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교과서 한자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2)-Hanja words in mathematics(02)

by propup77 2022. 6. 4.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02)- 초등학교 1학년 수학1 - 가

개수(個數), 비교(比較), 학용품(學用品), 동물(動物), 생일(生日)

 

개수(個數) a quantity or amount. 個(낱 개), 數(셈 수)
일어:個数·箇数 [こすう 고쓰], 중어: 个数 [gèshù 그슈]
낱개의 셈, 갯 수. 수학1-가 01-018

個*낱 개(人-10, 5급)
1) 個자의 본래 글자인 箇는, ‘대나무 줄기’(the trunk of a bamboo)를 뜻함 ‘대 죽’(竹)이 의미, 固(굳을 고)는 발음. 약 1000년 전쯤에 個로 간략하게 바뀌었다. ‘낱낱’(each piece)을 가리키기도 한다.
2) 亻(사람인)+固(굳을고), 내라는 마음이 굳어(固) 진 사람(亻)이라 전체 안에 있는 ‘한낱’이다. 한 개(丨)로 서 있는 사람(人)인 个(낱개)와 같은 글자다. 音은 固의 변음이다. 個人(개인)
3) 사람 인(亻) + 굳을 고(固) 사람(亻)이 죽어서 굳어지면(固) 시체를 하나씩 헤아리게 된다>낱낱

個 numerary adjunct, piece; single
1) 固# (hardened/hard object) + 人 person → objects and people distinguished one by one (compare 箇 as well as 各) → *individual*; *item* → *counter*.
2) Every person has a personality, a character(個性) that sets him apart from others. As that is the core of a person(人), adding a stroke(丨) in the middle gave the meaning ‘individually.’ Now this character is used to count objects.
3) A twig of bamboo, with a knot, and the whorl of pending branches inserted in the knot. Later replaced by 個 or 箇

 

數*셀 수(攴-15, 7급) count, number, calculate
1) 數자의 攵(=攴)은 손이나 막대기로 어떤 물건의 수를 ‘헤아리다’는 뜻으로 쓰임. 婁(성길 루)는 발음이지만, 지금은 음이 크게 달라졌다. ‘헤아리다’(count), ‘셈하다’(calculate)라는 뜻으로 쓰인다.
2) 칠 복(攵) + [포갤 루(婁)→수,삭] 최초에는 ‘셈하는’ ‘여러 수’라는 뜻. 音은 婁의 변음이다. 婁+攵, 속이 비어(婁) 잘못하면 매(攵)을 ‘자주’ 쳐서 가르치는 것이다. 자주 치면 깎아지므로(削삭) 音이 ‘삭’이다. 자주 여러번 하므로 ‘세는’ 뜻이 되어 音이 ‘수’다. 또 ‘빽빽하다’는 뜻으로는 音이 ‘촉’이다. 數學(수학)/ 數數(삭삭) 頻數(빈삭) ☞削(깎을삭)


1) 婁# (continuum) + 攵 action indicator → enumerate people or a continuum of objects →*count*; *number*.
2) From 婁 (confined women) and 攵 (to tap; authority): to rule the confined women.
3) This character is derived from a shape of counting the number like one, two, three… and came to mean ‘count the number.’

비교(比較) comparision 比(견줄 비), 較(견줄 교)
일어:比較 [ひかく 히가꾸], 比较 [bǐjiào 비~지아오]
견줌, 둘 이상의 것을 견주어 차이ㆍ우열ㆍ공통점 등을 살피는 것. 수학1-가 01-018

比*견줄 비(比-4획, 5급)
1) 比자는 ‘친하다’(intimate)는 뜻을 위해 고안, 바짝 뒤따라가는 두 사람을 그림. ‘따르다’(follow) ‘돕다’(help)는 뜻으로 확대 사용되기도 했지만, 때로는 둘이서 토닥거리거나 겨눌 때도 있기 때문에 ‘겨루다’(compete) ‘견주다’(compare)는 뜻으로도 사용됐다.
2) 원래는 ‘빽빽하다’는 뜻. 人+人, 두사람(人)을 나란히 놓고 ‘견주어’ 보는 것. 또는 匕+匕, 숟가락(匕) 두 개를 ‘견주어’ 보는 것을 뜻한다. 音은 匕(비)이다. 比較(비교) 比例(비례)

比 to compare, liken; comparison; than;
1) The relevant bronzeware inscription form shows two persons, one immediately behind the other, suggesting "line up people" → *line up*; *objects of a similar kind* → *compare* (← compare two objects by lining them up); *rate*. For the idea of lining up, see also 竝 and 方.
2) An inverted form of 从: to effect a union, to follow, to cooperate, to plot. 2. bĭ (derived from the above) to draw a parallel between; to compare; rank 3. In some characters it repr. the feet of an animal.

