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교과서 한자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9)-Hanja words in mathematics(09)

by propup77 2022. 6. 6.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9) - 초1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

동물원(動物圓), 학교(學校), 청소(淸掃), 이용(利用), 공책(空冊)

동물원(動物圓) zoo, 動(움직일 동), 物(물건 물), 圓(동산 원) 수학1-가 05-080
일어:動物園 [どうぶつえん 도부쯔엔], 중어:动物园 [dòngwùyuán 동우옌]
움직이는 물건의 동산, 여러 가지 산 동물을 각 지방에서 수집ㆍ사육하면서 일반에게 구경시키는 곳


動*움직일 동(力-11, 7급)
1) 動자는 ‘힘 력’(力)이 부수이자 의미요소다. 重(무거울 중)은 원래 童(아이 동)이 변화된 것으로 발음기능, 董(거둘 동)이나 偅(흐리멍텅할 동)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만들다’(make)가 본뜻인데, ‘행동하다’(act), ‘움직이다’(move)는 뜻으로 확대 사용됐다.
2) 重力의 작용으로서 스스로 움직이니 물건을 ‘움직이는’ 뜻이 된다. 音은 重의 변음이다. 벌레처럼 움직임은 蠢(꿈틀거릴준)이다. 動作(동작) 運動(운동)

動 move, happen; movement, action
1)重# (run through) + 力 power/energy → strenuous *work* involving the running through of objects (compare 用 and 同) → *movement* → *go/put into action*, *shift*; *transfer*;
2) moving of a plow(力) to distribute seeds inside a heavy(重) sack.

物*물건 물(牛-8획, 7급)
1) 物자는 ‘소 우’(牛)가 의미, 勿(말 물)은 발음. ‘여러 색깔의 털을 가진 소’가 본뜻이었는데, ‘여러 물건’(things) ‘사물’(matters)을 지칭.
2) 牛+勿, 소(牛)는 가장 유익한 물건이라 그로서 모든 물건의 대표로 하고 그 소 하나만을 지칭함이 아님(勿)을 의미하니 ‘일체 유형한 것’이다. 소(牛)의 깃발(勿)이니 소가 대표하는 ‘동물’이며 또한 ‘만물’을 지칭한다. 萬物(만물) 物件(물건)

物 thing, substance, creature
1)勿# (obscure) + 牛 cow → obscure (= unremarkable) cow → *thing(s)*; *object(s)* (←things/objects of unremarkable characteristics).
2) From 牛 (ox) and 勿 as phonetic:a thing; a matter (oxen were the most valued things in most households in ancient times).

圓*둥글 원(囗-13, 4급)
1) 員자는 둥근 모양의 솥을 본뜬 것으로 ‘둥근 솥’(round pot)이 본래 의미였다. 口는 솥의 손잡이 부분이 잘못 변한 것이고, 후에 ‘둥글다’(round)는 뜻으로 확대 사용됐는데, 이 의미는 다시 圓자를 만들어 나타냈고, 員은 ‘사람 수’(the number of persons)를 나타내는 것으로 차용됐다.
2) 둘러싸일 위(囗) + [수효/사람 원(員)] 본래는 員만이 둥근 것이었으나, 이 글자가 둥근 물건이나 사람을 세는 말로 쓰이니 다시 囗자로 둘러싼 것이다. 囗자는 본래 둥글게(○) 썼던 것이다. 圓形(원형) 圓滿(원만)


1)員# round + 囗 circular enclosure → *round/circular* enclosure → *spherical*; *yen* (← round coin).
2) When “員” became to mean a member or a person in a group, an encirclement “囗” is added to restore the meaning of circle or round.


학교(學校) school, 學(배울 학), 校(가르칠 교)
일어:学校 [がっこう 가꼬], 중어:学校 [xuéxiào 쉬에샤오]
배우고 가르침, 학생을 가르치는 교육 기관 수학1-가 05-080


學*배울 학(子-16, 8급)
1) 學자가 원래 ‘아이 자’(子)가 없는 것이었다. 새끼를 꼬아 지붕을 얽는 모습을 그린 것이라 한다. 후에 아이들도 그 일을 배워야 했기에 ‘子’가 첨가되었다. ‘배우다’(learn)가 본뜻이고, ‘학문’(learning) ‘학설’(theory) ‘지식’(knowledge) 등으로 확대.
2) 臼+爻+子(아들자), 아이(子)가 양손으로 산가지(爻)를 움키(𦥯)고 ‘배우는’ 것이다. 爻+臼(양손)+冖+子, 아직은 덮어(冖)진 환경에서 마음이 어린 아이(子)가 두손(臼)을 들어서 좋은 본을 받아(爻)드림이니, 즉 가르침을 ‘배우는’ 것이다. 音은 효(爻점괘 효)의 변음이다. 學問(학문) 學校(학교) 學者(학자)
3) 아뢰다/고하다 곡(𦥯)(嚳의 획 생략)+아들 자(子) 스승이 고하는 것(嚳)을 아이들(子)이 배우다→배우다

