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3) - 초등학교 1학년 수학 1 - 가
축하(祝賀), 가족(家族), 남매(男妹), 순서(順序), 사탕(砂糖), 봉지(封紙)
축하(祝賀) celebrate, congratulate 祝(기원할 축), 賀(하례할 하)
일어:祝賀 [しゅくが 슈꾸가], 중어:祝贺 [zhùhè 츄흐어]
기원하고 하례함, 기뻐하고 즐겁다는 뜻으로 인사함 수학 1-가 01-020
祝*빌 축(示-10획, 5급) pray for happiness or blessings
1) 祝자는 신주[示․시]앞에 입을 크게 벌리고 [口․구] 무릎을 꿇고 앉아 기도를 하는 사람[人→儿․인]을 본뜬 것. ‘祭主(제:주)가 神明(신명)에게 고하는 것’을 ‘祝’이라 하며, 그것을 글로 적어 놓은 것을 ‘祝文’(축문)이라 한다. 그래서 ‘祝’ 자가 ‘빌다’(pray)는 뜻으로도 쓰이게 됐다.
2) 示+兄(兌의 생략자), 示(神)+口+儿(人), 사람(儿)이 입(口)으로 신(示)에게 소원을 ‘비는’ 것이다. 간절하게 비는 것은 祈(빌 기)고, 수복을 비는 것은 禱(빌 도)다. 祝賀(축하) 祝文(축문)
祝 pray for happiness or blessings
1) 兄# (extend the arms in prayer) + 示 altar/the supernatural → *offer a prayer at an altar* → *congratulate*; *celebrate*; *commemorate*.
2) 兄 (here: an oration 연설) and 礻(sacrifice): to please the gods << blessing
3) As representative of the family, the elder brother(兄) goes to the altar(礻) to pray for his wish to come true.
賀*축하할 하(貝-12, 3급) congratulate; send present
1) 賀자는 ‘돈’을 뜻하는 貝(패)와 ‘더하다’는 뜻의 加(가)가 합쳐진 것이니 간단한 예물이나 돈[貝]을 주면서[加] ‘기쁨을 함께 하다’(congratulate)가 본래 의미. 加(가)는 발음 요소란 설도 있는데, 음의 유사성이 있기는 하지만 이것이 발음 요소로 쓰였고 음이 [하]인 다른 글자의 예는 없다.
2) 加+貝(돈패), 남의 경사에 선물(貝)을 가지(加)고 가서 ‘축하하는’ 것이다. 音은 加의 변음이다. 당사자에게 치하하는 것은 賀고, 천신께 기복 하는 것은 祝(축)이다. 祝賀(축하)
3) 하례(賀禮)는 축하하는 예식을 의미. 축하할 때 돈을 주는 풍습에서, 조개 패(貝)자가 들어감.
賀 congratulate; send present
1) 加# (place atop) + 貝 commodities → congratulatory presents piled high → *congratulations*.
2) Fetch(加) a present(貝) to a celebration party to congratulate.