較*견줄/비교할 교(車-13, 3급)
1) compare(비교하다), have a contest(경연을 하다), quite(꽤); rather(~보다)의 의미
2) 수레 차(車) + [사귈 교(交)] 차(車)의 위에 교(交)차 해 있는 막대 기니, 그것을 잡고 타는 대는 대부(大夫)와 선비와 서인의 등급이 있기 때문에 그들을 ‘비교한다’는 뜻이 되었다. 比較(비교)
3) 수레 거(車)+ 짜 맞추는 나무/사귀다 교(交) 수레(車)의 균형을 위해 맞추기(交) 위해 나무를 서로 견주다→견주다

 


較 compare; comparatively, more
1) 交# (twist/cross) + 車 vehicle → crossing bars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ancient vehicles, which passengers grasped to maintain their balance. *Compare* is a borrowed meaning.
2) Out of an assortment of(交) cars(車), they are comparing which one is better. Even in ancient China, they compared cars or carts to judge who was better off.

학용품(學用品) school supplies, stationery 學(배울 학), 用(쓸 용), 品(물건 품)
일어:学用品 [がくようひん 가쿠요 힌] 중어:学习用品 [xuéxí yòngpĭn 쉐시용핀]
배울 때 쓰는 물건, 학습에 필요한 온갖 물건. 수학1-가 01-018

學*배울 학(子-16, 8급)
1) 學자가 원래 ‘아이 자’(子)가 없는 것이었다. 새끼를 꼬아 지붕을 얽는 모습을 그린 것이라 한다. 후에 아이들도 그 일을 배워야 했기에 ‘子’가 첨가되었다. ‘배우다’(learn)가 본뜻이고, ‘학문’(learning) ‘학설’(theory) ‘지식’(knowledge) 등으로 확대.
2) 臼+爻+子(아들자), 아이(子)가 양손으로 산가지(爻)를 움키(𦥯)고 ‘배우는’ 것이다. 爻+臼(양손)+冖+子, 아직은 덮어(冖)진 환경에서 마음이 어린 아이(子)가 두손(臼)을 들어서 좋은 본을 받아(爻) 드림이니, 즉 가르침을 ‘배우는’ 것이다. 音은 효(爻점괘 효)의 변음이다. 學問(학문) 學校(학교) 學者(학자)
3) 아뢰다/고하다 곡(𦥯)(嚳의 획 생략)+아들 자(子) 스승이 고하는 것(嚳)을 아이들(子)이 배우다→배우다

學 learning, knowledge; school
1) 𦥯# is 爻 (obtain knowledge) + an element combining a pair of hands(臼) and 冖 a cover (→ covered building) → covered place of instruction where another is stimulated to obtain knowledge (compare 校). 學 adds 子 child → place where an instructor stimulates pupils to acquire knowledge (compare 敎) → *school* → *study*; *learn*.
2) The upper part of The traditional character(學) is “学,” with three dots(⺍), a pair of hands(⺽13a) and a knot(㐅). The boy(子) learns from watching men cover a roof(冖) with bundles(㐅) of hay using their hands(⺽).

用*쓸 용(用-5, 6급)
1) 用자는 나무로 만든 통 모양을 본뜬 것, ‘통’(a barrel)이 본래 의미인데, ‘쓰다’(use)는 의미로 확대 사용되는 예가 많아, ‘통’은 桶(통)자를 만들어 나타냈다.
2) 설문(說文)에는 卜+中으로 점(卜)이 맞치(中)면 그것을 ‘쓰는’ 것이다. 거북의 등이 터진 꼴이다. 거북 등에 점을 쳐서 좋으면 ‘쓴다’. 用度(용도) 使用(사용) 利用(이용)

用 use, employ, apply, operate
1) The relevant oracle bone form of this character depicts a stick being run through a rectangular board, piercing a hole → *use*; *action* → *have a need* → *go to the toilet* (← have a need to relieve oneself).
2) Symbolizes the shape of a traditional basket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containing things or agricultural crops.

 


品*물건 품(口-9, 6급)
1) 品자는 원래의 자형이 고스란히 잘 보존되어 있는 희귀한 예다. ‘입 구’(口)가 셋이나 되니 ‘여러 사람’(the crowd)이 본뜻이었는데, ‘물건’(articles) ‘종류’(kinds) ‘등급’(grades)을 가리키는 것으로도 활용.
2) 세개의 口자는 입이 아니라 여러 ‘물건’을 의미한다. 질적인 ‘등급’도 의미한다. 口네 개를 합한 “집”자는 시끄럽다는 뜻이다. 商品(상품) 品格(품격) 品位(품위) 品詞(품사) 品評(품평)

品 article, product, commodity
1) Square-shaped object (tripled) → high-quality *goods* spread throughout a protective container (compare 舗 and 販) → *quality*; *counter for goods*; (person's) *character*; *grade*; *value*.
2) Disposition(배치, 배열) of affairs by order and degrees. The things under consideration are indicated by three (= many) 口

