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48) - 도형(圖形), 사각형(四角形)
도형(圖形) figure diagram, 圖(그림 도), 形(모형 형)
일어: [図形: ずけい 즈께이], 중어:图形 [túxíng 투싱]
모형 그림 그림의 면ㆍ선ㆍ점 등이 모여서 이루어진 삼각형ㆍ사각형ㆍ구ㆍ원 모양.수학, 2-1 03-038
圖*그림 도(囗-14, 7급)
1) 圖자의 ‘큰 입 구’(口)는 국토의 경계를 나타내고, 그 안에 있는 啚(비)는 ‘행정구획’을 의미하는 鄙(비) 자의 본래 글자이다. ‘(나라의) 지도’(map)가 본뜻인데, ‘그림’(diagram) ‘꾀하다’(planning) ‘강구하다’(devise a plan) 등으로도 쓰인다.
2) (설문)啚+囗(에울위), 啚는 ‘어렵다’는 뜻이고, 囗은 구획이다. 구획 짓기 어려우므로 ‘그림’을 ‘그려서’ 쉽게 하는 것이다.
3) 囗(에울위)+口(입구)+㐭 , 일정한 지면(囗)에 쌀 곳간(㐭)을 짓는 계획을 입(口)으로 말해서 그 ‘도면’을 ‘그리는’ 것이다. 그러니 ‘도모’한다는 뜻에서 또 ‘그림’이란 뜻이 되었다. 자연물의 천연색 그림은 繪(그림회)다. 地圖(지도) 圖畵(도화) 圖謀(도모)
4) 啚 here a variant form of 嗇 # (granary) + 囗 circular enclosure → enclosed granary. *Diagram*and *draw* are extended meanings in the sense of enclosing within the boundaries of a writing medium; compare 晝/昼 and 畫/画. Also, *plan* (← diagram) and *attempt* (← plan an attempt).
形*모양 형(彡-7, 6급)
1) 形자는 ‘모양’(a shape)이란 뜻을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 彡(터럭 삼)이 의미요소. 다만, 이 경우의 彡은 ‘터럭’이 아니라 ‘장식용 무늬’를 일컫는다. 왼쪽의 것이 발음 요소임은 刑(형벌 형)과 邢(나라 이름 형)도 마찬가지다. 후에 ‘나타내다’(show) ‘상태’(an aspect) 등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2) 터럭 삼(彡) + [우물 정(井)→형] 터럭 삼(彡)자는 털이라는 의미 외에도, 붓의 털로 색칠하거나 무늬를 새겨 넣는다, 또는 색을 칠해 꾸민다는 의미도 있음. 여기에서는 형상을 그린다는 의미.
3) 幵+彡 幵(평평할 견) 은 질서정연함을 말하고 彡은 터럭과 색채를 뜻하니 색채를 가지고 질서 있게 있는 ‘얼굴’이다. 形象(형상) 形勢(형세)
4) From 彡 (lines) and the phonetic 幵: form; shape
5)开 # as described in 刑 (frame) + 彡 pattern → (frame- like and other, various) shapes and patterns → *shape*; *pattern*; *form*; *style*.
사각형(四角形) quadrangle, 四(사 사), 角(뿔 각), 形(모양 형)
일어: [四角形: しかくけい 시까꾸케], 중어:四角形 [sìjiǎoxíng 스자오싱]
4개의 뿔이 있는 모양, 네 개의 꼭지각을 이루고 네 개의 선분으로 만들어진 평면형. 수학, 2-1,03-038
四*넉 사(囗-5, 8급)
1) 짐승의 코 구멍과 입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나중에 가차되어 4(four)로 사용.
2) 甲骨文字에서는 三자위에 또 一자를 더했고 篆字(전자)에서 사각형(□)의 네귀를 표시하다가 두귀는 생략했다. 그는 전체인 공을 사(厶)로 나누었으니 音은 ‘사’이다. 3) 나라의 경계를 동서남북 넷으로 나눈 뜻 >넷
4) four horizontal lines indicating *four* →*fourth*; *four times*. The present form derives from SIS, which is 口 mouth + 八 split right and left → splitting off/dispersal of breath through the nostrils to right and left (compare 自).
5) 口 with the horizontal lines of the oracle bone form (repositioned) to suggest the same idea of dispersal of breath. In that sense, the application of the meaning "four" to the present character represents a borrowed meaning.
角*뿔 각(角-7, 6급)
1) 角자는 ‘뿔’(horn)을 뜻하기 위해서 짐승의 뿔 모양을 본뜬 것이다. 뿔은 모가 졌기에, ‘모서리’(edge), ‘겨루다’(fight)는 뜻으로도 쓰임.
2) 짐승의 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삼각형(三角形)이나 각도(角度)에서 보듯이, 뿔처럼 각진 '모서리'라는 의미로도 사용.
3) 짐승의 머리에 ‘뿔’을 상형. 뿔은 적을 물리치는(却각) 무기이므로 音은 ‘각’이다. 뿔은 뾰족하기 때문에 모남,돌출함을 표시하고 또 투쟁하는 것이며, 제지한다는 뜻도 된다. 角逐(각축) 角度(각도)
4) the striated(줄이있는) horn of an animal.
5) A depiction of a hard, curved *horn* → *corner*; *edge*; *angle* → *harshness*.
形*모양 형(彡-7, 6급)
1) 形자는 ‘모양’(a shape)이란 뜻을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 彡(터럭 삼)이 의미요소. 다만, 이 경우의 彡은 ‘터럭’이 아니라 ‘장식용 무늬’를 일컫는다. 왼쪽의 것이 발음 요소임은 刑(형벌 형)과 邢(나라 이름 형)도 마찬가지다. 후에 ‘나타내다’(show) ‘상태’(an aspect) 등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2) 터럭 삼(彡) + [우물 정(井)→형] 터럭 삼(彡)자는 털이라는 의미 외에도, 붓의 털로 색칠하거나 무늬를 새겨 넣는다, 또는 색을 칠해 꾸민다는 의미도 있음. 여기에서는 형상을 그린다는 의미.
3) 幵+彡 幵(평평할 견) 은 질서정연함을 말하고 彡은 터럭과 색채를 뜻하니 색채를 가지고 질서 있게 있는 ‘얼굴’이다. 形象(형상) 形勢(형세)
4) From 彡 (lines) and the phonetic 幵: form; shape
5) 开 # as described in 刑 (frame) + 彡 pattern → (frame- like and other, various) shapes and patterns → *shape*; *pattern*; *form*; *style*.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49)-Hanja in mathematics(49) (1) | 2023.01.10 |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4)-Hanja in elementary school(54) (1) | 2023.01.09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3)-Hanja in elementary school(53) (1) | 2023.01.02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47)-Hanja in mathematics(47) (0) | 2022.12.27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2)-Hanja in elementary school(52) (0) | 2022.1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