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60) - 박수(拍手), 열차(列車)
박수(拍手) applause;clapping;ovation, 拍(칠 박), 手(손 수)
일어: 拍手 [はくしゅ 하끄슈] , 중어: 拍手[ pāi//shǒu 파이쇼우]
손을 침, 기쁨, 찬성(贊成), 환영(歡迎)을 나타내거나 장단(長短)을 맞추거나 할 때 두 손뼉을 마주 두드림. 수학, 2-2 01-027
拍*칠 박(手-8, 4급) 拍(pāi, pò)
1) 拍자는 ‘손뼉치다’(clap one’s hands)는 뜻을 위해서 고안된 글자 ‘손 수’(手)가 의미. 白(흰 백)이 발음 → 舶(큰 배 박), 迫(닥칠 박). ‘치다’(beat) ‘두드리다’(pat) 등으로도 쓰인다.
2) 손 수(扌) + [흰 백(白)→박] 손(扌)으로 ‘치는’ 것이다. 白의 변음이다. 사람이 흥이 나면 노래하고 노래하면 손(扌)벽(白)치니 노래의 장단을 맞추는 拍子(beat)가 된다. 拍手(박수) 拍掌(박장) 拍子(박자)
3) 손 수(扌=手)+희다 백(白); 손바닥(扌=手)이 하얗게(白) 되도록 치다>손벽치다
4) 白 # (scatter) + 手 hand/action indicator → cause the hands to join then scatter in clapping→ *clap* → *beat time*.
手*손 수(手-4, 7급) 手,扌(shǒu)
1) 手자는 ‘손’(a hand)을 나타내기 위해서 다섯 손가락과 손목의 모양을 본뜬 것인데, ‘손수’(in person) ‘(솜씨가 능숙한) 사람’(a man)을 가리키는 것으로도 쓰인다.
2) 다섯 손가락의 손을 상형. 다른 자의 위에 쓸 때는 爫(爪), 중간에 쓸 때는 ⺕, 옆에 쓸 때는 扌, 밑에 쓸 때는 又이다. 물건을 쥐고 있는 ‘손’이니 그 물건을 잃지 않고 지키(守수)는 것이기 때문에 音은 ‘수’이다. 또는 殳(칠수)와 통한다. 손을 말아 쥔 것은 拳(권)이고 손의 위(尙)중심은 掌(장)이고 손(扌) 가락(旨)은 指(지)이다. 手足(수족) 手工(수공) 手法(수법)
3) A depiction of a *hand* showing the five fingers in a curved, gripping position. Extended meanings include *arm*; *paw*; *foreleg*; *a handle*; *helper*; *a means*; *technique*; (in board games) *a move*; *a type*; *a direction*; and *handwriting*.
열차(列車) train, 列(벌일 렬), 車(수레 차)
일어: 列車[れっしゃ-리쌰], 중어: 列车[ lièchē 리에츠어]
벌인 수레 기관차(機關車)에 객차(客車)ㆍ화차(貨車) 등(等)을 연결(連結)하고 운전(運轉) 장치(裝置)를 설비(設備)한 차량. 수학, 2-2 04-068
列*벌일 렬(刀-6, 5급) 列[liè]
1) 列자는 ‘(칼로 뼈와 살을) 분리하다’(separat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칼 도’(刀)가 의미 왼쪽 것(歹)도 의미, 이것은 뼈와 살을 가르는 모양이 변화된 것. 후에 ‘늘어진 줄’(row) ‘순서를 매기다’(order) ‘진열하다’ (display) 등으로 확대 사용.
2) 칼 도(刂) + 부셔진 뼈 알(歹) 벌일 렬(列)자는 죽은(歹) 짐승이나 가축에서 뼈와 살을 칼(刀/刂)로 갈라서 벌여(列) 놓는다는 데에서 유래하는 글자. 나열(羅列)은 죽 벌여 놓는다는 뜻.
3) 歹(뼈앙상할알)+刂(刀), 고기를 끊어(刂)서 뼈를 발라(歹) ‘벌려 놓으니’ ‘줄’이 생긴 것. 音은 歹의 변음이다. 가로줄은 列이고, 세로줄은 行(항)이다. 羅列(나열) 列擧(열거) 列島(열도) 行列(항렬) 竝列(병렬) 直列(직렬)
4) From 刀 (knife) > 刂 and the phonetic 歹: to divide; to arrange; to place according to rank or rule.
5) 歹 # severed bone/death + 刀 sword/knife → sever bones and arrange them in a row → *row* → *companion*; *attend*; *lots of*.
車*수레 차/거(車-7, 7급) 車(chē, jū)
1) 차(車)는 위에서 수레(carriage)를 본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글자 중앙에 있는 日자는 몸체를, 위아래에 있는 一은 바퀴를, 중앙의 ㅣ는 바퀴 축을 나타냅니다. 수레는 전쟁에서 강력한 무기와 수송 수단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차(車)자는 대부분 전쟁에 관련되는 글자에 사용.
2) 수레 꼴. 行次(행차)하는데 타는 것이니 音은 ‘차’고 또 가는(去거)데 타는 것이니 音은 ‘거’이다. 人力車(인력거) 自轉車(자전거)/ 自動車(자동차)
3) Wheels (二) and body (日) of an ancient carriage
4) A depiction of the frame of a *vehicle* with dual seats → *wheel*; *wheel-shaped object*; *automobile*.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61)-Hanja in mathematics(61) (0) | 2023.04.18 |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66)-Hanja in elementary school(66) (1) | 2023.04.10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65)-Hanja in elementary school(65) (0) | 2023.04.03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9)-Hanja in mathematics(59) (0) | 2023.03.28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64)-Hanja in elementary school(64) (1) | 2023.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