동물(動物) animal 動(움직일 동), 物(물건 물)
일어:動物 [どうぶつ 도부쯔], 중어:动物 [dòngwù 똥 우]
움직이는 물건, 생물계를 식물과 함께 둘로 구분한 생물의 하나. 길짐승ㆍ날짐승ㆍ물고기ㆍ벌레ㆍ사람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수학1-가 01-020

 


動*움직일 동(力-11, 7급)
1) 動자는 ‘힘 력’(力)이 부수이자 의미요소다. 重(무거울 중)은 원래 童(아이 동)이 변화된 것으로 발음 기능, 董(거둘 동)이나 偅(흐리멍덩할 동)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만들다’(make)가 본뜻인데, ‘행동하다’(act), ‘움직이다’(move)는 뜻으로 확대 사용됐다.
2) 重力의 작용으로서 스스로 움직이니 물건을 ‘움직이는’ 뜻이 된다. 音은 重의 변음이다. 벌레처럼 움직임은 蠢(꿈틀거릴 준)이다. 動作(동작) 運動(운동)

動 move, happen; movement, action
1)重# (run through) + 力 power/energy → strenuous *work* involving the running through of objects (compare 用 and 同) → *movement* → *go/put into action*, *shift*; *transfer*;
2) moving of a plow(力) to distribute seeds inside a heavy(重) sack.

物*물건 물(牛-8획, 7급)
1) 物자는 ‘소 우’(牛)가 의미, 勿(말 물)은 발음. ‘여러 색깔의 털을 가진 소’가 본뜻이었는데, ‘여러 물건’(things) ‘사물’(matters)을 지칭.
2) 牛+勿, 소(牛)는 가장 유익한 물건이라 그로서 모든 물건의 대표로 하고 그 소 하나만을 지칭함이 아님(勿)을 의미하니 ‘일체 유형한 것’이다. 소(牛)의 깃발(勿)이니 소가 대표하는 ‘동물’이며 또한 ‘만물’을 지칭한다. 萬物(만물) 物件(물건)

物 thing, substance, creature
1) 勿# (obscure) + 牛 cow → obscure (= unremarkable) cow → *thing(s)*; *object(s)* (←things/objects of unremarkable characteristics).
2) From 牛 (ox) and 勿 as phonetic:a thing; a matter (oxen were the most valued things in most households in ancient times).

생일(生日) birthday 生(날 생), 日(날 일)
일어:生日 [せいじつ 세지쯔], 중어:生日 [shēng‧rì 솅리]
나온 날, 세상에 태어난 날. 수학 1-가 01-020

 


生*날 생(生-5, 8급)
1) 生자는 ‘돋아나다’(sprout)는 뜻, 땅거죽을 뚫고 갓 돋아 난 새싹 모양을 그린 것. 생명이 태어나는 것을 풀이 돋아나는 것에 비유하였기에 ‘태어나다’(be born) ‘살다’(live) 등으로도 쓰였다.
2) 땅위에 자란 초목 꼴. 土(흙토)+屮(싹 철)의 변형자, 땅(土)에서 싹(屮)이 ‘나는’ 것이다. 나서는 ‘살아’가 니 살아 있는 ‘날것’이란 뜻도 된다. 生命(생명) 生産(생산) 生活(생활) 生命(생명) 生育(생육) 生長(생장) 生疎(생소) 生鮮(생선) 生氣(생기)

生 life, living, lifetime; birth
1) The relevant seal inscription form is an abbreviated form# of 艸 grass/plant + 土 earth → fresh, slender grass shoots → *birth*; *life* → *new*; *fresh*; *sprout*; *raw*; *alive*; *by nature*; *youth*; *unripe*; *pure*; *bear fruit*; *spare a life*; *bring back to life*; *make use of*; *make a living*; *be/remain valid*; *arrange flowers/plants*; *grow*; *undiluted*.
2) From 㞢, a plant to which a whorl (一) was added; later changed into the present form: growing more and more << to bear; to spring; to live; to grow

日*날 일(日-4, 8급)
1) 日자는 ‘해’(the sun)를 나타내기 위해서 둥근 원형 안에 점을 하나 찍어 놓은 모양(·). 후에 쓰기 편리함을 위하여 네모꼴로 바뀌었고, 그 안의 점도 ‘一’로 변모됐다. 후에 ‘낮’(daytime) ‘하루’(one day)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2) 해 꼴. 태양의 정(精)으로 이지러지지 않는 것이다. 또는 口+一, 우주(口)안에 오직 하나(一)뿐인 ‘해’이니 音은 ‘일’이다. 해가 떠서 지는 동안을 중심으로 한 二十四시간도 뜻한다. 日課(일과) 日月(일월)

日 daily; every day
1) depiction of the *sun* → *day* (← appearance of the sun ushering in a new day).
As with 熱, the heat of the sun was understood in terms of softening objects and/or reducing them in size.
2) Symbolizes the round sun, also signifying day – a cycle of the sun.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