學 learning, knowledge; school
1) 𦥯# is 爻 (obtain knowledge) + an element combining a pair of hands(臼) and 冖 a cover (→ covered building) → covered place of instruction where another is stimulated to obtain knowledge (compare 校). 學 adds 子 child → place where an instructor stimulates pupils to acquire knowledge (compare 敎) → *school* → *study*; *learn*.
2) The upper part of The traditional character(學) is “学,” with three dots(⺍), a pair of hands(⺽13a) and a knot(㐅). The boy(子) learns from watching men cover a roof(冖) with bundles(㐅) of hay using their hands(⺽).

校*학교 교(木-10, 8급)
1) 校자는 ‘나무 목’(木)이 의미, 交(사귈 교)는 발음. 일찍이 ‘학교’(school)라는 뜻으로 쓰였다. 나무 그늘 아래가 학교의 가장 초기 형태. ‘고치다’(correct)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2) 木(나무목)+交(사귈 교), 나무(木)를 걸쳐(交)서 만든 형틀, 악을 선으로 ‘고치는’ 것이므로 ‘교육하는 집’을 뜻한다. 校庭(교정) 將校(장교) 校閱(교열) 校正(교정)
3) 나무 목(木)+ 사귈/만날 교(交) 학생들과 선생이 서로 만나(交) 배우는 나무(木)로 만든 집→학교

校 school; military field officer
1) 交# (twist/cross) + 木 tree/wood → wooden *cross fetters* or *shackles*. Also, *fence* (←construction of crossed boards). *School* is from the idea of a place where an exchange of teaching and learning (by comparison) is performed; the same notion is at work in 學. For shackles/fetters, compare 械, 枷, 絆 and 桎.
2) A school is a structure made with wood(木) where teachers and students get together to exchange(交) knowledge.

청소(淸掃) clean up, 淸(맑을 청), 掃(쓸 소)
일어:掃除 [そうじ소지], 清扫 [qīngsǎo 친사오]
맑게 쓸어냄, 깨끗이 소제함. 수학 1-가 05-080


淸*맑을 청(氵-11, 6급)
1) 물 수(氵) + [푸를 청(靑)] 氵+靑, 푸른(靑) 물(氵)은 ‘맑은(clear)’ 것이다. 맑은 물은 淸이고, 맑히는 것은 淨(깨끗할정), 맑아지는 것은 澄(맑을징), 하늘이 맑은 것은 晴(갤청)이다. 淸淨(청정) 淸潔(청결)
2) 물(氵=水, 氺)이 푸르게(靑) 보이는 것은 물이 맑기 때문이다→맑다
3) 햇빛이 물에 반사 되면 적외선은 물에 흡수 되고, 푸른 빛만 반사됨, 물이 맑을 수록 푸르게 보임.


1) 靑# (clean/pure) + 水 water → *pure* water → *clear*; *clean*; *purify*. *Cool* is a borrowed meaning.
2) When sunlight hits clear water, the infrared rays are absorbed and only the blue lights are reflected. So the clearer the water(氵) the bluer (靑) it is.

掃*쓸 소(扌-11, 4급)
손 수(扌) + [빗자루 추(帚)→소] 손(扌)으로 비(帚)를 잡고 ‘쓰는’ 것. 淸掃(청소)

掃 sweep, eliminate
帚# sweep + 手 hand/action indicator (for emphasis/clarification) → *sweep*.

이용(利用) utilization, use, 利(편리할 이), 用(쓸 용)
일어: 利用 [りよう 리요], 중어:利用 [lìyòng 리용]
편리하게 씀, 쓸모 있게 씀. 수학 1-가 05-080

利*이로울 이(刂-7, 6급)
1) ‘이로울’ 리(利)는 ‘벼’ 화(禾)에 ‘칼’ 도(刀)가 붙어 벼를 베다가 원뜻이고, 거기에서 날카롭다(sharp)는 뜻이 나옴.
2) 원래 뜻은 농기구용 ‘가래’이다. (설문)和의 생략자+刀, 禾(벼화)+刂(刀,칼도), 벼(禾)를 베는 낫(刂)은 ‘예리’해야 한다. 또 베어 온 벼는 먹으니 ‘이익(profit)’이 되는 것이다. 공의(公義)에 대한 사리(私利)이다. 利益(이익) 銳利(예리) 便利(편리)
2) 칼 도(刂) + 벼 화(禾) 다 자란 벼(禾)를 칼(刂)로 베어 수확하니 이익(利益)이 생긴다는 의미.


