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6) - 초1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
규칙(規則), 동작(動作), 포장지(包裝紙), 도화지(圖畵紙), 도장(圖章)
규칙(規則) rule, law, 規(법 규), 則(법 칙)
일어:規則 [きそく 키소끄], 중어:规则 [guīzé 구이즈어]
법, 여러 사람이 지키기로 작정한 법칙. 수학 1-가 03-040
規*법 규(夫-11, 5급)
1) rules(규칙), regulations(규정), customs(관습), law(법률)의 의미.
2) 지아비 부(夫) + 볼 견(見) 결혼한 성인(夫)이 보는(見) 판단의 기준이 법이라는 데에서 유래한 글자. 부(夫)는 성인이 된 큰 사람(大)의 머리에 비녀(一)를 한 모습 임. 옛날 중국 사람들은, 어른이 되면 머리에 비녀를 하는 풍습이 있었다.
3) 夫 혹은 矢+見(볼견), 夫자나 矢자의 두 다리를 컴퍼스로 보면, 그것을 한바퀴 돌려보면(見) ‘둥근’ 원주가 되니 그것은 ‘모범’이 된다. 規範(규범)
4) 지아비 부(夫)+볼 견(見) 훌륭한 사람(夫)이 사물을 바르게 본다(見)→법
規 rules, regulations, customs, law
1) The relevant seal inscription form of the left-hand element# is an ancient, *compass*-like measuring implement. + 見 see → observe in taking measurements" → *measure*; *standard*; *plan*; *place limits upon*.
2) To look (見) at sth., in order to make it as effective and certain as an arrow (矢 > 夫) hitting its target: rule; to rule; right; straight; as things ought to be.
3) Brilint man(夫) correctly see(見) things.
則*법 칙(刀-9획, 5급)
1) 則(칙)자가 원래는 ‘솥 정’(鼎)과 ‘칼 도’(刀→刂)의 조합. ‘貝+刀’의 구조로 바뀌었다. 쓰기 편리함을 추구한 결과, 뜻과는 상관이 없다. 솥과 칼을 만듦에 있어서는 일정한 합금 원칙이 있었기에 ‘원칙’(a principle) ‘법칙’(a law) ‘규칙’(a rule) 등을 그렇게 나타냈다.
2) 貝+刂, 재물(貝)을 나누(刂)려면 반드시 일정한 ‘원칙’이 필요하다. 그것은 조건부이기 때문에 “… 하면” 하는 접속사도 된다. 法則(법칙) 原則(원칙)
3) 칼 도(刂) + 솥 정(鼎) 법칙 칙(則)자의 상형문자는 솥 정(鼎→貝) 자에 칼 도(刀). 주(周) 나라에서는 법령 같은 것을 솥에다 칼로 글을 새긴 데에서 "법칙"이란 뜻이 유래. 은(殷) 나라에서는 거북 배나 소뼈에 글을 새겨 갑골문자(甲骨文字)라고 부르는 반면, 주(周) 나라에서는 솥이나 종과 같은 청동기와, 비석과 같은 돌에 글을 새겼는데 이러한 글자를 금석문자(金石文字)라고 부름.
則 rule, law, regulation; grades
1) The relevant seal inscription form is an abbreviated form# of 鼎 tripod kettle/cauldron + a knife beside it for cutting food or other objects (compare 析). *Rule* and *law* are abstract, extended meanings (← abide by/*follow* norms closely ← be beside/in line with something) → *at once*; *if so*.
2) Fines (貝) and mutilations(불구: mutilate:못 쓰게 만들다, 훼손하다 (刀 > 刂): law, rule to be observed << consequently
동작(動作) action, turn, hit 動(움직일 동), 作(지을 작)
일어:動作 [どうさ 도우싸], 중어:动作 [dòngzuò 동즈어]
움직임을 지음, 어떤 일을 하기 위해서 몸을 움직이는 일. 수학 1-가 03-040
動*움직일 동(力-11, 7급)
1) 힘 력’(力)이 의미 요소. 重(무거울 중)은 원래 童(아이 동)이 변화된 것으로 발음 요소, 董(거둘 동)의 경우도 마찬가지. ‘만들다’(make)가 본뜻인데, 행동하다’(act) ‘움직이다’(move) 등으로 확대 사용.
