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교과서 한자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18)-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18)

by propup77 2022. 6. 4.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18)-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

연필(鉛筆), 태극기(太極旗), 운동장(運動場), 차례(次例), 상상(想像)

연필(鉛筆) pencil 鉛(납 연), 筆(붓 필)
일어:鉛筆 [えんぴつ 엔피츠], 중어:铅笔 [qiānbǐ 치엔삐]
납연으로 만든 붓, 흑연 가루를 찰흙에 섞어서 높은 열로 구워 심을 만들어서 겉을 나무로 싼 붓 국어 1-1


鉛*납 연(金-13, 4급) lead plumbum
1) 金+㕣, 진흙(㕣) 뭉치처럼 부드러운 쇠(金)는 ‘납’이다. 鉛은 軟(연)한 금속이라 늘려서 延(연)할 수도 있는 것이다. →軟(부드러울연) 延(늘일연,끌연)
2) 쇠 금(金)+물 따라 걷다 연(㕣, 沿(물따라갈 연)의 획 생략) 습기를 따라(沿) 검푸른 분이 생기는 쇠(金)→납
3) 연필(鈴筆)은 ‘납’ 연(鉛)을 써서 여전히 납 성분이 들어간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고 '심'도 납이라는 뜻의 “lead”, 그러나 연필심의 주성분은 흑연(黑錯, black lead, graphite)으로 거기에 점토를 섞어서 만듦. 흑연이 처음 나왔을 때 사람들이 납처럼 보이는데 색이 검다고 해서 흑연(黑 鈴)이라 하게 되었고, 거기에서 비롯되어 지속적인 오해를 남기고 있음.

鉛 lead (Pb), lead (in a pencil); black lead (graphite)
1) Abbreviated form# of 沿 (follow/run along a prescribed course) + 金 metal → molten *lead*running along a prescribed course in being refined (compare 鑄).
2) From 八 (separation) > 儿 and 口 (flow): a ravine(산골짜기, 계곡) between mountain ridges
3) metal 金 + swamp 㕣 Symbolizes lead, a metal(金) with blueish grey color like a swamp(㕣).
“㕣” represents clays opening up(八) and sucking in everything like a mouth(口) – when something falls into a swamp it becomes very difficult to take it out.

筆*붓 필(竹-12획, 5급)
1) 筆자의 원형은 손에 붓을 쥐고 있는 모습을 본뜬 ‘聿’(율)로. 처음 약 1000년 간은 그렇게 쓰다가 의미를 더욱 분명하게 하기 위해서 ‘대 죽’(竹)을 더했다. ‘붓’(a writing brush)이 본래 의미인데, ‘쓰다’(write) ‘글씨’(writing) 등의 뜻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2) 붓/드디어 율(聿)+대나무 죽(竹) 대나무 (竹)손잡이로 만든 붓(聿)→붓
3) 대나무 죽(竹) + 붓 율(聿) 본래 聿이 ‘붓’인데 秦代(진대)에 또 竹(죽)을 덧붙여서 音은 ‘필’이 되니 聿은 '드디어'란 뜻이 되었다. 蒙恬(몽염)이란 사람이 비로소 대(竹)와 털(毛)로서 붓을 만들었기에 竹밑에毛자로도 쓴다. 筆跡(필적) 筆記具(필기구)

筆 pen, pencil or writing brush. technique of writing, calligraphy or drawing
1) 聿# implement used to carve/draw characters + 竹 bamboo → bamboo carved into a *writing brush* → *writing implements*; *write*; *draw*; (literary/artistic) *work*.
2) Symbolizes a brush for writing, created by brush(聿) at the top of a bamboo(竹) straw. Now used to refer to any stylus or writing tools including pen and pencil.
3) 聿 A hand (彐) writing lines on a tablet: to write +竹bamboo, 聿 then; and then(used in ancient Chinese), finally

태극기(太極旗) the national flag of Korea, 太(클 태), 極(다할 극), 旗(기 기)
일어:太極旗 [たいきょく‐き 다이쿄쿠키], 중어:太极旗 [Tàijíqí 타지치]
크게 다하는 깃발, 대한민국(大韓民國)의 국기(國旗) 국어 1-1


太*클 태(大-4, 6급) big, extreme
1) ‘크다’(big) ‘심하다’(extreme) ‘아주’(extremely) ‘너무’(too much) 등의 의미로 쓰임.
2) 大+丶(점주), 큰(大)데 점(丶)을 덧붙여서 더욱 큰 것이니 大에 二자를 덧붙인 泰(태)자와 같은 것이다. 太는 질적인 의미로 변하여 ‘가장’이란 말이 되는데 音은 ‘태’이다. 지중한 것은 太고, 지고한 것은 泰(태)다.

