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교과서 한자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8)-Hanja words in mathematics(08)

by propup77 2022. 6. 6.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8) - 초1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

남자(男子), 여자(女子), 어항(魚缸), 풍선(風船), 비행기(飛行機)

남자男子 male, man, 男(사내 남), 子(사람 자)
일어:男子 [だんし 단시], 중어:男子 [nánzǐ 난쯔]
사내, 남성으로 태어난 사람. 수학 1-가 05-064

男*사내 남(田-7, 7급)
1) 男자는 ‘사내’(a man)란 낱말을 적기 위해, ‘밭 전’(田)과 ‘힘 력’(力)을 합쳐 놓은 것이다. 농경사회에서 남자가 해야 할 몫을 뜻 함.
2) 田+力, 밭(田)에서 노력(力)하여 생산하는 ‘사내’다. 사내는 양성(陽性)인데 방향은 남쪽이니 音은 ‘남’이다. 주나라때 五등의 작위 중에 최하의 작명이다. 男子(남자) 男爵(남작) 男妹(남매)
3) 밭 전(田)+힘 력(力) 논이나 밭(田)을 힘들여(力) 경작하는 사람→사내

男 male, man; son; baron
1) 田# field + 力 power/energy → strong, limber(근육이 유연한) *man* working a field.
2) somebody who exerts(있는 힘껏 노력하다) his strength (力) in the field (田): a man.

여자(女子) woman, female, 女(계집 여), 子(사람 자)
일어:女子 [じょし 조시], 女子 [nǚzǐ 뉴즈]
계집, 여성으로 태어난 사람. 수학1-가 05-064

女*계집 녀(女-3, 8급)
‘계집’ 녀(女)는 손을 얌전히 포개고 꿇어앉아 있는 여인의 모습


The ancient form showed a person with arms hanging down, and crossed over the body

子*접미사 자(子-3, 7급)
1) 子자는 ‘갓난아이’(a baby)란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襁褓(강보)에 싸여 있는 아기의 모습을 본뜬 것. 후에 ‘자식’(children), ‘아들’(son)이란 뜻으로 확대 사용됐다. 1음절 형태소 뒤편에 붙어 2음절화하는 접미사(suffix)로도 많이 쓰인다(예, 卓子, 菓子, 帽子).
2) 어린아이 꼴, 위는 머리 아래는 발인데 양쪽으로 두팔을 벌리고 있는 ‘아이’를 상형. 아이는 ‘아들’이니 부모는 그를 자애(慈愛)하니 音은 ‘자’이다. 또 ‘자네’,‘선생’이란 뜻도 있다. 11월(양력12월) 양기가 동하기 시작하여 인간을 이롭게 하는 것이다. 子息(자식) 甲子(갑자) 公子(공자) 卵子(난자) 種子(종자) 孔子(공자)


1) 子 is the single remaining form of two distinct oracle bone depictions of a small child. One shows a small child, while the second shows a child with rapidly growing hair → *child*; *son*; *boy*;
*person*; *suffix appended to small objects*. Conceptually, a child was understood as one of a figurative pile of offspring. *Rat* (as the first sign of the Chinese zodiac), *north*, and *11 P.M. to 1 A.M.* are borrowed meanings. The Old Chinese readings of the two glyphs featured different vowels.
2) suffix added to nouns or adjectives, suffix added to certain measure words.


어항(魚缸) fishbowl, 魚(물고기 어), 缸(항아리 항) 수학1-가 05-071
일어:漁港 [ぎょこう 교코], 중어:鱼缸 [yúgāng 이유깡]
물고기를 넣는 항아리, 관상용이나 실험용으로 물고기를 기르는 데 쓰는 유리 따위로 모양 있게 만든 항아리

漁*고기잡을 어(水-14, 5급)
1) 물 수(氵) + [물고기 어(魚)], 물(氵)속에 ‘고기(魚)를 잡는’ 것이다. 짐승고기를 잡는 것은 獵(사냥렵)이나 전(田)에 해로운 짐승을 잡는 것은 畋(밭갈전,사냥할전)이다. 漁夫(어부) 漁網(어망)
2) 漁자는 원래, ‘낚싯대에 매달린 물고기 모습’, ‘물고기를 두 손으로 받쳐들고 있는 모양’(魚+廾), ‘물에서 놀고 있는 물고기를 손으로 잡으려는 모양’(水+魚+又) , 지금의 자형(水+魚)은 고기가 물에서 노는 모양이니 ‘고기를 잡다’(fish)는 뜻을 분명하게 나타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漁 to fish; seize; pursue; surname
1) 魚# fish + 水 water → pull fish from water → *fishing*.
2) One can catch fish(魚) in waters(氵) like the river or the ocean.