2) 힘 력(力)+무겁다/겹치다 중(重) 힘(力)을 가하면 무거운(重) 것도 움직인다→움직이다. * 벌레처럼 움직임은 <蠢(준)>
3) 힘 력(力) + [무거울 중(重)→동] 重力(동력-power, energy)의 작용으로서 스스로 움직이니 물건을 ‘움직이는’ 뜻. 音은 重의 변음이다. 벌레처럼 움직임은 蠢(꿈틀거릴 준)이다. 動作(동작) 運動(운동)
動 move, happen; movement, action
1)重# (run through) + 力 power/energy → strenuous *work* involving the running through of objects (compare 用 and 同) → *movement* → *go/put into action*, *shift*; *transfer*;*change*; *operate* (a machine); *run* (a machine/an enterprise); *developments*; *activities*.
2) 重 Orig. it represents round or flat weights piled up on a kind of support: heavy; weight
3) Some power(力) applying to something heavy(重), it will move
作*지을 작(人-7, 7급)
1) 作자가 본래는 ‘乍’(사/작)로 쓰이다가 후에 ‘손 우’(又)가 덧붙여진 것과 ‘사람 인’(亻)이 첨가된 것, 두 가지 형태로 쓰이다가, 앞의 것은 도태되었다. ‘만들다’(make) ‘일으키다’(set up) 등의 의미로 쓰인다.
2) 亻+乍, 乍는 잠깐이란 뜻에서 비로소란 뜻이 되었으니, 사람(亻)이 비로소 무엇을 ‘만드는’ 것이다. 乍의 변음이다. 끊어서 만듦은 製(제)고, 글로서 만듦은 著(저)다. 工作(공작) 著作(저작) 作業(작업)
3) 사람 인(亻=人)+잠깐/짓다 사(乍) 사람(亻=人)이 물건에 어떤 작위를(乍) 가하다→짓다
作 make; work; compose, write; act, perform
1) 乍# (create a pile): → *work*, in the form of making a pile by chopping/cutting → *make*; *craft*; *change into*; *crop*. Compare 似. Here, 人 has no semantic function, being used simply to create a derivative character conveying meanings that dropped from the original one.
2) The character “乍,” which signifies a person harvesting with tools, is used to mean “sudden”; by adding the subject person(亻) it reinforces the meaning of to do.
포장지(包裝紙) wrapping paper 包(쌀 포), 裝(꾸밀 장), 紙(종이 지)
일어: 包装紙 [うそうし 호소시], 중어:包装纸 [bāozhuāngzhǐ 바오 주앙지]
싸고 꾸미는 종이, 포장에 쓰이는 종이. 수학 1-가 03-044
包*쌀 포(勹-5, 4급)
1) 包자는 누구나 가장 처음에 입었던 옷, 즉 ‘태의’(胎衣, a fetal membrane)를 뜻하기 위하여, 태아[巳]를 감싸고 [勹, 쌀 포] 있는 모양을 본뜬 것이다. 후에 이것이 ‘싸다’(pack) ‘감싸다’(protect) ‘꾸러미’(a package)라는 뜻으로도 쓰이자 본래 뜻은 胞(태보 포) 자를 만들어 나타냈다.
2) 勹+巳, 巳를 태아(胎兒)같은 형태로 보면 그것을 ‘싸고(勹)“ 있는 것이다. 音은 勹이다. 包裝(포장) 包含(포함)
3) 싸다/구부리다 포(勹)+뱀/자식/태아 사(巳) 태아(巳)가 어머니 배속에 싸여있다(勹)>싸다, 포함하다
包
1) A depiction of a placenta/womb that envelops a fetus → *envelop*; *wrap*.
