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1) - 동작(動作), 주인공(主人公), 정리(整理)
동작(動作) action, turn, hit 動(움직일 동), 作(지을 작)
움직임을 지음, 어떤 일을 하기 위해서 몸을 움직이는 일. 국어 1-2 01-011
일어:動作 [どうさ 도우싸], 중어:动作 [dòngzuò 동즈어]
動*움직일 동(力-11, 7급)
1) 힘 력’(力)이 의미 요소. 重(무거울 중)은 원래 童(아이 동)이 변화된 것으로 발음 요소, 董(거둘 동)의 경우도 마찬가지. ‘만들다’(make)가 본뜻인데, 행동하다’(act) ‘움직이다’(move) 등으로 확대 사용.
2) 힘 력(力)+무겁다/겹치다 중(重) 힘(力)을 가하면 무거운(重) 것도 움직인다→움직이다. * 벌레처럼 움직임은 <蠢(준)>
3) 힘 력(力) + [무거울 중(重)→동] 重力(동력-power, energy)의 작용으로서 스스로 움직이니 물건을 ‘움직이는’ 뜻. 音은 重의 변음이다. 벌레처럼 움직임은 蠢(꿈틀거릴준)이다. 動作(동작) 運動(운동)
4) Some power(力) applying to something heavy(重), it will move
作*지을 작(人-7, 7급)
1) 作자가 본래는 ‘乍’(사/작)로 쓰이다가 후에 ‘손 우’(又)가 덧붙여진 것과 ‘사람 인’(亻)이 첨가된 것, 두 가지 형태로 쓰이다가, 앞의 것은 도태되었다. ‘만들다’(make) ‘일으키다’(set up) 등의 의미로 쓰인다.
2) 亻+乍, 乍는 잠깐이란 뜻에서 비로소란 뜻이 되었으니, 사람(亻)이 비로소 무엇을 ‘만드는’ 것이다. 乍의 변음이다. 끊어서 만듦은 製(제)고, 글로서 만듦은 著(저)다. 工作(공작) 著作(저작) 作業(작업)
3) 사람 인(亻=人)+잠깐/짓다 사(乍) 사람(亻=人)이 물건에 어떤 작위를(乍) 가하다→짓다
4) The character “乍,” which signifies a person harvesting with tools, is used to mean “sudden”; by adding the subject person(亻) it reinforces the meaning of to do.
주인공(主人公), protagonist, main character 主(주체 주), 人(사람 인), 公(벼슬 공)
주체가 되는 사람, 연극, 영화, 소설 따위에서 사건의 중심이 되는 인물 국어 1-2 01-011
일어: [主人公:しゅじんこう 슈진코], 主人公 [zhǔréngōng 쥬렌공]
主*주인 주(丶-5, 7급)
1) 主의 본래 글자는 ‘심지’(wick)를 뜻하기 위하여 호롱불의 심지 모양을 본뜬 ‘丶’(주)였다. 후에 받침대 모양이 첨가된 主자로 바뀌어 ‘주인’(owner) ‘주로’(chiefly) 같은 뜻으로 차용되는 예가 많아지자 본래 뜻은 ‘불 화’(火)를 첨가한 炷(심지 주) 자를 따로 만들어 나타냄.
2) 丶+王, 임금(王)은 그 국가의 ‘주인’이기 때문에 점(丶)을 위에 찍은 것이다. 모든 정사를 주동하는 것이니 객체에 대한 주체인 것이다. 音은 ‘丶(주)’이다. 君主(군주) 主人(주인) 地主(지주) 主張(주장) 主宰(주재) 神主(신주) 祭主(제주) 戶主(호주) 主體(주체) 主觀(주관) 公主(공주)
3) 등잔 모양(王) 위에 불꽃(')이 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상형문자. 집의 등잔불을 관리하는 사람이 주인이라서 주인 주(主)자가 됨. 도끼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인 왕(王) 자와 전혀 상관없음.
4)丶# lamplight + a massive lamp stand → lamp stand giving off light (compare 灯). Conceptually, 主 represents a stationary object, leading to the meanings *master*, *owner* and *leader* (←person who remains in a certain place) → *main*; *principal* (← main person ← master; owner; leader). Also, *god* (← master).
人*사람 인(人-2, 8급)
1) 人자는 ‘사람’(person)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람이 서 있는 자세의 측면 모습을 본뜬 것. 왼쪽 변방으로 쓰일 때의 모양인 ‘亻’이 원형에 더 가깝다. 후에 ‘남’(others) ‘딴 사람’(another person)을 뜻하는 것으로 확대 사용.
2) 丿(남자)+乀(여자), 하늘에서 내려온(丿) 정신과 땅에서 올라온(乀) 육체가 서로 결합된 ‘사람’이다. 사람은 착해(仁)야 하기 때문에 音은 ‘인’이다. 人間(인간) 他人(타인) 人品(인품) 人格(인격) 人民(인민) 爲人(위인). 寅(인), 仁(인), 人은 서로 통한다.
