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우(境遇) case, 境(상태 경), 遇(만날 우)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2) - 경우(境遇), 시작(始作)
경우(境遇) case, 境(상태 경), 遇(만날 우)
일어: [境遇: きょうぐう 쿄그], 중어: 境遇 [jìngyù 찡유]
상태를 만남, 놓여 있는 상황이나 놓이게 되는 형편. 수학, 2-1 06-096
境*지경 경(土-14, 5급)
1) 境자는 ‘흙 토’(土)가 의미, 竟(경)은 발음. ‘(땅의) 경계’(boundary)란 본뜻이 변함없이 그대로 쓰이고 있다.
2) 흙 토(土) + [다할/마침내 경(竟)] 땅(土)이 끝나거나 마치는(竟) 경계를 지경(地境)이라 함.
3) 땅(土)이 마치는(竟) 곳은 즉 ‘지경’이다. 땅이 그친 지경은 境이고, 땅의 평면 지경은 界(계)고, 구획지운 지경은 域(역)이다. 境界(경계) 境遇(경우)
4) 竟# (border) + 土 earth (for emphasis/clarification) → *border*; *boundary* → *area*.
Also, *circumstances* (← situation in which one is fixed ← fixed border).
遇*만날/당할 우(辶-13, 4급)
1) 遇자는 길을 가다 우연히 ‘만나다’(come across)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글자, ‘길갈 착’(辶)이 의미, 禺(원숭이 우) 발음 → 寓(머무를 우), 偶(짝 우) ‘대접하다’(receive)는 뜻으로도 쓰인다.
2) 갈 착(辶) + [원숭이 우(禺)] 禺는 偶의 약자니 우연(偶然)히 가(辶)다가 ‘만나는’ 것이다. 서로 가다가 만난 것은 逢(봉)이고, 좋지 못한 일을 만난 것은 遭(만날 조)다. 遭遇(조우) 待遇(대우)
3) 쉬엄쉬엄 갈 착(辶=辵)+원숭이/구역 우(禺) 쉬엄쉬엄 가서(辶=辵) 구역(禺)에서 우연히 만나다>우연히 만나다
4) 禺 # (curve) + 辵 movement → two persons who form a pair as they *meet* at a bend in a road. meet by
chance.
시작(始作) beginning (of), 始(처음 시), 作(지을 작)
일어:始める [はじ・める 하지・메루], 중어:开始 [kāishǐ 카이쉬]
처음 지음, 처음으로 함. 수학, 2-1 07-105
始*비로소 시(女-8, 6급)
1) 女 + [나 이(台)→시] 여(女)자에서 내(台)가 난 데서 이 세상 모든 일은 ‘비롯된-begin’ 것이다. 音은 台(이)의 변음이다. 비로소 여는 것은 肇(조), 비로소 만드는 것은 創(창)이다. 始作(시작) 始發(시발) 始原(시원)
2) 계집 녀(女)+기르다/나 이(台) 여자(女)가 뱃속에서 아이를 기르는(台) 일이 생명의 처럼이다>처음
3) ‘비로소’ 시(始)는 여자가 아이를 갖는 것[胎], 아이는 장차 크게 되니 비로소 한 생명이 시작(始作).
4) 台 # (heavy downward pressure) + 女 woman → fetus hanging heavily in the womb → *begin*; *start* (← pregnancy as the origin of life).
作*지을 작(人-7, 6급)
1) 作자가 본래는 ‘乍’(사/작)로 쓰이다가 ‘사람 인’(亻)이 첨가된 것, 만들다’(make) ‘일으키다’(set up) 등의 의미로 쓰임.
2) 사람 인(亻) + [지을 작(乍)] 지을 작(乍)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칼 붙이로 나무 따위를 패어 V자 모양의 자국을 내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3) 옷깃의 상형이라고도 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만든다", "짓는다"라는 의미가 만들어 졌고, 나중에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사람 인(亻)자가 추가 되어 지을 작(作)자가 됨.
4) 乍는 잠깐이란 뜻에서 비로소란 뜻이 되었으니, 사람(亻)이 비로소 무엇을 ‘만드는’ 것이다. 乍의 변음이다. 끊어서 만듦은 製(제)고, 글로서 만듦은 著(저)다. 工作(공작) 著作(저작) 作業(작업)
5) 乍 # (create a pile): → *work*, in the form of making a pile by chopping/cutting → *make*; *craft*; *change into*; *crop*. Compare 似. Here, 人 has no semantic function, being used simply to create a derivative character conveying meanings that dropped from the original one.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3)-Hanja in mathematics(53) (0) | 2023.02.07 |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8)-Hanja in elementary school(58) (0) | 2023.02.06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7)-Hanja in elementary school(57) (2) | 2023.01.30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51)-Hanja in mathematics(51) (2) | 2023.01.24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6)-Hanja in elementary school(56) (1) | 2023.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