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外國) 外(바깥 외)-foreign country 國(나라 국)
일어:外国 [がいこく 다이꼬쿠], 중어:外国 [wàiguó 웨이 쿠오]
바깥 나라 자기(自己) 나라 밖의 딴 나라 국어 1-1
外*밖 외(夕-5, 8급)
1) 外자는 저녁 석(夕)과 점 복(卜)이 합쳐진 것으로 저녁 점이 본뜻이다. 저녁에 친 점은 잘 어긋나기 때문인지, 벗어나다(not to hit the mark), 멀다(be far off), 밖(the outside) 등의 뜻도 나타냄.
2) 밖 외(外)는 저녁 석(夕)자 변+점 복(卜), 저녁(夕)에 밖에 나가는 것은 어두움 속에 두려움이 생기기 때문에, 점(卜)을 쳐 보고 방위를 결정하여 나감. 이렇게 해서 밖(外)을 표시하는 글자가 됨. 외무부(外務部) 외신(外信) 외국(外國) 외자(外資) 외치(外治)
3) 주로 아침에 점을 쳤던 옛날에는 저녁 [夕]에 점[卜]을치는 것은 예외적인 일을 가리키게 되었다는 설. 저녁 석(夕)을 달로 보아 달이 비추는 곳을 가리킨다라는 설명도 있음. 실내는 달이 비추지 못하고 밖에서나 달이 비추기에 '바깥, 밖이라는 뜻이 되었다고 함.
外 outside
1) 夕(night)+卜(divination)=divination in the night. Ancient people usually cast a horocopes in the day, so divination in the night is exceptional case. So 外 has meaning of exeception
2) 夕 here a variant form# of 月 (crescent) moon + 卜 divination(점(占), 점을 침) cast horoscopes on the basis of the invisible *outside* portion of the moon (compare 朏) *other* *some/any other place*
*somebody else* *others* *besides*. The sense of "the part other than the portion scooped out" leads to extended meanings such as *take off* *be/come off* *remove* *undo* *take leave*
*evade* *edge* and *outskirts* *miss* (the mark) *be wrong* *failure* *violate*
#cast horoscopes 천궁도를 만들어 별점을 치다.
國*나라 국(囗-11, 8급)
1)國자가 최초에는 或으로 쓰다가 나중에 경계를 의미하는 에운담 구(口)가 보태졌다. 或의 口는 국경, 一은 땅, 戈는 방위 수단을 각각 상징하는 것이라 한다. 或(혹)이 또는(or)이라는 뜻으로 많이 쓰이자 國자를 따로 만들어냈다.
2) 囗+或, 영토(囗)안에서 권력(戈)과 인민(口)을 일(一)체로 한 나라
國 nation
國 is a combination of people(口), land(一), a spear(戈) and a boundary(囗).
或 (enclosed land) + 囗 circular enclosure enclosed area of land *province*
*district* *native land* *land* *country* *state* *nation*. Like 域, 國 was devised to replace 或.
간호사(看護士)-nurse 看(볼 간), 護(보호할 호), 士(선비 사)
일어:看護士 [かんごし 간고시] 중어:护士 [hù‧shi 후쉐]
보고 보호하는 사람 환자(患者)의 간호(看護)에 종사(從事)하는 사람 국어 1-1
看*볼 간(目-9, 4급)
1)看자는 손[手]을 눈[目] 위에다 대고 먼 곳을 바라보는 모습에서 나온 것이다. 햇살이 너무 강하여 눈이 부실 때를 연상하면 쉽게 이해가 된다. 바라보다(look out over) 돌봐주다(look after)는 뜻으로 쓰인다.
2) 볼 관(觀) 자는 황새 관(雚) 자에 볼 견(見) 자 더해 볼 간(看) 자보 다는 더욱 관심 있게 보는 것을 뜻함. 주마간산(走馬看山)이라면 달리는 말을 타고 산천경개를 대충 본다는 뜻이지만 관광(觀光)이라면 관심(觀心)을 가지고 살펴보는 것을 의미. 간호(看護) 간과(看過) 간취(看取) 간파(看破) 간수(看守) 간병(看病) 간판(看板)
看 see, watch
手 hand + 目, here an abbreviated form# of 見 fix sight upon hand affixed above the eye to shade it and improve focus *see* *watch*
To put a hand(手) above an eye(目) to look at something closely.
#fix one's sight upon(~에서 눈을 떼지 않다, 응시하다)
護*돌볼 호(言-21, 5급)
1)護자의 본래 의미는 (말이나 행동거지를) 감시하다(observe)는 것이었기에 말씀 언(言)이 의미 요소로 쓰였다. 오른쪽의 것이 발음요소였음은 濩(퍼질 호)도 마찬가지다. 돌보다(care for) 지키다(protect)는 뜻으로도 쓰인다.
2) 외인의 눈치를 재(隻 척) 보고 말(言)로써 보호하는 것이다.
