傍 若 無 人 (방약무인)-oblivious to others
傍 若 無 人 (방약무인)
傍(곁 방), 若(같을 약), 無(없을 무), 人(사람 인)
곁에 사람이 없는 것과 같이 여긴다’는 뜻으로, 아무 거리낌 없이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이다. 원래 이 말은 아무 거리낌 없이 당당한 태도를 말했지만, 점차 변하여 천방지축으로 날뛰고, 무례한 태도를 표현할 때 사용하게 되었다.
As if no one was around. Describe the expression and attitude of arrogance and ease.
Affectionate attitude is arrogant.
傍 若 無 人 (방약무인) 유의어
眼下無人 (안하무인): 눈 아래에 사람이 없는 듯 한다.
傍*곁 방(亻-12, 3급) 傍(bāng, bàng)
1) 사람 인(亻) + [두루/곁 방(旁)] 旁은 입방(立方)의 전체를 덮은(冖)것이니 넓은 것인데 사람(亻)이 그 ‘옆에-beside’ 있는 것이다. 객체의 곁은 傍이고, 주체의 곁은 側(측)이다. 傍助(방조)
2) 사람 인(亻=人)+옆/모두/가깝다 방(旁); 사람(亻=人)과 가까운(旁) 위치>곁
3) 旁# (both sides of the body) + 人 person → both sides of a person → *side* → *besides*
若*같을 약(艸-9, 3급) 若(rě, ruò)
1) 若자의 갑골문은 무릎을 꿇고 앉은 여인이 두 손으로 머리 결을 순하게 다듬는 모습을 본뜬 것으로 ‘순하다’(gentle; mild)가 본래 의미. 후에 ‘같다’(same) ‘만일’(if) 등으로 차용되어 쓰였다. 불교와 관련된 의미로 쓰일 경우에는 음을 [야]로 읽음에 유의.
2) 같은 약(若)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풀 초(艹)자와는 전혀 상관 없음.
3) 많은 여러 풀(艹)중에서 오른(右)손으로 ‘같은’ 것만 가려서 채취하는 것이다. 여럿 가운데 같은 풀만 가리는데는 구별하기 어려우니 ‘만일’이란 뜻이 된다. 音은 ‘약’이니 그 풀은 藥(약)이다. 萬若(만약) 般若(반야)
4) depiction of a supple young women combing her hair. A seal inscription form transforms the hair element into 艸 grass/plant and adds 口 (an object) below, probab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seal inscription form of 右 → *youth* (←suppleness of youth) → *immature*. The minor meanings of *either/or*, *some ... while others ...*, and *if* are borrowed meanings.
無*없을 무(火-12획, 5급) 无(mó, wú)
1) 無자는 ‘춤출 무’(舞)의 본래 글자였다. ‘춤’(a dance)과 ‘없다’(do not exist)는 뜻의 낱말이 초기 1000년 간 같은 글자로 쓰이다가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舞와 無로 각각 분리 독립되었다. 따라서 無자의 ‘灬’는 ‘불 화’(火)의 변형이 아니고 단순한 구별 부호인 셈이다.
2) 무당이 양손에 무엇인가를 들고 춤을 추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가차되어 '없다'라는 뜻으로 쓰임.
3) 橆-林+灬(火), 본래는 天자의 서북방 획을 굽혀서 无로 썼는데 진한(秦漢)이후로 숲(林)이 무성(無)한 橆(茂) 자의 아래 林을 火로서 태웠으니 ‘없는’ 것이다. 音은 橆(무)에서 왔다. → 无(없을 무)
4) 춤출 무(舞)+불 화(灬) 불(灬)이 춤추듯이(舞) 활활 타올라 물건을 다 태워버리다>없다
5) this character shows a dancing figure with long sleeves that conceal the arms. To an abbreviated form of this character was eventually appended 火 fire →person/object concealed by dense smoke. *Not*, *none* and *un- * are extended meanings (lack presence/existence ← concealed; compare 亡) → *disregard*; *lose*; *be gone*; *be missing*; *run out of*.
출처: https://gotchahanja.tistory.com/entry/중학교-교과서-한자08-hanja-words-in-middle-school-textbook8
중학교 교과서 한자(08) -hanja words in middle school textbook(8)
중학교 교과서 한자(08) - 국어 - 無我之境 (무아지경), 心醉(심취) 無我之境(무아지경):정신이 한 곳으로 완전히 쏠려 자기 자신의 존재를 잊고 있는 경지 無我之 trance: a state in which you are not
gotchahanja.tistory.com
人*사람 인(人-2, 8급) 人(rén)
1) 人자는 ‘사람’(person)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람이 서 있는 자세의 측면 모습을 본뜬 것. 왼쪽 변방으로 쓰일 때의 모양인 ‘亻’이 원형에 더 가깝다. 후에 ‘남’(others) ‘딴 사람’(another person)을 뜻하는 것으로 확대 사용.
2) 丿(남자)+乀(여자), 하늘에서 내려온(丿) 정신과 땅에서 올라온(乀) 육체가 서로 결합된 ‘사람’이다. 사람은 착해(仁)야 하기 때문에 音은 ‘인’이다. 人間(인간) 他人(타인) 人品(인품) 人格(인격) 人民(인민) 爲人(위인). 寅(인), 仁(인), 人은 서로 통한다.
3) 사람이 허리를 굽히고 서 있는 것을 옆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 사람이 허리를 굽히고 서 있는 것을 옆에서 본 모양→사람
4) A depiction of a standing *person* reaching toward another, suggesting people in mutable interaction
출처: https://gotchahanja.tistory.com/entry/초등-교과서-한자-어휘21-Hanja-words-in-elementary-school21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1)-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21)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1) - 동작(動作), 주인공(主人公), 정리(整理) 동작(動作) action, turn, hit 動(움직일 동), 作(지을 작) 움직임을 지음, 어떤 일을 하기 위해서 몸을 움직이는 일. 국
gotchahanja.tistory.com
'사자성어(four words idi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성어(21)-four words idiom(21)-伯 牙 絶 絃 (백아절현) (0) | 2022.11.06 |
---|---|
사자성어(20)-four words idiom(20)-白 駒 過 隙 (백구과극) (1) | 2022.11.05 |
사자성어(17)-four words idiom(17)-螳 螂 拒 轍 (당랑거철) (1) | 2022.10.24 |
사자성어(16)-four words idiom(16)-緣 木 求 魚 (연목구어) (0) | 2022.10.23 |
사자성어(15)-four words idiom(15)-吳 越 同 舟 (오월동주) (0) | 2022.10.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