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9) - 승합차(乘合車), 야영(野營)
승합차(乘合車) van, 乘(탈 승), 合(합할 합), 車(수레 차)
일어: 乘合車[ワゴンしゃ-와곤샤], 중어: 旅行车[ lǚxíngchē 뤼신츠어]
타고 합해진 차, 주로 일곱 명 이상(以上)을 운송(運送)하기에 알맞게 만들어진 자동차
수학, 2-2 01-015
乘*탈 승(丿-10, 3급) 乘(chéng, shèng)
1) 乘자의 갑골문은 사람이 나무 위에 올라가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 야수나 홍수를 피해 나무 위에 올라가 생활하던 원시 시대 巢居(소거) 문화의 한 단면이 엿보이는 글자다. ‘올라가다’(climb; rise)가 본래 의미이고, ‘타다’(ride) 등으로도 확대 사용.
2) 삐침 별(丿) + 나무 목(木) + 북녘 북(北) 나무(木)의 가지에 사람들이 올라가 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차에 올라 타는 것을 승차(乘車)라고 합니다. 어그러질 괴(乖) 혹은 떨어질 괴(乖)자는 탈 승(乘)에서 사람들이 올라가 앉아 있었던 나무가지가 어그러져, 땅에 떨어진 모습
3) ①禾(벼화)+北 ②亻+北+木, 사람(亻)이 두발(北)로서 딛고서 나무(木)위를 올라가서는 ‘타는’ 것이다. 音은 승(昇)으로 통한다. 올라탐은 乘이고, 올라옴은 昇(승)이다. 乘車(승차) 乘馬(승마) 自乘(자승) 乘用車(승용차) 大乘(대승)
4) 삐칠 별(丿)+나무 목(木)+북녁/등지다 북(北); 두 사람이 나무(木)위를 오르기 위해 등지고(北) 나무옹이(丿)를 딛고 올라가다>오르다
5) this character shows a person atop a tree → help a person climb a tree (compare 丞) → *mount*; *ride* (← clamber atop) → *help someone get on* (a conveyance);
*get into/take* (a bus/train etc.); → *give someone a lift*; *convey*. Also, *multiply* (← place atop), *take part* (← get on a vehicle with others) and *deceive* (compare English "take someone for a ride").
合*합할 합(口-6, 6급) 合(gě, hé)
1) 合자는 뚜껑이 덮여진 그릇 모양을 본뜬 것 ‘그릇’(a vessel)이 본래 의미, 후에 이것이 ‘합치다’(join together) ‘모으다’(combine) 등으로 확대 사용되는 예가 많아지자, 그 본래 뜻은 盒(합) 자를 따로 만들어 나타냄,
2) 입 구(口)자처럼 생긴 그릇 위에 밥뚜껑(△)을 덮어 서로 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상형문자
3) 亼(모일집)+口, 여러 말(口)이 모여서(亼) 서로 일치해서 ‘합하는’ 것이다. 盍(합)은 뚜껑을 그릇에 합하는 것 같으니 音은 ‘합’이다. 합해서 일체로 되는 것은 和(화)이다. 合成(합성)
4) Union, agreement, harmony. From 亼 (union) and 口 (mouth, or mouths).
5) 口 # (cavity → open container) + an abbreviated form of 今 (contain) → press/fit together a lid on a container, containing objects inside → *fit*; *join*; *put together*;
車*수레 차/거(車-7, 7급) 車(chē, jū)
1) 차(車)는 위에서 수레(carriage)를 본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글자 중앙에 있는 日자는 몸체를, 위아래에 있는 一은 바퀴를, 중앙의 ㅣ는 바퀴 축을 나타냅니다. 수레는 전쟁에서 강력한 무기와 수송 수단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차(車)자는 대부분 전쟁에 관련되는 글자에 사용.