護 protect
A variant form# of 矍 (enclose in the hands) + 言 words figuratively enclose another person in verbal protection *defend/protect*.
enclose in the hands(손으로 에워싸다), figuratively(비유적으로)
환자(患者)-patient 患(근심 환) 者(사람 자)
일어: 患者 [かんじゃ 칸지아], 중어:患者 [huànzhě 후안즈어]
근심이 있는 사람 병을 앓는 사람 국어 1-1
患*근심 환(心-11, 6급)
1) 患자는 근심(anxiety worry)이 본뜻이다. 모든 근심은 마음에서 비롯되므로 마음 심(心)이 의미 요소로 쓰였다. 串(익힐 관)은 발음 요소다. 걱정하다(worry) 병을 앓다(fall ill) 등으로도 쓰인다.
2) 꿰미[串-천]로 심장[心]을 꿰는 듯한 것, 자소자인 천(串)은 뚫을 곤( I ) 부에 들어 있는데, 고깃점 두 개[吕]를 꿰미 [ ᅵ]로 꿴 것,
3) 串(버릇 관)+心(마음심), 마음(心)의 버릇(串) 때문에 고민하는 걱정
患 anxiety
串 #pierce + 心 heart/emotions *worry* *suffer* (&larr heart that is figuratively pierced) (be)*ill* *trouble*.
every worry come from heart, 串 has meaning of habbit(串), so you can translate it as anxiety caused by a habbit in your mind(心).
者*놈 자(耂-9, 6급)
1) 놈 자(者)자는 늙을 로(老) 자 아래에 가로 왈(曰) 자를 한 것처럼 보이지마는 여기서는 늙을 로(老) 자가 아니라, 쌀 미(米) 자의 변형. 쌀 미(米) 자와 가로 왈(曰) 자를 합하여 쌀을 먹는 사람이라는 뜻이 됨. 도자(道者) 선자(善者) 선자(選者) 당선자(當選者) 비자(非者)
2) 다른 글자 뒤에 자(者) 자를 붙여 하나의 사물을 이르는 것을 말함. 요즈음 어휘로 설명한다면, 것,바와 같은 불완전 명사로서 다른 말과 결합해 시물을 가리키는 명사 역할
者 person -ist, -er
A depiction of brushwood/firewood piled on a stove. However, 者 was borrowed for use as a demonstrative pronoun, later evolving in meaning to the sense of "the one who does this"
*person*. The present form of 者 and certain derivative characters of 者 eliminate a diagonal stroke above 日, such as is retained for example in 堵, 屠 or 奢.
#diagonal(사선의)
This is used as a suffix meaning -ist or -er, i.e. the person doing something.
생활(生活)-living 生(살 생), 活(살 활) 일어: 生活 [せいかつ 세이 까쯔] 중어:生活 [shēnghuó 셩후어]
살아 감 살아서 활동(活動)함. 생계(生計)를 유지(維持)하여 살아나감 국어 1-1
生*날 생(生-5, 8급)
1) 生자는 돋아나다(sprout)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땅거죽을 뚫고 갓 돋아 난 새싹 모양을 그린 것. 생명이 태어나는 것을 풀이 돋아나는 것에 비유하였기에 태어나다(be born) 살다(live) 등으로도 쓰였다.
2) 土(흙토)+屮(싹철)의 변형자, 땅(土)에서 싹(屮)이 나는 것이다. 나서는 살아가 니 살아 있는 날것이란 뜻도 된다. 生命(생명) 生産(생산) 生活(생활) 生命(생명) 生育(생육) 生長(생장) 生疎(생소) 生鮮(생선) 生氣(생기)
生 be born life
New sprouts(屮) start growing above ground(土) &ndash representing birth and life.
The relevant seal inscription form is an abbreviated form# of 艸 grass/plant + 土 earth fresh, slender grass shoots *birth* *life* *new* *fresh* *sprout* *raw* *alive* *by nature*
*youth* *unripe* *pure* *bear fruit* *spare a life* *bring back to life* *make use of* *make a living* *be/remain valid* *arrange flowers/plants* *grow* *undiluted*.
活*살 활(水-9, 7급)
1) 活자는 물이 흐르는 소리(the sound of stream)를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니 물 수(氵)가 의미 요소로 쓰였고, 舌(혀 설)이 발음요소였음은 姡(교활할 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생동(liveliness) 활발(lively) 등으로도 쓰인다.
2) 氵+舌, 물(氵)과 혀(舌)처럼 시간적으로 흐르고 공간적으로 움직이는 것은 살아 있음이다. 무생물에는 시간이 없고 움직이지 못한다.
活
1) 舌# (chisel-like implement in motion) + 水 water break a container with a chisel-like implement, creating an active flow of the liquid contents *activity* *life*.
#chisel-like implement in motion(끌처럼 움직이는 기구)
2) When a persons tongue(舌) is moist with water(氵), it means one is healthy and alive. Because it means that one can move actively, it also came to mean work.
자신(自信)-onself 自(스스로 자), 信(믿을 신)
일어: 自信 [じしん 지싱], 중어: 自信 [zìxìn 쯔신]
스스로 믿음 자기(自己)의 능력(能力)이나 가치(價値)를 확신(確信)함 국어 1-1
自*스스로 자(自-6, 7급)
自자는 코 모양을 본뜬 것이니 원래에는 코(nose)를 일컫는 말이었다(참고, 臭 냄새 취, 息 숨 쉴 식). 후에 이것이 1인칭 대명사(I, my, me)로 쓰이는 경우가 많아지자, 코는 (鼻) 자가 따로 만들어 나타냈다. 자기(oneself) 스스로(personally) ~부터(from) 등으로도 쓰인다.
