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3) - 방향(方向), 확인(確認)
방향(方向) direction 方(방향 방), 向(향할 향)
일어: [方向: ほうこう 호우코우] 方向 [fāngxiàng 뽱시앙]
방향, 어떤 방위를 향한 쪽. 수학, 1-2 05-047
方*모 방(方-4, 7급)
1) 方자는 농기구의 일종인 쟁기 모양을 본뜬 것으로 ‘쟁기’(plow)가 본래 의미. ‘네모’(square) ‘모서리’(angle) ‘방향’(direction) ‘방법’(method) 등으로도 쓰임.
2) 모서리를 의미하는 방(方)자는 원래 손잡이가 달린 쟁기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부수로 사용될 때에는 깃발의 모습.
3) 두 척의 배를 묶은 모양. 甲骨文字에서는 사람이 북쪽에서 동서를 잡고 남쪽으로 ‘방향’을 정한 형상으로 표기. 四方으로 직선을 그으면 ‘네모’가 되는 것이다. 方位(방위) 四方(사방) 方今(방금) 向方(향방) 方正(방정) 方法(방법)
4) A depiction of rafts/boats moored side by side → *side*; *line up* → *direction* (← spread in all directions ← spread right and left) → *compare* (← side); *skill*; *method* (← direction); *square* (← spread in equal amounts). *Person* is via locational usage as seen in 樣.
向*향할 향(口-6, 6급)
1) 向자는 아득한 옛날 반 지하 움집의 창문 모양을 그린 것으로 ‘창문’(a window)이 본래 의미. ‘방향’(a direction) ‘향하다’(front) 등으로도 쓰임.
2) 입 구(口) + 집 면(宀) 향할 향(向)자는 집 면(宀)자에 입구(入口)나 출구(出口)를 의미하는 입 구(口)자가 합쳐진 형상으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방향(方向)을 의미.
3) 집(宀)에 출입하는 입구(口)는 그쪽으로 집이 ‘향해’ 있는 것이다. 사람은 어두운 북(北)쪽을 등지고 밝은 남쪽을 향하는 것. 南向(남향) 方向(방향)
4) 宀 roof/building + a hole# → smoke being compressed through a ventilation hole and escaping to the outside of a structure → *face (toward)*;*head toward*; *direction*. Extended meanings include *confront*; *advance upon*; *approach*;
확인(確認) confirm 確(굳을 확), 認(인정할 인)
일어: [確認: かくにん 가끄닝], 중어:确认 [quèrèn 추에롄]
굳게 인정함, 틀림없이 그러한가를 알아보거나 인정함. 수학, 1-2 05-047
確*굳을 확(石-15획, 4급)
1) 確자는 ‘(돌이) 단단하다’(hard; solid)를 뜻하기 위한 글자, ‘돌 석’(石)이 의미. 隺(새 높이 날 확)은 발음.
2) 돌 석(石) + [새 높이 나를 확(隺)] 隺은 새(隹)가 날아서 올라가려고 하다가 덮여(冖) 있는 것이 확인 된 것이니, 돌(石)처럼 굳은 것은 ‘확실한’ 것이다. 確實(확실) 確信(확신) 確固(확고) 正確(정확)
3) 돌 석(石)+뜻 고상할 각/오를 흑/새 높이날 확/두루미 학(隺) 뜻이 고상하고(隺) 돌(石)처럼 굳다>굳다
4) 隺 combines 隹 short, squat bird + 冖 cover that obscures → bird obscured by a covering/overhanging object. 確 is as per 隺 # (framing object that obscures/is obscured) + 石 stone → obscuring stone wall. *Verify*; *ascertain*, *certain*, *positive*, *reliable* and *sound* (of mind/health) are borrowed meanings.
認*알 인(言-14, 5급)
1) 認자는 말을 듣고 ‘분간하다’(identify)는 뜻의 글자, ‘말씀 언’(言)이 의미. 忍(참을 인)은 발음. 후에 ‘알다’(know) ‘허락하다’(permit)는 뜻도 나타냄.
2) 말씀 언(言) + [참을 인(忍)] 남의 말(言)을 참고(忍) 들어서 그 내용을 ‘알아주는’ 것이다. 말(言)의 내용을 분별(戠)하는 것은 識(식)이다. 認識(인식) 認可(인가) 認定(인정)
3) 말씀/말하다 언(言)+참다/용서하다 인(忍) 들리는 말(言)을 참고 받아들일(忍) 수 있다>알다
4) 忍 # endure + 言 words → *acknowledge* that something endures examination → *recognize*;*determine*; *knowledge* → *accept*; *approve*.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4)-Hanja in mathematics(34) (1) | 2022.09.27 |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39)-Hanja in elementary school(39) (1) | 2022.09.26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38)-Hanja in elementary school(38) (1) | 2022.09.19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2)-Hanja in mathematics(32) (1) | 2022.09.13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37)-Hanja in elementary school(37) (0) | 2022.09.12 |
댓글