3) 사람이 허리를 굽히고 서 있는 것을 옆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 사람이 허리를 굽히고 서 있는 것을 옆에서 본 모양→사람
4) A depiction of a standing *person* reaching toward another, suggesting people in mutable interaction
公*공평할 공(八-4, 6급)
1) 公자는 ‘나누다’는 뜻인 八(分의 원형)과 ‘사사로운’이라는 뜻의 厶(私의 원형)가 합쳐진 것이다. 사적인 것을 나누다, 즉 ‘공평하다’(fair)가 본뜻이다. 후에 ‘드러내다’(make a matter public) ‘관청의 일’(official affairs) ‘여러 사람의’(public) 등도 이것으로 나타냈다.
2) 八(여덟팔,쪼갤팔)+厶(사사로울사), 사사로운 사유물을 여덟 개로 쪼개어 공동으로 소유하거나 사용하다. 韓非子는 “背厶爲公”이라 했으니 사사(厶)를 등진(八)것은 ‘공정’ 한 것이다. 公은 여러 사람과 함께(共) 하니 音은 ‘공’이다. 국가와 민중을 위하는 전체적인 마음은 公한 것이다. 公正(공정) 公共(공공) 公職(공직) 公務員(공무원) 公主(공주) 貴公(귀공)
3) 여덟 팔(八) + 나 사(厶) (八)명의 개인(厶)들이 함께 공동으로 재배하는 곳→공평하다
#정전제: 주나라 초기에 실시된 정책, 정전제란 밭(田)을 9 등분하여, 이중 바깥에 있는 8등분은 8명이 각자 자신들이 경작하여 여기서 나는 농산물을 자신이 가지고, 중앙에 있는 나머지 1등분은 8명이 공동으로 경작하여 국가에 바쳤습니다. 즉, 개인(厶)들이 직접 경작한 벼(禾)는 사(私) 유하고, 나머지 하나는 8(八) 명이 개인(厶)들이 함께 재배하는 곳을 공전(公田 = 八+厶+田)이라 불고, 여기에서 '공평하다'는 의미도 생김.
4) In ancient china rice(禾) which is cultivated by each person(厶) would be privately-own(私) and the field which was cultivated by 8(八)persons called public field.
정리(整理) organize, 整(가지런할 정), 理(다스릴 리)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종합함 국어 1-2 01-012
일어:整理 [せいり 세이리], 중어:整理 [zhěnglǐ 잔리]
整*가지런할 정(束-16획, 4급)
1) 묶을 속(束) + 칠 복(攵) + [바를 정(正)] 묶고(束) 쳐서(攵) 바르게(正) 정리(整理)한다는 의미입니다. tied up the scattered things→organize
2) 束(묶을속)+攵+正, 묶은(束) 나무 끝이 같지 않으니 그것을 쳐서(攵) 다스려(敕) 같게(正) 하는 것이라, 즉 ‘정돈하는-arranging’ 것이다. 音은 正이다. 整理(정리) 整頓(정돈)
3) 묶다 속(束)+두드릴 복(攴=攵)+바르다 정(正) 묶고(束) 두들기고(攴=攵) 바로잡다(正)→가지런하게 하다
4) To tie wood in bundles(束) and tap the ends(攵) so they are easy to carry means to put in order, which is the right(正) thing to do. As bundles of wood become one, it also means ‘whole.’
理*다스릴 리(玉-11획, 6급)
1) ‘(옥을) 다듬다’(refine)는 뜻을 위해 고안된 글자 ‘구슬 옥’(玉→王)이 의미 요소, 里(마을 리)는 발음 요소로 뜻과는 무관. 후에 ‘다스리다’(rule over) ‘이치’(logic) ‘방법’(a method) 등으로 확대 사용.
2) 玉+里, 원래는 ‘옥을 다듬는다’는 뜻이다. 옥을 다듬는 데에는 이치(里)가 있다. 보배(玉) 로운 마을(里)이니, 그곳은 ‘도리와 이치’가 있는 것이다. 王+里, 王(왕) 자로 풀면, 임금(王)이 마을(里)을 ‘다스리는’ 것이다. 倫理(윤리) 道理(도리) 理致(이치) 眞理(진리) 理解(이해)
3) 슬 옥(玉)+마을/주거 리(里) 구슬(玉)을 갈 듯 살기 편하게 마을(里)을 보살피다→다스리다
4) It is only reasonable to refine a defective jade(玉) into a jewel instead of discarding it. “里” is where the character gets its pronunciation.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2)-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22) (0) | 2022.07.10 |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16)- Hanja words in mathematics(16) (0) | 2022.07.07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15)- Hanja words in mathematics(15) (0) | 2022.07.04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20)-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20) (0) | 2022.07.03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14)- Hanja words in mathematics(14) (0) | 2022.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