1) 禾 here an abbreviated form# of 季 season (→ season when soil is plowed) + 刀 sword/knife →sharp-edged plow → *work* (well/skillfully); *sharp*; *convenience*; *profit*; *advantage*; *be able to*; *be effective* (← sharp, effective implement).
2) To cut (刀 > 刂) rice (禾): reaping-hook(낫, reap:거두다, 수확하다); sharp; acute << harvest; gains

用*쓸 용(用-5, 6급)
1) 用자는 나무로 만든 통 모양을 본뜬 것, ‘통’(a barrel)이 본래 의미인데, ‘쓰다’(use)는 의미로 확대 사용되는 예가 많아, ‘통’은 桶(통)자를 만들어 나타냈다.
2) 설문(說文)에는 卜+中으로 점(卜)이 맞치(中)면 그것을 ‘쓰는’ 것이다. 거북의 등이 터진 꼴이다. 거북 등에 점을 쳐서 좋으면 ‘쓴다’. 用度(용도) 使用(사용) 利用(이용)

用 use, employ, apply, operate
1) The relevant oracle bone form of this character depicts a stick being run through a rectangular board, piercing a hole → *use*; *action* → *have a need* → *go to the toilet* (← have a need to relieve oneself).
2) Symbolizes the shape of a traditional basket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containing things or agricultural crops.

공책(空冊) notebook 空(빌 공), 冊(책 책)
일어: 筆記帳 [ひっきちょう 히끼쵸] 중어:本子 [běn‧zi 벤즈]
빈 책,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도록 주로, 흰 종이로 맨 책. 수학 1-가 06-088


空*빌 공(穴-8, 6급)
1) 空자는 원래 ‘구멍’(a hole)을 뜻람. ‘구멍 혈’(穴)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工(장인 공)은 발음요소다. 구멍이란 안이 텅 비어 있는 것이기에 ‘텅 비다’(empty)는 뜻도 있음.
2) 穴(구멍혈)+工, 구멍(穴)으로 만들어진(工) 그 속은 ‘빈 것’이다. 有의 가운데 無한 부분은 空이고, 그것을 형용하는 말은 虛(허)다. 空間(공간) 허공(虛空)
3) 도구를 이용하여 만든(工) 구멍과 땅이 파진 구덩이(穴)는 속이 비어 있다→비다


1)工# (connecting pipe/tube) + 穴 hole → *empty* *space* inside a connecting pipe/tube →*vacant* → *sky*; *the air*; → *absent-minded*; *pretend* (← no substance).
2) Artificial (工) excavation(굴착) (穴): a cavern; an opening; empty

冊*책 책(冂-5, 4급)
1) 冊자는 아득한 옛날의 책 모습을 고스란히 보존하고 있는 글자이다. 글을 적기 위하여 대나무 쪽을 얇게 다듬은 것을 ‘簡’(간)이라 하고, 거기에다 글을 쓴 다음에 실로 엮어 놓을 것을 ‘冊’(books)이라 하였다.
2) 책(冊)은 『설문』에서 “임금의 명령이다. 제후가 조정에 나가 임금으로부터 받는 간책(簡冊) 이다. 간찰(簡札)의 길고 짧은 모양을 본뜻 것이다. 가운데(가로획 2개)는 죽간을 뚫어 묶은 끈을 나타낸다”라고 합니다. 간책(簡冊)은 대쪽을 엮어서 만든 책이고, 간찰(簡札)은 죽간(竹簡)과 목찰(木札)로 글씨를 쓰는 대쪽이나 나무패.
3) 옛적에 종이가 없을 때 대조각에 글을 써서 묶은 ‘책’을 상형한 것이다. 엮은 대조각을 둥글게 말아서 책으로 사용한다. 대(竹)조각을 묶은(束)것은 策(책 간)이기 때문에 音은 ‘책’이다.

冊 book
1) A depiction of a profusion(다량, 풍성함) of slender(얇은 것), inscribed bamboo slats of irregular length, bound with a cord→ *book*; *counter* (for books/magazines etc.) (← bamboo and wood as writing mediums). Note a variant form 册.
2) Symbolizes bamboo books(册), created by bundling together thinly cut plates of bamboo(竹).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