自
A depiction of a nose. Conceptually, the character suggests slender streams of breath passing through the nostrils (compare 四) of a stumpy nose. *Self* is an extended meaning (&larr point toward one's nose to indicate self) *by/for oneself* *originally* *from*.
Korean point out their heart when they indicate themselves, but wester or chinese tends to their nose, so meaning of 自 extended to oneself.
信*믿을 신(人-9, 7급)
1) 信자는 성실하다(truthful)는 뜻을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 사람 인(人)과 말씀 언(言)이 조합되어 있다. 성실한 사람은 믿을 수 있으니 믿다(give credit to)는 뜻도 따로 글자를 만들지 아니하고 이것으로 나타냈다.
2)人+言, 사람(亻)의 말(言)을 믿는것
신구(信口)는 말을 할 때에 신중히 생각하지 아니하고 입에서 나오는 대로 함부로 하는 것을 이릅니다. 글자 그대로 입만 믿고 지껄이는 것
信 trust
人 person + 言# words person speaking sincerely/truthfully *truth* *sincerity* *belief* *trust*.
believe letter Anything a person(亻) says(言) must be trustworthy. A letter, which is a persons(亻) written word (言) must also mean what it says.
산신령(山神靈) 山(산 산),神(귀신 신), 靈(신령 령)
일본어: 山霊 [さんれい 산례] 중국어:山神灵 [shānshénlíng 산쉔리엥]
산의 귀신(신령) 산을 맡아 수호(守護)하고 있다는 신령(神靈) 국어 1-1
山 (메 산)
메 산<山>은 이어진 산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부수로 쓰여 산과 관련된 내용을 나타냄.
땅 위의 산 꼴. 지평선 위로 솟아 있는 세 개의 봉우리를 상형한 것. 산에서는 초목 금수와 금은 동철을 생산(生産) 하니 音(음)은 산이다. 山이 솟은 것은 峰(봉)이고, 벗어 간 등은 岡(산등성이 강)이다. -山林(산림) 山神(산신) 山寺(산사) 山所(산소)
山(mountain)
A depiction of a *mountain* with sharp ridges in close proximity *mound* *heap*. *Temple* and *mine* are on account of such facilities often being situated in mountains.
*situate(위치시키다)
神*귀신 신(示-10, 6급)
신(神)은 천신(天神)으로 만사와 만물을 만들어내는 [申] 신. 번개를 나타내는 신(申) 자에 뜻을 나타내는 편방 시(示)를 더한 것. 신(申)+비 우(雨)= 우레 뢰(雷),신(申)과 보일 시(示)를 더한 귀신 신(神)이 실은 한 글자인데, 후에 편방을 더해 뜻이 분화된 것으로 보임. 신이 나 신선을 나타내고, 사람이 죽은 뒤의 영혼을 뜻하기도 함.
神 God supernatural spirit
show 礻=示 [shì] + lightning/explain 申[shēn]
This character means god, supernatural because lightning(申) was considered a sign from the gods(礻) and was feared. It also means spirit because gods are invisible and so are souls.
靈*혼령 령(雨-24, 3급)
1) 靈자는 비 우(비)가 부수이지만, 의미요소는 아니다. 즉 비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巫(무당 무)가 의미 요소이고, 霝(비올 령)은 발음 요소다. 원래에는 玉(옥)으로 쓰다가 후에 巫로 대체되었다. (옥으로 신을) 섬기다(be devoted)가 본뜻이며, 혼령(the spirit) 등의 단어에 사용됐다.
2) 霝(비올령,떨어질령,착할령)+巫, 하늘에서 비(雨)처럼 내리는 여러 소리(口)를 무당(巫)이 감응하는 신령이다. 靈의 근원은 神(신)이다. 神靈(신령) 靈魂(영혼)
3)[巫](무당 무) 무당이 옥으로 신을 불러 비가 내리기를 [編] 비는 것입니다. 거기에서 무당이 가진 것으로 여겨지는 신령한 기운. 무당은 주로 여자들입니다. 남자는 박수라고 합니다. 박수무당(X)박수
영감(靈感): 신령스러운 예감이나 느낌, 영혼(靈魂): 죽은 이의 혼을 높여 이르는 말입니다. 영묘(靈妙): 신령스럽고 기묘한 것을 이릅니다.
靈 spirit
霝 (linked) + 巫 sorcery medium invoking a procession of spirits *spirit* *soul*.
To offer to heaven certain dances (巫) in order to get rain (雨). The phonetic 𠱠(líng) is placed in the middle << spiritualmysterioussupernatural power or effect, transcendent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6)-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6) (0) | 2022.05.15 |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5)-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5) (0) | 2022.05.14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3)-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3) (0) | 2022.05.09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2)-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2) (0) | 2022.05.09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1)-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1) (0) | 2022.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