가족(家族) family 家(집 가), 族(겨레 족)
일어:家族 [かぞく 가족끄], 중어家族 [jiāzú 찌아쭈]
집과 겨레 부부를 기초로 하여 한 가정을 이루는 사람들 사회, 수학 1-가 01-020
家*집 가(宀-10, 7급)
1) 家자는 ‘가정’(family)을 뜻하기 위해서 고안된 글자인데, ‘집 면’(宀)과 ‘돼지 시’(豕)가 조합되어 있다. 집집마다 돼지를 기르던 옛날 또는 농촌 풍습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2) 집 면(宀) + 돼지 시(豕) 집(宀) 안에 돼지(豕)가 있는 형상을 본떠 만든 글자. 돼지는 가축(家畜)들 중에서 최초로 집안에서 길러서 생긴 글자. 옛날에는 돼지를 집안에서 길렀고, 사람들의 분뇨와 음식 찌꺼기를 먹으며 자람. - 제주 똥돼지
3) 宀(집면)+豕(돼지시), 돼지가 사는 집, 즉 자기 집을 낮추어하는 말이며 일반 집을 총칭. 남의 집을 미칭 해서는 宅(택).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돼지를 아래층에 기르고 위층에 사람이 살았다고 한다. 동이족에만 있는 생활문화로서 현재 제주도 지방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家族(가족) 家計(가계) 家系(가계) 4) 부정의 의미 뒤에 붙어 강조하는 역할(不家 불가)
家 house, home, residence; family
1) 宀roof/building + 豕 pig/boar, here a variant form of 亥# (pig/boar stretched taut for slaughter) →pigs/boars confined in a hut or shed and awaiting slaughter → *house*/*household* → *home*;*family*; *shop*; *store*; *business* → *dealer*; *seller*; *specialist* (← tradesman operating a particular business). 2) Ancestors of Korean fed up their poops to pigs. They lived on 2nd floor to deny harmful insects and raised up their pigs on 1st floor this living culture still remaining in Jeju province in Korea. They called it 'Poop pig' 3) used for emphasis after a negative (不~, 甭~)
族*겨레 족(方-11, 6급)
1) 깃발 언(㫃) + 화살 시(矢) 깃발 아래 모여 있는 사람들을 본떠 만듦. 깃발 아래에 있는 화살 시(矢)는 화살과 상관없이 사람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2) 㫃(깃발언)+矢(화살 시), 군기(㫃) 아래로 집결한 화살(矢)인데 五十개를 한 族이라고 한 것이 인간의 ‘겨레’라는 뜻이 됨. 音은 ‘족’이니 서로 補足(보족)하는 것이다. 韓民族(한민족) 族屬(족속)
3) 전쟁에는 사람도 모여야 하고 화살도 모아야 해서 모인다는 것을 의미
族 a family clan, ethnic group, tribe
1) Waving flag(㫃) and arrow(矢) signify war. When people are gathered under one flag (㫃) in a time of war, it means “ the people are from same tribe or clan of long generations sharing same culture and language.”
2) 矢# arrow + an abbreviated form of 旅 (pennant/banner-㫃) → arrows piled beneath the fluttering(나부끼는, 휘날리는) pennant of a *clan*/*tribe* → *family*.
3) From 矢 (arrow) and (numerous): a bundle of arrows << a number of people of the same kind; a clan.
男*사내 남(田-7, 7급)
1) 男자는 ‘사내’(a man)란 낱말을 적기 위해, ‘밭 전’(田)과 ‘힘 력’(力)을 합쳐 놓은 것이다. 농경사회에서 남자가 해야 할 몫을 뜻 함.
2) 田+力, 밭(田)에서 노력(力)하여 생산하는 ‘사내’다. 사내는 양성(陽性)인데 방향은 남쪽이니 音은 ‘남’이다. 주나라 때 五등의 작위 중에 최하의 작명이다. 男子(남자) 男爵(남작) 男妹(남매)
3) 밭 전(田)+힘 력(力) 논이나 밭(田)을 힘들여(力) 경작하는 사람→사내
男 male, man; son; baron
1) 田# field + 力 power/energy → strong, limber(근육이 유연한) *man* working a field.
2) somebody who exerts(있는 힘껏 노력하다) his strength (力) in the field (田): a man.
妹*누이 매(女-8, 4급)
1) 여동생(younger sister)의 의미
2) 여자 녀(女) + [아닐 미(未)→매], 미혼 한 소녀 즉 ‘여동생’이다. 音은 未의 변음이다. 여동생은 妹고, 여형은 姉(자)니, 여자의 형제를 姉妹(자매)라 한다. 姉妹(자매) 妹兄(매형) 妹弟(매제)
3) 계집 녀(女)+아닐 미(未) 자기보다 다 자라지 못한(未) 여자(女)→누이
妹
1) 未# (minute) + 女 woman → *younger sister* (← female family member who is comparatively smaller).
2) Signifies a younger sister, who is not(未) above you among siblings(女).