2) Foetus (巳) contained (勹) in the womb: to wrap up; to contain
裝*꾸밀 장(衣-13, 4급)
1) 裝자는 옷을 차려 ‘입는다’(dress up)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옷 의’(衣)가 의미 요소로 쓰였고, 壯(씩씩할 장)은 발음 요소다. 후에 ‘차리다’(equip oneself for) ‘꾸미다’(decorate; make up)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2) 壯+衣, 의(衣)복을 장(壯)하게 ‘꾸미는’ 것이다. 장하게 꾸미는 것은 裝이고, 덧첨으로 꾸미는 것은 飾(꾸밀 식)이다. 裝飾(장식) 假裝(가장) 端裝(단장) 治裝(치장)
3) 옷 의(衣=衤)+씩씩하다/성하다 장(壯) 옷(衣=衤)을 입혀 씩씩하게(壯) 보이게 하다→꾸미다
裝
1) 壯# (tall and neat) + 衣 clothing → sartorial(의류의, 재봉의) neatness(깔끔함) → *dress neatly*; *decorate oneself*; *mode of dress*; *equipment* → *decorate*; *disguise*; *pretend*.
2) A general who performs wartime ceremonies(壮) is wearing an adorned armor(衣). Meaning of to install is derived from the act of decorating such armor.
紙*종이 지(糸-10, 7급)
1) 紙자는 ‘종이’(paper)를 뜻하기 위해 만들어진 글자. 종이가 발견되기 전에는 실로 짠 비단에 썼기에 ‘실 사’(糸)가 의미, 氏(씨)가 발음, 坁(머무를지)도 마찬가지. ‘종이’ 말고 다른 뜻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2) 糸+氏, 실(糸)의 종류(氏)니 즉 섬유질로서 만든 ‘종이’다. 音은 氏의 변음이다. 用紙(용지) 韓紙(한지) 紙匣(지갑)
3) 실/끈 사(糸)+각시/나무뿌리 씨(氏), 가는 실(糸)이나 나무뿌리(氏)같은 섬유질을 가공하여 만든 편편한 물품→종이
紙 paper
1) 氏# (flat) + 糸 thread → combed fibers pulled together and flattened into *paper* → *newspaper*.
2) It is a kind(氏) of thread(糸). Flat object which is prcessed with root(氏) or thread(糸)
도화지(圖畵紙) drawing paper, 圖(그림 도), 畵(그림 화), 紙(종이 지)
일어:画用紙 [がようし 가요시], 중어:图画纸[túhuàzhĭ 투화지]
그림 그리는 종이, 도화를 그리는 종이. 수학1-가 03-044
圖*그림 도(囗-14, 7급)
1) 圖자의 ‘큰 입 구’(口)는 국토의 경계를 나타내고, 그 안에 있는 啚(비)는 ‘행정구획’을 의미하는 鄙(비) 자의 본래 글자이다. ‘(나라의) 지도’(map)가 본뜻인데, ‘그림’(diagram) ‘꾀하다’(planning) ‘강구하다’(devise a plan) 등으로도 쓰인다.
2) (설문)啚+囗(에울위), 啚는 ‘어렵다’는 뜻이고, 囗은 구획이다. 구획 짓기 어려우므로 ‘그림’을 ‘그려서’ 쉽게 하는 것이다.
3) 囗(에울위)+口(입구)+㐭 , 일정한 지면(囗)에 쌀 곳간(㐭)을 짓는 계획을 입(口)으로 말해서 그 ‘도면’을 ‘그리는’ 것이다. 그러니 ‘도모’한다는 뜻에서 또 ‘그림’이란 뜻이 되었다. 자연물의 천연색 그림은 繪(그림회)다. 地圖(지도) 圖畵(도화) 圖謀(도모)
圖 diagram; chart, map, picture
1) 啚 here a variant form of 嗇# (granary) + 囗 circular enclosure → enclosed granary. *Diagram*and *draw* are extended meanings in the sense of enclosing within the boundaries of a writing medium; compare 晝/昼 and 畫/画. Also, *plan* (← diagram) and *attempt* (← plan an attempt).
