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3) - 방학(放學), 봉지(封紙)
방학(放學) vacation, 放(놓을 방), 學(배울 학)
일어: 放学 [ほうがく 호가꾸], 중어: 放学 [ fàng//xué 뽱쒸에 ]
배움을 놓음, 학교에서 한 학기를 마치고 나서 한동안 수업을 쉬는 일. 수학, 2-1 07-106
放*놓을 방(攴-8, 6급)
1) 放자는 ‘내치다’(keep a person away)가 본뜻, ‘칠 복’(攴=攵)이 부수이자 의미, 方(모 방)은 발음. ‘내쫓다’(expel) ‘내놓다’(take out) ‘내버리다’(throw away) 등으로 확대 사용.
2) 칠 복(攵) + [모 방(方)] 方은 ‘두 척의 배를 묶은 모양’이다. 따라서 묶여 있는 두 척의 배(方)를 치면(攵) 떨어져 나가는 것.
3) 수면을 돌로 치(攵)면 사방(方)으로 그 파문이 나가는처럼 ‘내처 가는’ 것이다. 공간을 넓히는 것은 擴(확)이다. 放出(방출) 放送(방송) 放漫(방만) 放射線(방사선)
4) 方 # (spread) + 攵 (strike) → strike an object, causing pieces to spread/*scatter* in all directions → *release*; *set free* → *reach*; *fire* (a gun); *expel*; *leave up to*.
學*배울 학(子-16, 8급) 学(xué)
1) 學자가 원래 ‘아이 자’(子)가 없는 것이었다. 새끼를 꼬아 지붕을 얽는 모습을 그린 것이라 한다. 후에 아이들도 그 일을 배워야 했기에 ‘子’가 첨가되었다. ‘배우다’(learn)가 본뜻이고, ‘학문’(learning) ‘학설’(theory) ‘지식’(knowledge) 등으로 확대.
2) 臼+爻+子(아들자), 아이(子)가 양손으로 산가지(爻)를 움키(𦥯)고 ‘배우는’ 것이다. 爻+臼(양손)+冖+子, 아직은 덮어(冖)진 환경에서 마음이 어린 아이(子)가 두손(臼)을 들어서 좋은 본을 받아(爻)드림이니, 즉 가르침을 ‘배우는’ 것이다. 音은 효(爻점괘 효)의 변음이다. 學問(학문) 學校(학교) 學者(학자)
3) 아뢰다/고하다 곡(𦥯)(嚳의 획 생략)+아들 자(子) 스승이 고하는 것(嚳)을 아이들(子)이 배우다→배우다
4) 𦥯 # is 爻 (obtain knowledge) + an element combining a pair of hands(臼) and 冖 a cover (→ covered building) → covered place of instruction where another is stimulated to obtain knowledge (compare 校). 學 adds 子 child → place where an instructor stimulates pupils to acquire knowledge (compare 敎) → *school* → *study*; *learn*.
5) The upper part of The traditional character(學) is “学,” with three dots(⺍), a pair of hands(⺽) and a knot(㐅). The boy(子) learns from watching men cover a roof(冖) with bundles(㐅) of hay using their hands(⺽).
봉지(封紙) bag sack, 封(봉할 봉), 紙(종이 지)
일어:紙袋 [かみぶくろ 가미부끄로], 중어: 纸袋[zhǐdài 쥐 따이]
종이를 봉함, 종이 또는 비닐로 만든 그리 크지 않게 만든 주머니. 수학, 2-1 01-007
封*봉할 봉(寸-9, 3급)
1) 封자가 원래는 나무[木]를 손[又]으로 집어 땅[土]에 심어 경계선으로 삼는 것이었다. 土와 木이 圭(규)로, 又가 寸(촌)으로 각각 잘못 바뀌었다. ‘(땅의) 경계’(border)가 본래 의미 ‘(제후에게 땅을) 나누어주다’(invest) ‘봉하다’(confer a peerage) 등으로 확대 사용.
2) 마디 촌(寸) + 서옥/쌍토 규(圭) 봉할 봉(封)자는 손(寸)으로 흙(土)에 나무(木→土)를 심는 모습. 고대 중국에서는 경계로 삼기 위해 나무를 심었고, 그래서 땅의 경계라는 의미를 가진 봉(封)자는, 이후 경계로 만들어진 토지를 주어 제후로 봉한다는 의미가 추가.
3) 土(之의변형)+土+寸, 옛적에 천자가 제후에게 영토(土)를 주면서 그에게(之) 법도(寸)있게 다스리라고 封하던 것이다. 지금은 편지를 ‘봉하는’ 뜻으로 쓴다. 封書(봉서) 封套(봉투) 封合(봉합) 封墳(봉분) 封建(봉건) (봉토의 크기는 公侯는 백리, 伯은 칠십리, 子男은 오십리이다.)
4) 홀 규(圭)+마디/다스리다 촌(寸), 2.흙 토(土)+흙 토(土)+마디 촌(寸); 황제가 홀(圭)을 주어 다스리게(寸) 하다>봉하다, 흙(土)을 쌓아 경계를 만들어 제후에게 다스리게(寸) 하다>봉하다
5) 寸 here an abbreviated form of 付 (set in place) + 圭# (cone-shaped) → conical object set in place
→ *mound*; *tomb*; *confine* → *fief* (← place where a lord declares his sovereignty over a territory; compare 邦). *Seal* is a borrowed meaning.
紙*종이 지(糸-10, 7급)
1) 紙자는 ‘종이’(paper)를 뜻하기 위해 만들어진 글자. 종이가 발견되기 전에는 실로 짠 비단에 썼기에 ‘실 사’(糸)가 의미, 氏(씨)가 발음, 坁(머무를지)도 마찬가지. ‘종이’ 말고 다른 뜻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2) 糸+氏, 실(糸)의 종류(氏)니 즉 섬유질로서 만든 ‘종이’다. 音은 氏의 변음이다. 用紙(용지) 韓紙(한지) 紙匣(지갑)
3) 실/끈 사(糸)+각시/나무뿌리 씨(氏), 가는 실(糸)이나 나무뿌리(氏)같은 섬유질을 가공하여 만든 편편한 물품→종이
4) 氏# (flat) + 糸 thread → combed fibers pulled together and flattened into *paper* → *newspaper*.
5) It is a kind(氏) of thread(糸). Flat object which is prcessed with root(氏) or thread(糸)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4)-Hanja in mathematics(54) (1) | 2023.02.14 |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9)-Hanja in elementary school(59) (0) | 2023.02.13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8)-Hanja in elementary school(58) (0) | 2023.02.06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2)-Hanja in mathematics(52) (2) | 2023.01.31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7)-Hanja in elementary school(57) (2) | 2023.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