순서(順序) procedure, formalities 順(따를 순), 序(차례 서)
일어:順序 [じゅんじょ 준조], 중어:顺序 [shùnxù 슌쉬]
차례를 따름, 정해진 차례 수학 1-가 02-026
順*순할 순(頁-12, 5급)
1) 順자는 흐르는 냇물의 모습인 川(천)과 큰 머리를 강조한 모습인 頁(혈)이 합쳐 짐, ‘(머리를 숙이고 흐르는 물과도 같은 성인의 도리를) 따르다’(obey)가 본뜻. 후에 ‘순하다’(mild) ‘차례’(order) 등으로 확대 사용.
2) 머리 혈(頁)+내 천(川) 물이 얼굴(頁)에서 발바닥으로 내리듯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냇물(川) 되어 흐른다→따르다 ; * 대세로 따름은 <順(순)>, 시키는 대로 따름은 <馴(길들일 순)>
3) 머리 혈(頁) + [내 천(川)→순] 머리(頁)에서 아래로 냇(川) 물이 흐르듯이 세대로 ‘순한’ 것이다. 音은 川의 변음이나, 馴으로도 통한다. 이세대로 따름은 順이고, 시키는 대로 따름은 馴(순)이다. 良順(양순) 順調(순조) 順從(순종) 順番(순번)
順 obey, submit to, go along with
1) 川# river + 頁 head (→ group of people) → people following a winding course traced by a river (compare 馴 and 沿) → *follow* → *sequence*; *order*.
2) To swim in a stream (川), with the head (頁)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to follow the current; compliant.
序*차례 서(广-7, 5급)
1) sequence(연속적인, 배열), preface(서문), order(순서)의 의미로 사용
2) 엄 호(广)+나/주다 여(予) 집(广)에서 물건(予)을 나누어 주는 순서→차례
3) 广+予, 가르쳐 주는(予) 집(广)이다. 夏代에는 학교 이름이었는데 그곳에서 윤리를 교육했기 때문에 ‘질서’란 뜻이 되었다. 音은 予의 변음이다. 秩序(질서)
序 series, serial order, sequence
1) 予# (stretch) + 广 building → rooms stretching in a line within a building → *beginning*;*order* (← beginning of a sequence) → *describe* (← describe in sequence/order; compare 敍) →*preface*.
2) 予 Both top and bottom orig. represented the palm of a hand, one giving, the other receiving: to pass from hand to hand; to give; to communicate; connection. East and West halls (广) of Chinese houses, where instruction (予) was given in the classics and where transactions were done: order; sequence; preface to a book (with the subjects listed in order).
사탕(砂糖) candy, 砂(모래 사), 糖(엿 탕)
일어:砂糖 [さとう 사또], 砂糖 [shātáng 쌰~탕]
엿의 가루 엿이나 설탕을 끓여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만든, 달고 단단한 과자. 수학 1-가 02-030
砂*모래 사(石-9획) sand(모래); pebbles(조약돌), gravel(자갈); gritty(모래 같은)
1) 石+少, 돌(石)이 부서져서 작아진(少) 것은 ‘모래’이다. 砂金(사금) → 沙(모래사)
2) 돌 석(石)+모래 사(沙의 획 생략) 돌(石)이 부서져 물가에 있는 모래(沙)처럼 된 것. 모래
3) 돌[石]이 닳아 작아진 [少] 것으로 암석이 주변 자연환경에 영향을 받아 자갈이나 조약돌이 된 것이겠습니다
4) 고비사막은 한자로 ‘과벽(戈壁, ggbi)’인데,본래는 ‘자갈’이나 ‘사막’을 뜻하는 몽골어에서 온 것으로 이사 막은 모래로 된 사막(沙漠)이 아니고 자갈로 된 사막(砂漠)
砂 sand(모래); pebbles(조약돌), gravel(자갈); gritty(모래 같은)
1) An abbreviated form# of 沙 sand + 石 stone → small stones, in the form of gravel/*sand* or *fine*stone particles.