2) To plan for the grain and the surplus (啚) to be stored in one's granary (口): to plan; to scheme; to calculate
도장(圖章) seal, stamp, 圖(그림 도), 章(글 장) 수학 1-가 03-044
일어:印章 [いんしょう 인쇼] 중어:图章 [túzhāng 투장]
그림과 글 개인ㆍ단체ㆍ관직 등의 이름을 나무ㆍ뼈ㆍ뿔ㆍ수정ㆍ돌ㆍ금 따위에 새겨서 인주를 묻힌 후, 서류에 찍어 증거로 삼는 데 쓰는 물건.
圖*그림 도(囗-14, 7급)
1) 圖자의 ‘큰 입 구’(口)는 국토의 경계를 나타내고, 그 안에 있는 啚(비)는 ‘행정구획’을 의미하는 鄙(비) 자의 본래 글자이다. ‘(나라의) 지도’(map)가 본뜻인데, ‘그림’(diagram) ‘꾀하다’(planning) ‘강구하다’(devise a plan) 등으로도 쓰인다.
2) (설문)啚+囗(에울위), 啚는 ‘어렵다’는 뜻이고, 囗은 구획이다. 구획 짓기 어려우므로 ‘그림’을 ‘그려서’ 쉽게 하는 것이다.
3) 囗(에울위)+口(입구)+㐭 , 일정한 지면(囗)에 쌀 곳간(㐭)을 짓는 계획을 입(口)으로 말해서 그 ‘도면’을 ‘그리는’ 것이다. 그러니 ‘도모’한다는 뜻에서 또 ‘그림’이란 뜻이 되었다. 자연물의 천연색 그림은 繪(그림회)다. 地圖(지도) 圖畵(도화) 圖謀(도모)
圖 diagram; chart, map, picture
1) 啚 here a variant form of 嗇# (granary) + 囗 circular enclosure → enclosed granary. *Diagram*and *draw* are extended meanings in the sense of enclosing within the boundaries of a writing medium; compare 晝/昼 and 畫/画. Also, *plan* (← diagram) and *attempt* (← plan an attempt).
2) To plan for the grain and the surplus (啚) to be stored in one's granary (口): to plan; to scheme; to calculate
章*글 장(立-11, 6급)
1) 章자는 ‘立 + 早’이 아니라 ‘音 + 十’의 구조로 보아야 바른 풀이를 할 수 있다. 음악의 ‘악장’(a movement)이 본래 의미였는데, 시가나 문장의 ‘글월’(a paragraph)이나 ‘법’(a law)을 가리키는 것으로 확대 사용.
2) 音+十, 음악(音)은 十으로서 한 章으로 한다. 그것은 명랑하기 때문에 ‘빛나다’는 뜻이 되며 ‘문장’이라는 뜻도 된다. 憲章(헌장) 文章(문장) 圖章(도장)
3) 소리(音)+열 십(十) 소리(音)나 의미가 열(十) 개가 한 단위가 되어 의미를 이룬다→글
章 composition; chapter, section
1) 辛 needle/cutting tool + an element# combining a crossing mark and a circle (= a particular pattern) → *mark*/tattoo a slave using a sharp instrument (compare 艮 and 妾) → *sentence*; *chapter*; (musical) *movement*; *counter* (for sentences, poems, regulations etc.) (← marking elements) → *rule*; *clear* (← clear rules for marking). The mark/tattoo was conceived of as rising from the skin, and "rise" is the concept most often conveyed by 章 in derivative characters. A seal inscription form alters the components to 音 and 十, these eventually morphing into 立 + 早.
2) From 十 (here: complete) and 音 (music): a complete composition of music; a song
3) Many(十) sounds(音) make a sentence and many sentences make phrases and paragraphs.
4) Ancient characters show that a sharp tool like an awl or a gimlet(목공용 송곳)(辛) was used to draw tattoos, which is how this character came be mean ‘writing.’ A lot of writing makes a sentence or a chapter.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8)-Hanja words in mathematics(08) (0) | 2022.06.06 |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7)-Hanja words in mathematics(07) (0) | 2022.06.06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5)-Hanja words in mathematics(05) (0) | 2022.06.05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4)-Hanja words in mathematics(04) (0) | 2022.06.05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3)-Hanja words in mathematics(03) (0) | 2022.06.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