太子(태자)
3) 크다는 의미에 점(丶)을 찍어 더 크다는 것을 나타낸 글자, 비교 대상이 하나의 점(丶)으로 보일 만큼 크다(大)→크다

太 high; big, remote in time (太古)
1) A variant of 大# great that acquired the meanings *be/become thick*, *extremely*, *too* and *fat*, as well as *calm*.
2) 大, which was later (with changed pronunciation) also used to mean 'highest', 'greatest', etc.. A dot was added to distinguish it from the origin
3) Big(大), emphasize the meaning with adding dot(丶)→extream

旗*깃발 기(方-14, 7급)
1) 旗자의 其(그 기)는 발음요소이고, 그 나머지 㫃(모 방(方)+ 사람 인(人)은 깃발이 펄럭이는 모양을 그린 것으로 의미 요소. ‘깃발’(a flag)이란 본래 의미가 지금도 널리 쓰이고 있다.
2) 모 방(方)+ 사람 인(人)+그 기(其) 사람(人)이 가리키는 그것(其)을 표시하기 위한 네모진(方) 것→대장기
3) 㫃(깃발 언)+其, 그(其) 깃발(㫃)은 전쟁할 때 지휘하는 군용기였으나, 지금은 일반의 ‘기’를 통칭한다. 사기를 고무하는 기는 旌(기정)이다. 旗는 현재의 옥편에서는 부수가 方이지만 설문해자에서는 㫃이 부수. 國旗(국기)

極*다할 극(木-13, 5급) 极(jí)

1) 極자는 ‘(굵은 나무로 만든) 대들보’(girder)를 뜻하기 위한 글자, ‘나무 목’(木)이 의미. 亟(빠를 극)은 발음요소. 가장’(most) ‘지극히’(extremely) ‘다하다’(finish) 등으로도 쓰인다.

2) 나무 목(木) + [다할 극(亟)] 여러 개의 글자가 모인 극(極)자는 원래의 의미가 대들보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상형문자를 보더라도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고, '다한다'는 의미가 생긴 이유도 명확하지 않음.

3) 원훈은 棟(용마루 동)이다. 木(나무목)+亟, 나무(木)가 빠르(亟)고 바르게 커서 일정한 한도까지 올라간 것이다. 兩極(양극) 北極(북극) 極盡(극진) 至極(지극)

4) 나무(木)를 빠르게(亟) 키우는 데는 정성을 다해야 한다>다하다

5) 亟# (stretch to full height/length) + 木 tree/wood → wooden pillar stretching between ceiling and floor → *extreme*; (positive/negative) *pole*; *end*. Also, *exhaust* (← exhaust/come to the end of one's resources).


旗 banner, flag, streamer
1) Square(方)+ men (人)+that(其) A man(人) idicates that(其) squared thing(方)-pennant
2) flutter 㫃+ winnowing(키질하다) basket/it 其 People who share winnowed(其) grains lived under the same flag and that is shown by a fluttering(㫃) flag.

운동장(運動場) 運(돌 운), (動)움직일 동, (場)마당 장
일어:運動場 [うんどうじょう 운도조], 중어:运动场 [yùndòngchǎng 윤동챠~앙]
일정한 규칙과 방법에 따라 신체의 기술과 기량을 겨루는 활동을 위(爲)하여 기구(器具)나 설비(設備)를 갖춘 넓은 마당 국어 1-1


運*옮길 운(辶-13, 6급)
1) 길을 가다’는 뜻인 착(辶=辵=彳+止)이 의미 요소로, 軍(군사 군)이 발음 요소, 暈(무리 운)도 마찬가지. ‘옮기다’(transport)가 본뜻이고 ‘옮겨 다니다’(shift), ‘돌다’(turn round)는 뜻으로도 확대.
2) 쉬엄쉬엄 갈 착(辶=辵)+군사 군(軍) 군사(軍)를 쉬엄쉬엄 행군시키다(辶=辵)→옮기다
3) 갈 착(辶) + [군사 군(軍)→운], 군(軍)대가 가(辶)는 데 전차를 ‘운행하는’ 것. 천신이 운행하는 인생의 ‘운명’도 의미. 音은 軍의 변음이다. 運轉(운전) 運搬(운반) 運命(운명)