풍선(風船) balloon, 風(바람 풍), 船(배 선)
일어: 風船 [ふうせん 푸센], 중어:气球 [qìqiú 치치요]
바람에 띄우는 배, 기구. 수학1-가 05-074


風*바람 풍(風-9, 6급)
1) 風자는 凡(범)과 虫(충)으로 구성, 凡(범)은 발음 요소. ‘벌레 충’(虫)이 의미 요소로. 風의 부수는 虫으로 오인하기 십상인데, 虫이아니라 제부수(風)다. 주로 ‘바람’(a wind)을 뜻하는 것으로 쓰이며, ‘기세’(spirit) ‘경치’(a scene) ‘모습’(looks)을 나타내기도 한다.
2) 무릇 범(凡)+벌레 충(虫) 무릇(凡) 휘어져 부는 것이 벌레(虫)가 지나가는 것과 같은 것→바람
3) 바람이 불면 벌레가 생기므로 虫자가 들어 있다. 凡(무릇범)+虫(벌레), 무릇 벌레는 ‘바람’이 불면 움직인다. 音은 凡의 변음이다. 사회의 공기가 유동하는 것도 風이니 風俗(풍속) 風習(풍습) 등이다. 風浪(풍랑) 風霜(풍상) 屛風(병풍) 風俗(풍속) 風景(풍경) 威風(위풍) 風貌(풍모) 中風(중풍)

風 wind, air-dry; winnow, swift as the wind, style
1) A variant form of 鳳 (large bird flapping its wings), later conceived of as the source of *wind*causing various life forms and other objects to flutter → *trend*; *atmosphere*; *taste*; *custom*(← things brought in then carried off by the wind).
2) From an ancient form, with 凡 as phonetic at the top and 虫 (insects) at the bottom. Traditionally explained as: "when the wind blows, insects are born".

船*배 선(舟-11, 5급)
1) 船자는 의미요소(舟․배 주)의 뜻과 완전히 일치하는 희귀한 예다. 오른쪽의 것은 鉛(납 연)의 생략형으로 발음요소로 쓰였다는 설이 있다. 수상 운송 수단인 ‘배’(vessel)를 총칭하는 것으로 널리 쓰인다.
2) (설문)舟+㕣(鉛의 생략자), 音은 鉛의 변음이다. 배 주(舟) + [산속 늪 연(연)→선], 산 속의 늪(㕣)을 다닐수 있는 배(舟)이다. 船舶(선박) 船員(선원) 船艙(선창) 船長(선장) 船室(선실)
3) 배 주(舟)+물 따라갈 연(㕣, 沿의 획 생략) 물길을 따라(沿) 가는 작은 배(舟)→배


1) Abbreviated form# of 沿 (follow/run along a prescribed course) + 舟 boat → *boat* progressing along a prescribed course → *ship*.
2) The Bible states that eight(八) people(口) survived in Noah’s Ark(舟). This character seems to explain that, and means boats and ships of all sizes. - Genesis 7:13

비행기(飛行機) airplane, 飛(날 비), 行(행할 행), 機(기계 기)
일어:飛行機 [ひこうき 시꼬우끼], 중어:飞机 [fēijī 훼이지]
나는 것을 행하는 기계, 공중을 날아다니는 기계. 수학 1-가 05-080


飛*날다 비(飛-9, 4급)
새가 날때 편 날개 모양. 상형자와 지사자가 섞여 있다. 羽+升(昇오를승), 날개(羽)로서 공중에 오르는(升) 것. 날아서 날개를 침은 飜(뒤칠번)이고, 공중을 돌면 翔(빙빙돌아날 상)이다. 飛行(비행) 飛虎(비호)


A depiction of the curved wings(羽) of a bird spread right and left in flight (compare 非) → *fly* → *speedy*.

行*행할 행(行-6, 6급)-(부수명칭=다닐행안)
1) 갑골 문자에서 ‘네거리’ 모양을 본뜸. ‘네거리’(crossroads)가 본뜻, ‘길거리’(road) ‘다니다’(go to and from) ‘하다’(do)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행동(行動) 행차(行次) 강행(强行) 진행(進行) 은행(銀行)
2) 彳(갈척)+亍(갈촉), 左右발로 번갈아 ‘가’는 것이다. 걷는 것은 행동하는 것이고, 또 ‘긴 줄’을 뜻할 때는 音이 ‘항’이다. 行動(행동) 行實(행실) 旅行(여행) 行書(행서) 五行(오행) 行列(행렬)/ 行列(항렬)

行 go
1) A depiction of straight and crossing roads extending into the distance → *go*; *movement*;*procession*; *road* → *line* (of people) → *conduct*; *do*; *perform* (← carry out an action).
2) One step with the left foot (彳), joined to one step with the right (亍): to march

機*틀 기(木-16, 5급)
1) 機자의 본래 글자인 幾는 베틀에 앉아 베를 짜는 사람의 모습. ‘베틀’(hemp-cloth loom)이 본뜻이었는데, 후에 이것이 ‘얼마’(what number) 등의 의미로 활용되는 예가 잦아지자, ‘(나무로 짜여진) 베틀’이란 본뜻을 위해서 ‘나무 목’(木)이 첨가된 機자가 만들어졌고, 동력 장치가 딸린 모든 ‘틀’(machinery)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대 사용.
2) 木(나무목)+幾, 작은 작용(幾)으로서 큰 성과를 나타내는 나무(木)틀은 ‘기계’다. 따라서 쇠로 만든 모든 기계를 통칭한다. 機械(기계) 機微(기미)

機 machine; moment, chance
1) 幾#minute + 木 tree/wood → wooden *device* such as a *loom(베틀, 직기)* in which cogs and other moving parts come into minute contact → *machine* → *opportunity* (← interplay of circumstances that create a new opportunity).
2) Wooden(木) loom can make a big result with small effort(幾)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