2) 수레 꼴. 行次(행차)하는데 타는 것이니 音은 ‘차’고 또 가는(去거)데 타는 것이니 音은 ‘거’이다. 人力車(인력거) 自轉車(자전거)/ 自動車(자동차)
3) Wheels (二) and body (日) of an ancient carriage
4) A depiction of the frame of a *vehicle* with dual seats → *wheel*; *wheel-shaped object*; *automobile*.
야영(野營) camping, 野(들 야), 營(경영할 영)
일어: 野営 [やえい 야에], 중어: 野营[yěyíng 예이응]
들에서 경영함, 들에 천막을 쳐 놓고 훈련(訓鍊)이나 휴양을 하는 생활(生活)
수학, 2-2 01-016
野*들 야(里-11, 6급) 野 [yě 예~에], [野: の 노, や 야]
1) 野자는 본래 ‘埜’(야)로 쓰다가 약 2000년 전에 지금의 것으로 바뀌었다. ‘마을 리’(里)란 의미요소 발음요소 予(나 여)로 구성, ‘수풀 림’(林)과 ‘흙 토’(土)란 두 의미요소로 구성된 埜가 ‘들’(field)이란 뜻과 잘 연결 됨.
2) 마을 리(里) + [나/줄 여(予)→야] 상형문자를 보면 땅(土) 위에 숲(林)이 있는 모습. 즉 들이란 숲이 있는 땅. 그러나 나중에 수풀 림(林)자의 모습이 밭 전(田)자로 바뀌어 마을 리(里)자가 되고, 여기에 소리를 나타내는 나 여(予)자가 붙어 현재의 들 야(野)자가 됨.
3) 里+予, 마을(里)에서 나(予)에게 혜택을 넉넉히 주는 ‘들’. 野山(야산)
4) 밭 전(田)+흙/땅 토(土)+주다 여(予) 사람에게 곡식을 공급하여 주는(予) 곡식을 키우는 논(土)과 밭(田)>들
5) 予 # (stretch) + 里 (long strip of land) → long stretch of fields → *field* → *plain*;*sphere*; *out of power/outside of government*; *countrified*; *rustic*; *rough/crude*; *baseball field*.
營*진영 영(火-17, 4급) 营(yíng)
1) 營자는 밤이면 경비를 위해서 등불[熒-등불 형-의 생략형]을 환하게 밝혀 놓은 궁궐[宮․궁]같은 집이 있는 곳, 즉 ‘군대가 주둔 한 곳’(military camp)을 가리킨다. 후에 ‘짓다’(build) ‘꾀하다’(devise) ‘맡다’(be in charge of)는 뜻도 이것으로 나타냈다.
2) 집 궁(宮) + [등불 형(熒)→영] 궁(宮)에서 등불(熒)을 밝혀가며 열심히 일을 하면서 국가를 경영하는데에서 유래한 글자
3) 영화스러운(熒) 궁전(宮)을 ‘경영하는’ 것이다. 音은 熒(형)의 변음이다. 영업(營業), 영양(營養), 진영(陣營) 등의 뜻이 있다. 經營(경영) 營利(영리) 陣營(진영)
4) 음률/등뼈 려(呂)+빛날 형(熒의 획 생략); 등뼈(呂) 같은 큰 기둥을 세워 화려하게(熒) 집을 짓다>짓다
5) 𤇾 # as described in 榮 (curve about) + an abbreviated form of 官 (wrapped about/enclosed)→ circular military encampment (compare 軍), illuminated by torchlight (compare the idea of illumination in 螢) → *camp*; *barracks* → *conduct* (business); *perform*; *build* (← set up camp).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60)-Hanja in mathematics(60) (1) | 2023.04.04 |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65)-Hanja in elementary school(65) (0) | 2023.04.03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64)-Hanja in elementary school(64) (1) | 2023.03.27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8)-Hanja in mathematics(58) (0) | 2023.03.21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63)-Hanja in elementary school(63) (1) | 2023.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