運 luck, fortune; ship, transport
1) 軍# (circularity) + 辵 movement → *move about in a circle* (compare 還) → *transport*;*carry*; *convey* → (make) *progress*; *manage/carry out* (an undertaking). *Fate* comes from the idea of the circulation of good and evil in the course of one's life; compare 業.
2) 軍# (miltary) + 辵 movement ->shift, 軍(phonetic part), 辵(meaning part)

動*움직일 동(力-11, 7급)
1) 힘 력’(力)이 의미 요소. 重(무거울 중)은 원래 童(아이 동)이 변화된 것으로 발음 요소, 董(거둘 동)의 경우도 마찬가지. ‘만들다’(make)가 본뜻인데, 행동하다’(act) ‘움직이다’(move) 등으로 확대 사용.
2) 힘 력(力)+무겁다/겹치다 중(重) 힘(力)을 가하면 무거운(重) 것도 움직인다→움직이다. * 벌레처럼 움직임은 <蠢(준)>
3) 힘 력(力) + [무거울 중(重)→동] 重力(동력-power, energy)의 작용으로서 스스로 움직이니 물건을 ‘움직이는’ 뜻. 音은 重의 변음이다. 벌레처럼 움직임은 蠢(꿈틀거릴준)이다. 動作(동작) 運動(운동)

動 move, happen; movement, action
1)重# (run through) + 力 power/energy → strenuous *work* involving the running through of objects (compare 用 and 同) → *movement* → *go/put into action*, *shift*; *transfer*;*change*; *operate* (a machine); *run* (a machine/an enterprise); *developments*; *activities*.
2) 重 Orig. it represents round or flat weights piled up on a kind of support: heavy; weight
3) Some power(力) applying to something heavy(重), it will move.

場*마당 장(土-12, 7급)
1) 場자는 원래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평평하게 골라 놓은 ‘땅’(site; ground), ‘흙 토’(土)가 의미, 昜(볕 양)은 발음. 후에 ‘장소’(place) ‘처지’(a situation) 등으로 확대 사용.
2) 흙 토(土) + [빛날 양(昜)→장], 사람이 모이는 양(昜)지, (土) ‘마당’이다. 원래는 神을 제사지내는 道場이다. 音은 昜의 변음이다. 넓은 공간은 場이고, 물건이 있는 곳은 所(소), 머무르는 곳은 處(처)다. 道場(도장) 場所(장소)


1) 昜# rise + 土 earth → public space on high ground → *public square/plaza*; *place/location* → *scene*; *session* (played out in public)
2) A large ground(土) with sunlight shining upon it(昜) provides a suitable place for people to gather and hold events. Since many events took place in such places, it was also used as a unit to count the number of various events such as literary activity, entertainments, and sports.


차례(次例) order, table of contents, 次(차례 차), 例(차례 례)
일어:順序 [じゅんじょ준죠], 중어:次序[cìxù 스슈]
차례, 순서(順序) 있게 벌여 나가는 관계(關係)나 그 관계(關係)에서 본 하나 국어 1-1

次*버금 차(欠-6, 4급)
1) 두 이(二)+하품하다 흠(欠) 피곤하여 하품(欠)하며 다음으로 미룬다는 것은 최상의 상태가 아니고 2(二)번째 이하의 상태다→버금
2) 二+欠, 사람은 출발지(一)에서 목적지(二)로 가면 피로해서 하품(欠)이 나니 그곳이 ‘다음’이다. 따라서 ‘行次(행차)’하다는 뜻도 된다. 두 곳은 差異(차이)가 있으니 音은 ‘차’이다. 설문에는 音이 二이다. 次長(차장) 次例(차례) 屢次(누차)
3) 버금은 으뜸의 바로 아래로 두 번째. 음악에서 버금딸림옴은 으뜸음 위 완전 4도 거리에 있는 음으로 완전 5도 위의 딸림음에 다음가는 중요한 음. ‘버금’ 차(次)는 앞줄이 아닌 것. 엄격하게 가려 뽑는 것을 통과하지 못한 것입니다. 자소자인 흠(欠) 자체가 부족한 것을 나타냄.