2) fine stone particles; gravel; sand. kind of clay used for making utensils
糖*엿 탕(米-16, 3급) sugar(설탕); candy(사탕); sweets(단 것)
1) 쌀 미(米) + [허풍/당나라 당(唐)→당, 탕], 쌀(米)로서 입(口)을 긴장(唐)시키는 엿이나 또한 ‘사탕’을 뜻한다. 가루로 된 것은 糖(당)이고, 덩어리로 된 것은 飴(엿이)이다. 糖分(당분) 糖尿(당뇨)
2) 쌀 미(米)+ 황당하다 당(唐) 쌀(米)로 쑨 죽에 엿기름을 넣어 황당한(唐) 맛을 낸 음식→엿
3) 당의정(糖衣旋)은 먹기 편하도록 단맛 나는 옷을 입힌 정제. 불쾌한 맛이나 냄새를 피하고 약물의 변질을 막기 위하여 표면에 당분을 입힌 것, 영어 ‘sugarcoated pill'
糖 sugar(설탕); candy(사탕); sweets(단 것)
1) 唐# (rise) + 米 rice (here suggesting sugar cane, a plant similar in shape to a rice stalk) →boil sugar cane (similar in shape to a rice stalk), causing steam to rise → *sugar*.
2) It was embarrassing(唐) taste as adding malt(엿기름) in the rice porridge(米)→sweets
봉지(封紙) paper bag, 封(봉할 봉), 紙(종이 지)
일어:紙袋 [かみぶくろ 가미부크로], 纸袋(子) [zhǐdài(‧zi) 지따이]
봉한 종이, 종이로 그리 크지 않게 만든 주머니, 수학 1-가 02-030
封*봉할 봉(寸-9, 3급)
1) 封자가 원래는 나무[木]를 손[又]으로 집어 땅[土]에 심어 경계선으로 삼는 것이었다. 土와 木이 圭(규)로, 又가 寸(촌)으로 각각 잘못 바뀌었다. ‘(땅의) 경계’(border)가 본래 의미이고 ‘(제후에게 땅을) 나누어주다’(invest) ‘봉하다’(confer a peerage) 등으로 확대 사용되었다.
2) 설문)土(之의 변형)+土+寸, 옛적에 천자가 제후에게 영토(土)를 주면서 그에게(之) 법도(寸) 있게 다스리라고 封하던 것이다. 지금은 편지를 ‘봉하는’ 뜻으로 쓴다. 封書(봉서) 封套(봉투) 封合(봉합) 封墳(봉분) 封建(봉건) (봉토의 크기는 公侯는 백리, 伯은 칠십리, 子男은 오십 리이다.)
封 letter, envelope; feudal
1) 寸 here an abbreviated form of 付 (set in place) + 圭# (cone-shaped) → conical(원뿔 모양) object set in place → *mound*; *tomb*; *confine* → *fief* (← place where a lord declares his sovereignty over a territory; compare 邦). *Seal* is a borrowed meaning.
2) A tumulus(봉분) (土) with a tree on top (㞢 > 土) repr. the authority (寸) of a feudatory(영지, 봉토): an appanage(이득, 속령); a domain; a tenure.
紙*종이 지(糸-10, 7급)
1) 紙자는 ‘종이’(paper)를 뜻하기 위해 만들어진 글자. 종이가 발견되기 전에는 실로 짠 비단에 썼기에 ‘실 사’(糸)가 의미, 氏(씨)가 발음, 坁(머무를지)도 마찬가지. ‘종이’ 말고 다른 뜻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2) 糸+氏, 실(糸)의 종류(氏)니 즉 섬유질로서 만든 ‘종이’다. 音은 氏의 변음이다. 用紙(용지) 韓紙(한지) 紙匣(지갑)
3) 실/끈 사(糸)+각시/나무뿌리 씨(氏) 가는 실(糸)이나 나무뿌리(氏) 같은 섬유질을 가공하여 만든 편편한 물품→종이
紙 paper
1) 氏# (flat) + 糸 thread → combed fibers pulled together and flattened into *paper* → *newspaper*.
2) It is a kind(氏) of thread(糸). Flat object which is prcessed with root(氏) or thread(糸)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5)-Hanja words in mathematics(05) (0) | 2022.06.05 |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4)-Hanja words in mathematics(04) (0) | 2022.06.05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2)-Hanja words in mathematics(02) (0) | 2022.06.04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1)-Hanja words in mathematics(01) (0) | 2022.06.04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18)-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18) (0) | 2022.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