. 이것은 ;갖추다;(store)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화살을 준비해서 통에 꼽아 둔 모양을 본뜬 것. 사람이라면 누구나 준비성이 있어야 하기 때문인지, 후에 ;사람 인;(亻)이 추가됐다.
2) 亻+𤰈, 𤰈는 苟(구)의 약자와 用(용)의 합자인데 亻변을 붙였으니 사람(亻)이 만약(苟) 쓰이(用) 게 될까 해서 ;갖추어 두는; 것. 備考(비고) 防備(방비)
3) 共+用, 함께(共) 쓸(用) 수 있도록 ;갖추는; 것.
4) 사람 인(亻=人)+𤰇화살통 비(鞴의 변형) 기본 의미 사람(人)이 사냥을 하기 전에 화살 통(鞴)에 화살이 충분히 준비한다;gt 갖추다

備 *prepare* *provide* *possess*.
1) The relevant bronzeware inscription form of the right-hand element# is a depiction of arrows spread through a quiver compare 箙. 備 adds 人 person ( human agency) *equip/ready* a soldier *prepare* *provide* *possess*.
2) People(亻) is preparing in case of(苟) using(用) in something precious job -亻+ 𤰈, 𤰈 now obsolete, which was composed of 用 (necessary) and 苟 prepare what is required, not more and not less

物*물건 물(牛-8획, 7급)
1) 物자는 ;소 우;(牛)가 의미 요소이고, 勿(말 물)은 발음 요소다. ;여러 색깔의 털을 가진 소;가 본뜻, ;여러 물건;(things) ;사물;(matters)을 지칭하는 것으로도 쓰임.
2) 소 우(牛=牜)☞소)+ 깃발/말다 물(勿), 깃발(勿) 모양의 소(牛=牜);gt얼룩소
3) 부정한 것이 없는(勿) 깨끗한 소(牛)로 재물에 사용되는 소를 의미했으나 물건이란 의미가 생김. 만물(萬物)은 세상의 모든 물건(物件)을 의미합니다.
4) 소(牛)는 가장 유익한 물건이라 그로서 모든 물건의 대표로 하고 그 소 하나만을 지칭함이 아님(勿)을 의미하니 ;일체 유형한 것; 萬物(만물) 物件(물건)

 


1)勿# (obscure) + 牛 cow obscure (= unremarkable) cow *thing(s)* *object(s)* (;larrthings/objects of unremarkable characteristics).
2) From 牛 (ox) and 勿 as phonetic:a thing a matter (oxen were the most valued things in most households in ancient times)

 

노력 努力 힘쓸 노, 힘 력 힘씀 힘을 씀, 힘을 다함 국어 1-1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7)-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7)

노력(努力) 努(힘쓸 노) 力(힘 력) 일어: 努力 [どりょく 노력끄] 중어:努力 [nǔ//l;igrave 누~리] 힘씀, 힘을 씀, 힘을 다함 국어 1-1 努*힘쓸노(力-7획, 4급) 1) 힘 력(力) + [종 노(奴)], ..

gotchahanja.tistory.com

승부(勝負) 勝(이길 승) 負(질 부) contend for victory, win and lose
일어:勝負 [しょうぶ 쇼브] 중어:胜负 [sh;egravengf;ugrave 셩뿌]
이기고 짐 이김과 짐 국어 1-1

 


勝*이길 승(力-12, 7급)
1) 勝자는 ;맡다;(take charge of)가 본뜻이니 ;힘 력;(力)이 의미 요소다. 朕(나 짐)이 발음 요소. 힘이 있으면 이기기 마련이기에 ;이기다;(win) ;낫다;(superior to)는 뜻에도 확대 적용.
2) 힘 력(力) + [밀어 올릴 등(朕)승] 힘(力)으로 밀어 올려(朕) 승리(勝利)한다는 뜻입니다. 부수가 힘 력(力)자임에 유의.
3) 朕+力, 육체(⺼)에 말려(关) 들어 있는 힘(力)이 ;우수함;이다. 따라서 싸우면 ;이기는; 것이다. 音은 朕의 변음이나 昇(승)으로 통한다. 勝利(승리) ☞昇(오를 승)의 변음이나 昇(승)으로 통한다. 勝利(승리) ☞昇(오를승)
4) 더하다/늘다 승(賸의 획 생략)+힘 력(力) 기본 의미 힘(力)을 더하는(賸) 쪽이 이긴다;gt 이기다


1) 朕 (rise) + 力 power/energy rise above in superiority *be superior to* *be predominant* *excel* *victory* *win* *defeat* (v.)
2) people who increasing(賸) the power(力) will win.

負*질 부(貝-9, 4급)
1) 負자는 ;빚지다;(ow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조개(돈) 패;(貝)와 ;사람 인;(人)을 합쳐 놓은 것. 위 부분은 ;人; 자의 변형. ;짊어지다;(shoulder) ;(승부에) 지다;(be defeated) 등으로도 쓰임.
2) 사람(人=亻)이 재물(貝)을 가지고 나르다;gt 지다(shoulder, bear, carry)
3) 조개 패(貝) + 사람 인(人) 조개 패(貝) 자는 고대 중국에서 화폐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화폐'를 의미. 갚아야 할 돈(貝)이나 부채(負債)가, 사람(人)이 짐을 진 것 같이 부담(負擔)이 되는 데에서 '짐을 진다'는 의미가 생김
4) 人의 변형(굽은 사람)+貝, 사람(人)이 재물(貝)을 짊어지는; 것이다. 지고는 달아나니(赴 갈 부) 音은 ;부;다. 지는 것은 등지고 가니 싸움에서 지는 뜻도 된다. 負債(부채) 負擔(부담)


1) The crouching figure described in 危 + 貝# commodities stoop to *carry goods on one's back* *carry* *bear* (a load) *be burdened* *be shouldered with* (responsibility) *owe**sustain* (an injury) *turn one's back to/upon* *go against* *lose* *be defeated* *succumb*
(to) *flee* (;larr be defeated in battle, then turn to flee compare 北).
2) A man (人 ) who has cowries (貝) or who is carrying a load in order to gain cowries: to toil hard to suffer.

한국(韓國) 韓(한국 한) 國(나라 국)
일어:かんこく [韓国 간꼬꾸], 중어:韩国 [H;aacutengu;oacute 한꾸워]
한국,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약칭(略稱) 국어 1-1

 


韓*나라 이름 한(韋-17, 8급)
1)十+早+韋, 주(周) 나라 때에 제후(諸侯)의 국명(國名)이나 이 땅의 국호(國號)로는 기자(箕子)의 말왕(末王)인 준(準)이 위만(衛滿)에게 쫓겨 남하(南下)해서 마한(馬韓)을 세운 데서 시작(始作)됐다. 따라서 韓은 북방(北方) 위만(衛滿) 조선(朝鮮)을 위배(違背)한 남방(南方)의 나라란 뜻으로 되었다. 韓國(한국)
2) 가죽 위(韋) + [아침 해 빛날 간(倝)한]
3) 마르다 건(乾의 획 생략)+가죽 위(韋) 날씨가 건조하여(乾) 가죽(韋)을 우물 난간에 걸어놓고 말린다;gt 우물 난간


1) An abbreviated form# of 幹 (rise high) + 韋 circumambulate *fence* that rises high in surrounding and blocking off a well. *Korea* and *name of a particular country in ancient China*are borrowed meanings.
2) name of a state during the Zhou dynasty in present- day Henan and Shanxi 2. South Korea, From 韋 (to pull) and 倝(raise) ;gt 𠦝: raise a bucket of wate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