次 order, sequence; next
1) Two (二) successive breaths (欠): succession << order; series; second; inferior
2) The relevant bronzeware inscription form is 二# (align) + 欠 bent, open-mouthed figure →bend/kneel in aligning small objects → *order*; *sequence* (← place things in precise order) →*next*; *follow*; *after that*; *counter* (for times/matters). In dual-element characters 次 is sometimes written in the form seen for example in 恣.

例*본보기 례(人-8, 6급)
1) 例자는 ‘사람 인’(人)이 의미 요소, 列(줄 렬)이 발음 요소. ‘같은 종류’(a same kind)가 본래 의미 이고, ‘본보기’(an example) ‘법식’(a form) 등으로도 확대 사용.
2) 벌이다 렬(列→칼로 잘라 벌려 놓음)+사람 인(人), 사람의(人) 한 일을 한 줄로 늘어놓은(列) 것→전례, 사람(亻)이 나란히 서있는(列) 것→본보기
3) 사람 인(亻) + [벌릴 렬(列)→례] 사람(亻)이 나란히 서있는(列) 것이니, 이는 모두 같은 것이라 그 중에 하나만 들어보아도 그 외의 것은 ‘본보기’로 알 수가 있다. 音은 列의 변음이다. 例規(예규) 實例(실례) 事例(사례)

例 precedent, example; regulation
1) 人 person is using a knife(刂) to cut up a dead(歹)列 animal and arrange the pieces.
2) 列# row + 人 person (→ human agency) → line objects in rows → *line up objects of the same kind*; *example*; *usual*; (the ones) *in question* → *compare* (← compare a line of similar objects); *for example*.
3) 列 From 刀 (knife) > 刂 and the phonetic 歹: to divide; to arrange; to place according to rank or rule
4) There are rules as to how one must cut up and arrange(列) pieces of a carcass. This character shows a senior(亻) giving a demonstration.

상상(想像) imagine 想(생각 상), 像(형상 상)
일어:想像 [そうぞう 소우조우] 중어:想像 [xiǎngxiàng 시앙시앙]
형상을 생각함,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현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려 봄 국어 1-2

h
想*생각할 상(心-13, 5급)
1) ‘(마음속으로) 생각하다’(imagine)는 뜻 ‘마음 심’(心=忄)이 의미, 相(서로 상)은 발음. ‘추측하다’(guess) ‘사모하다’(long for)는 뜻으로도 쓰인다.
2) 서로 상(相)+마음 심(心) 마음속으로(心) 서로를 그리워한다→생각하다. *뚜껑을 덮는 상자는 <箱(상)>, 뚜껑 없는 광주리는 <筐(광)>, 엮어맨 동우리는 <籠(롱)
3) 마음 심(心) + [서로 상(相)] 상(相)대를 ‘생각하는’ 마음(心)이다. 두뇌로 생각함은 思(사)고, 계속해 생각함은 念(념)이고, 과거를 생각함은 慕(그리워할모)고, 애인을 생각함은 戀(사모할련)이다. 想像(상상) 構想(구상)

想 think, speculate, plan, consider
1) 相# mutual + 心 heart/emotions → thoughts one harbors with respect to an object → *thought*; *idea*.
2) 相 Original uncertain. Perhaps: to look (目) carefully at an object (here 木): to examine; to inspect from bottom of the heart heart(心)
3) People in love think of each other(相) and miss them in their hearts(心).

像*형상 상(人-14, 3급)
1) 像자는 ‘사람 인’(人)과 ‘코끼리 상’(象) 모두 의미 요소로 쓰임 象은 발음요소도 겸함. ‘닮다’(resemble)는 본뜻에서 ‘본뜨다’(model on) ‘모습’(a figure; a form) 등으로 확대됐다.
2) 사람 인(亻=人)+코끼리 상(象) 사람(亻=人)이 상상하기(象) 좋도록 그린 그림→닮다; *실물처럼 만든 것은 <像(상)>, 흙으로 만든 것은 <塑(소)>
3) 사람 인(亻) + [코끼리/모양 상(象)] 사람(亻)이 상상(象)하도록 그린 ‘화상’이다. 실물처럼 만든 것은 像인데 흙으로 만든 것은 塑(토우소)다. 偶像(우상) 現像(현상)


像 a picture, image, figure; to resemble
1) 象# image + 人 person → *image* of a person → *statue*; *resemble*.
2) Ancient Chinese people(亻) in the northern area could only imagine how a shape of an elephant(象) would look like. The meaning of ‘likeness’ is also derived from the similar shape of an “imaginary elephant” being close to the actual one due to its uniqueness.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