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3) - 찬성(贊成), 자습(自習)
찬성(贊成) agreement, 贊(찬사할 찬), 成(이룰 성)
일어: [賛成: さんせい 산쎄이], 중어: 赞成 [zànchéng 짠청]
찬사를 이룸, 어떤 의견에 동의함. 국어,1-2 02-063
贊*도울 찬(貝-19, 3급)
1) 贊자는 ‘(돈 따위로) 돕다’(help; aid)는 뜻을 위하여 고안된 글자, ‘조개=돈 패’(貝)가 의미. 先자를 두 개 겹쳐 쓴 것은 지금은 쓰이지 않는 글자이지만, ‘드리다’는 뜻이고, 이것도 의미.
2) 조개 패(貝) + 먼저 선(先) + 먼저 선(先) 사람(儿)과 먼저간 사람의 발(止)의 상형인 선(先)자 2개 만나, 나아갈 신(先先)자가 되고, 다시 이 두 사람이 돈(貝)을 들고 나아가(先先) 만나 도와준다(贊)는 의미.
3) 兟(나아갈신)+貝, 예물(貝)을 가지고 나아가(兟)서 ‘도우는’ 것이다. 또 贊의 속자로는 두장부(夫夫)가 예물(貝)을 가져가서 ‘돕는’ 뜻이다. 예물을 가지고 나아가서 도우는 것은 <贊(찬)>, 말(言)로써 도와(贊)서 기림은 讚(찬)이다. 贊成(찬성) ☞替(바꿀체,쇠퇴할체) 朁(일찌기참,참람할참): 兟+曰
4) 조개/재물 패(貝)+나아가다/많다 신(兟); 재물(貝)을 들고 남에게 나아가다(兟)>돕다
5) 兟 # is 先 (advance in small increments) doubled → group advancing in small increments. 贊 adds 貝 commodities → collect/accumulate presents from supporters in small increments → *support* → *praise* (← verbal support) → *panegyric*; *eulogy*; *inscription*; *dedication*. There is no etymo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 Shinjitai 賛 and 替.
成*이룰 성(戈-7획, 6급)
1) 힘센 장정(丁)이 도끼 같은 연장(戊)으로 무언가를 만들고(이루고) 있는 것, ‘이루다’(accomplish)가 본뜻.
2) 戊+丁(장정 정), 戊는 茂(무)로 통하고 丁은 當(당)을 뜻한다. 초목이 무성해서 완전한 형태에 당도한(丁) 것이니 즉 ‘이루어’진 것이다. 가서 무엇을 이루는 것은 致(치)다. 음은 丁의 변음이다. 成就(성취) 成功(성공) 達成(달성)
3) 사람 인(人)+창 과(戈)+고무래/장정 정(丁): 장정(丁)이 백성들(人)을 위해 창(戈)을 들고 땅을 지키다
4) From 茂 (flourishing:번창하다) → (戊:tool) and the phonetic (丁) to grow; to prosper; to attain; to end; *achieve*; *established*; *existing*. In the present form, the pounding tool → A robust man(丁) is making somthing with a tool(戊) like an ax.
자습(自習) self study, 自(스스로 자), 習(익힐 습)
일어: [自習: じしゅう 지슈], 중어:自习 [zìxí 쯔시]
스스로 익힘, 선생의 가르침이 없이 학생들이 자체로 학습하는 수업. 국어, 1-2 02-063
自*스스로 자(自-6, 7급)
1) 自자는 코(a nose) 모양을 본뜬 것 코가 왜 '자기 자신'을 일컫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음. 그중 하나는 사람의 중심은 머리이고, 머리에서 가장 중앙에 코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머리나 얼굴을 지칭하는 머리 혈(頁), 머리수(首), 얼굴 면(面) 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공통적으로 자(自)가 들어가는 것이 이런 주장을 뒷받침.
2) 臭(냄새 취)나 息(숨 쉴 식) 자의 의미 요소로 쓰인 自를 보면 이것이 ‘코’를 가리키는 것이었음을 여실히 증명할 수 있다. ‘자기’(oneself) ‘스스로’(personally) ‘저절로’(of itself) ‘~부터’(from) 등의 뜻으로도 쓰인다.
3) A depiction of a nose. Conceptually, the character suggests slender streams of breath passing through the nostrils (compare 四) of a stumpy nose. *Self* is an extended meaning (← point toward one's nose to indicate self) → *by/for oneself*; *originally*; *from*.
4) Most important body part of human being is face, a nose locates on center of face we can see 自 commonly in the character of 首(head) and of 面(face) etc...
習*익힐 습(羽-11, 6급)
1) 태어나서 날지 못하는 새가, 여러 날 동안 날개(羽)를 퍼덕여 나는 법을 익히고, 아기가 말(白)을 여러 번 반복하여 익힌다(master, become profieient)는 데에서 유래. 흰 백(白)자로 알려진 백(白)자는 "사실대로 말 한다-confess"는 의미의 고백(告白)이나, "혼자서 말 한다"는 의미의 독백(獨白)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말하다"라는 뜻도 가지고 있음.
2) 羽(깃우)+白(흰백), 붓(羽)으로 흰(白) 종위에 글씨를 ‘익히는’ 것이다.
3) 羽+白(自), 처음으로(自) 날개(羽)가 돋은 새가 나는 ‘연습-practice’을 자주하는 것이다. 演習(연습) 習慣(습관).
4) 羽 feather/wing + 旦 # (long and flat) → bird exerting pressure in flapping its long, flat wings. *Learn* is an extended meaning (← learn by repetition ← repeated action in flapping the wings) → *accustomed*; *custom*; *take lessons*. 旦 was later replaced by 白. In derivative characters, 習 most often appears in the form seen for example in 慴, 摺 or 褶.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4)-Hanja in elementary school(54) (1) | 2023.01.09 |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48)-Hanja in mathematics(48) (1) | 2023.01.03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47)-Hanja in mathematics(47) (0) | 2022.12.27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52)-Hanja in elementary school(52) (0) | 2022.12.26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46)-Hanja in mathematics(46) (1) | 2022.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